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부사와 관계대명사의 구별

 

 

관계부사와 관계대명사

 

관계부사와 관계대명사는 둘 다 공통적으로 선행사(앞에 나오는 명사)를 설명하고 문장을 이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뒤에 오는 문장에서 하는 역할이 다르다는 점에서 구별됩니다. 최근에는 영어 시험에서는 이러한 문법 요소를 문맥에서 이해하고 있는지 묻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문법적 역할뿐만 아니라 실제 해석과 실생활에서의 예문까지 꼼꼼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는 뒤에 오는 문장에서 주어나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즉,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문장 자체가 선행사를 꾸며주는 형용사 역할을 합니다. 동시에 문장 내에서 주어, 목적어 역할을 수행합니다.

다음 예문을 봅시다. 

 

① 관계대명사 -주어역할-

You have just met the boy/            너는 방금 소년을 만났어/

who hacked the FBI.                     그런데 그 소년이 FBI를 해킹했어

 

관계대명사 'who'는 뒤 문장에서 'hacked'라는 동사의 주어 역할을 합니다.

 

 

 

관계부사 -부사 역할-

 

I visited the place/                      나는 그 장소를 방문했다/

where Lincoln was killed               (그런데 거기서) 링컨이 죽음을 당했다.

 

이 문장에서 관계부사 ‘where’는 뒤 문장의 동사구 'was killed'를 수식하는 장소부사 역할을 합니다. 관계대명사와 달리 부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주의할 것이 있습니다. 관계대명사나 관계부사는 기본적으로 앞에 있는 선행사를 설명하는 형용사절입니다. 관계대명사니 관계부사니 하는 명칭은 뒤에 있는 문장에서 하는 역할에 따라 결정되는 것입니다. 뒤에 문장에서 주어나 목적어 역할을 하면 ‘관계 대명사’, 부사 역할을 하면 ‘관계부사’가 되는 것입니다.

 

 

관계부사의 해석

 

해석은 관계대명사와 마찬가지로 ‘그런데’를 넣어서 이어가십시오. 선행사와 관계부사절이 자연스럽게 연결됩니다.

다음 예를 봅시다.

 

This is the day/                       그날이다/

when Lincoln was killed.            (그런데 그 날에) 링컨이 죽음을 당했다.

 

 

최근 출제 경향은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해석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합니다. 막연히 '감'에 기대지 말고, 정확히 구조를 분석해 내는 훈련이 필수입니다. 문법적으로 이해한 후에는 자연스럽고 빠르게 문장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기본이 되는 이 해석 틀은 여러분의 영어 실력이 성장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내면화 되어갑니다. 

 

그럼 다음에 뵙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관계부사 직전정리" 책입니다. 관계부사에서 꼭 알아야 할 내용들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책이 필요하신 분들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의 일치: 수식어구와 절  (0) 2025.04.03
물질명사 (material noun)  (8) 2025.04.03
수동태  (1) 2025.04.02
동사 시제  (0) 2013.10.06
분사구문 총정리  (9) 2013.09.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