지금까지 문장에 대해 공부해 보았습니다. 다들 문장에 대한 이해가 되었길 바랍니다. 다음은 문장을 이루는 단어들에 대하여 공부해 봅시다. 몇 십만 개나 되는 단어들을 개별적으로 공부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하기사 사전을 씹어서 공부하는 사람들도 있으니 뭐라 단언하기는 힘들지만...
다행히 수 많은 단어들은 같은 성질을 지닌 단어들끼리 모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같은 성질을 지닌 단어들을 모아 놓은 것을 품사라고 합니다.
첫 번째로 명사를 봅시다.
명사
많은 단어들은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입니다. 이렇게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들을 ‘명사’라고 합니다.
대명사
대명사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요?
서로 모르는 사람끼리 다음과 같은 말을 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Can you tell me who is the police-officer there?"
이 문장에서 대명사 ‘you’와 ‘who'가 없다면?
말하는 사람은 상대의 이름을 모르기 때문에 ‘you' 대신에 무슨 말을 써야할지 모를 것입니다. 'me' 대신에 자신의 이름을 말하는 것도 어이가 없습니다. 또한 'who'가 없다면, 저쪽에 있는 이름도 모르는 'police-officer'는 무엇이라 칭한단 말입니까?
대명사가 있기 때문에 우리는 모든 대상들을 지칭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아주 길고 복잡한 말, 그리고 우리가 알지 못하는 것들도 대명사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명사를 대신해 쓰는 말을 대명사라고 하며, 다음과 같은 말들이 있습니다.
I, you, my, me, what, we, it, he, who, him, she, them, etc.
- 첫 번째 문장에서, ‘struck'는 행위를 나타내므로 동사입니다. 여기서 행위자(John)는 그 행위(struck)를 합니다. 그러므로 struck는 능동 동사입니다. 능동 동사에서는 행위의 주체가 동사 앞에 놓이고, 행위의 대상이 동사 뒤에 옵니다.
- 두 번째 문장에서 dog는 동사 ‘is struck' 앞에 있지만, 행위자가 아니라 행위의 대상입니다. ’개가 치는 것‘이 아니라, ’개가 맞는 것‘입니다. 이러한 경우에 ’is struck'을 수동 동사라고 합니다. 수동 동사에서는 행위의 대상이 동사 앞에 오고, 행위의 주체가 동사 뒤에 옵니다.
예문 (3-4)
3. She HELDmy hand.
(그녀는잡았다/ 내 손을)
4. My hand WAS HELD by her.
(내 손은 잡혔다/ 그녀에 의해서)
-세 번째 문장, 'She held my hand'에서 ‘she'는 행위자이고 동사 'held' 앞에 놓입니다. 그러므로 'held'는 능동입니다.
- 그렇지만, 네 번째 문장, 'My hand was held by her.'에서 ’hand'는행위자가 아니라 행위의 대상인데, 동사 앞에 놓여 있습니다. 그러므로 ‘was held'는 수동입니다.
예문 (5-6)
5. Jane DROVEthe car.
(Jane은 운전했다/ 그 차를)
6. The car WAS DRIVEN by Jane.
(그 차는 운전되었다/ Jane에 의해서)
- 다섯 번째 문장, 'Jane drove the car.'에서 ‘Jane'은 행위자로서 동사 앞에 옵니다. 그러므로 ’drove'는 능동입니다.
- 하지만 여섯 번째 문장, ‘The car WAS DRIVEN by Jane.’에서, 'car'는 동사 앞에 왔지만 행위자가 아니라 행위의 대상입니다. 그러므로 ‘was driven'은 수동입니다.
첫 번째 문장에서 ‘WHO'는, 앞에 있는 명사 man을 설명하는 대명사입니다. 이와 같은 'who'는 앞에 있는 명사 ’man'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관계대명사’라고 합니다. 'man'은 관계 대명사 앞에 있는 명사인데, 선행사라고 합니다. 선행사는 ‘앞에 있는 말’이라는 의미입니다.
두 번째 문장에서 which는 ball을 설명하는 관계대명사입니다. 관계대명사 which 앞에 있는 ball은 which의 선행사입니다.
세 번째 문장에서 whom은 he를 설명하는 관계대명사입니다. 그리고 HE는 그것의 선행사입니다.
이번 개념정리 시간에는 중성(Neuter)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남성(Masculine), 여성(Feminine)과 마찬가지로 참고만 하시면 됩니다. 말씀드렸듯이 현대 영어는 성(Gender)을 엄격하게 구별하지 않습니다.
1. 중성명사(neuter)
예) Desk, phone, glass, watch.
설명
- Desk는 he도 she도 아닙니다. 그러므로 그것은 남성도 여성도 아닙니다. 이렇게 남성도 여성도 아닌 Desk같은 명사를 중성(neuter)이라고 부릅니다. Neuter는 ‘둘 다 아니다’라는 의미입니다. Phone 또한 he도 she도 아니므로 남성도 여성도 아닌 중성입니다.
2. 통성명사 (commons)
예) Bird, child, animal, friend.
설명
- 명사 ‘새(bird)’는 수컷일 수도 있고, 암컷일 수도 있습니다. 새와 같이 남성과 여성에 같이 쓰이는 명사를 ‘통성명사(common)'라고 합니다. '아이(child)' 역시 소년일 수도 있고 소녀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아이도 통성명사입니다.
3. 중성명사와 통성명사
중성명사 (Neuter)
생명이 없어서 성을 갖지 못하는 명사를 중성명사(Neuter Nouns)라고 부릅니다.
- table, pen.
통성명사 (Commons)
어떤 명사들은 양쪽 성에 공통이어서, 남성일수도 여성일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명사들을 통성명사(common nouns)라고 부릅니다.
- 첫 번째 문장에서, ‘an apple'은 ’어떤 사과(any apple)'라도 상관없습니다. 그것은 특정한 사과를 지정하거나 가르키지 않습니다. 어떤 사과나 상관없이 사과이기만 하면 됩니다. 여기에서 'an'을 부정관사라고 합니다. 여기서 ‘부정’은 ‘정해지지 않았다‘라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the apple'은 아무런 사과가 아닌 ‘특정한 바로 그’ 사과를 의미합니다. 이와 같은 ‘the'를 정관사라고 합니다.
세 번째 문장에서 'a cat'은 어떤 고양이나 상관없습니다. 여기서 'a'는 정해지지 않은 대상중의 하나를 가르키는 부정관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