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사 타동사 차이

자동사 타동사

자동사와 타동사 구별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영어 문법에서 기본 중의 기본인 자동사와 타동사의 차이를 구별해 보겠습니다. 코웃음 칠 정도로 많이 들어본 말들이지만 그렇게 만만한 개념들이 아닙니다. 영어를 공부하면 할수록 자신이 없어지는 것이 자동사와 타동사의 구별입니다. 그러니 이번 기회에 두 문법 개념들을 제대로 정리해 봅시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자동사와 타동사, 어렵게 이해하기
2. 자동사와 타동사, 쉽게 이해하기
3.자동사와 타동사 차이 핵심정리
4. 연습문제 다운로드


1. 자동사와 타동사, 어렵게 이해하기

공부를 일부러 어렵게 하려는 사람은 없을 겁니다. 그런데 유독 자동사와 타동사의 구별만큼은 참으로 어렵게 공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만 그랬던 걸까요? 대부분의 문법책에 실린 자동사와 타동사의 정의를 보면, 어렵게 공부하게 되는 이유를 금방 이해할 수 있습니다.

 

많은(대부분) 문법책에서 자동사와 타동사를 아래와 같이 설명합니다.

 

불친절한 정의

  • 자동사(intransitive verb): 목적어가 필요하지 않은 동사.
  • 타동사(transitive verb):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

이러한 설명을 들으면 대부분의 학생들이 감탄하듯 고개를 끄덕입니다. 자동사와 타동사를 충분히 이해했다고 생각하며, 금세 다음 페이지로 넘어갑니다. 하지만 조금만 더 깊이 생각하면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의문들이 머리를 스칩니다. 목적어가 정확히 무엇일까? 문장에서 목적어를 어떻게 구별하지? 목적어가 될 수 있는 품사는 어떤 것이 있지?

 

이 정의는 깔끔하고 투명하게 명백해 보이지만, 결코 친절한 설명은 아닙니다. 단지 이 정의만으로는 막막한 영어 문장을 제대로 이해하거나 분석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앞서 잠시 언급했듯이 자동사와 타동사의 구별은 영어를 오래 공부한 사람에게조차 어렵습니다. 영어를 전공한 지 수십 년이 지난 저도 자신이 없어 사전을 찾아볼 정도니까요. 그만큼 자동사와 타동사를 정확히 구별하는 일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자동사 타동사?


2. 자동사와 타동사, 쉽게 이해하기

자동사와 타동사를 친절하고 쉽고 친절하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추상적인 정의보다는 실제 동사의 의미와 쓰임에 맞춘 실용적인 정의입니다. 영어를 공부하면서 제 나름대로 정리한 개념이니 저작권은 저에게 있습니다요. (농담입니다. 마음껏 가져가서 활용하세요.)

 

다음과 같이 생각해 봅시다.

 

친절한 설명

  • 자동사: 동작(행위)이 다른 대상에게 전해지지 않는다.
  • 타동사: 동작(행위)이 다른 대상에게 전해진다.

자동사부터 살펴 봅시다.

 

2-1. 자동사 쉽게 이해하기

  • I walk. 나는 걷는다.
  • I sleep. 나는 잔다.

내가 걸으면 되고, 내가 자면 됩니다.

동작이 다른 사람에게 전해지지 않습니다.

다른 사람이 필요 없습니다.

 

달리 말하면 자동사는 동작의 대상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자동사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친절한 정의

자동사(intransitive): 동작이 전해지지 않는 동사

 

자동사는 "동작의 대상이 필요하지 않는 동사"입니다. 그 행위나 동작을 위한 대상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동작의 대상을 목적어라고 합니다!  

 

결국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자동사: 동작이나 행위가 대상에게 전해지지 않는 동사
         → 목적어가 필요하지 않는 동사.

 

역시 완벽한 정의였습니다.

단지 친절하지 않았을 뿐입니다.

 

자동사를 이해하면 타동사는 거저 먹기입니다.

자동사의 정의


2-2. 타동사 쉽게 이해하기

 

타동사 예문을 봅시다.

  • I love her. (나는 그녀를 사랑한다)
  • He killed the tiger. (그는 호랑이를 죽였다.)

자동사들과는 달리 타동사는 혼자서 행위나 동작을 할  수 없습니다.

 

Love, 혼자 할 수 없습니다.

사랑할 대상이 필요합니다.

 

Kill, 역시 혼자 할 수 없습니다.

죽일(!) 대상이 필요합니다.

 

love kill에서 보앗들이 타동사에서는 주어의 행위가 대상에게 전달됩니다. 그러므로 타동사는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습니다.

타동사(transitive): 동작이나 행위가 대상에게 전해지는 동사

 

타동사의 정의

 

행위가 전해지는 동사 => 행위의 대상이 필요한 동사.

행위의 대상을 문법 용어로 목적어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타동사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타동사(transitive): 동작이나 행위가 대상에게 전해지는 동사
                         →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          

 

 

역시 완벽한 정의입니다.

이제는 이해가 됩니다.

 

이와 같은 사고 과저을 거쳐서 우리가 잘 아는 자동사, 타동사의 정의가 나옵니다.

자동사: 목적어가 필요하지 않는 동사
타동사: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

3. 자동사와 타동사 차이 핵심정리

지금까지 공부했던 내용을 표로 정리했습니다.

 

구분 자동사 타동사
목적어 필요성 목적어 필요 없음 목적어 반드시 필요
행위 전달 여부 전달되지 않음 전달됨
예문 I walk.
I sleep.
I love you.
He killed the tiger.

4. 연습 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자동사 타동사 구별 연습문제.pdf
0.16MB
자동사 타동사 구별 연습문제 정답.pdf
0.15MB

 

 

이상으로 자동사와 타동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업데이트: 2025년 4월 19일 by Song SSa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