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사(ADVERBS. )




부사 예문


이번 시간에는 부사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먼저 예문을 봅시다.


예문

The boy runs RAPIDLY. (그 소년은 빨리 달린다.)

He drives QUICKLY. (그는 빨리 운전한다.)

The bird sings BEAUTIFULLY. (새는 아름답게 노래한다.)

She gets up EARLY. (그녀는 일찍 일어난다.)




1. 동사 수식


설명

- 이들 단어들, rapidly, quickly, beautifully은 부사라고 불립니다. 이들은 동사를 수식하며, ‘어떻게’나 ‘언제’인지를 알려 줍니다.


- rapidly는 소년이 ‘어떻게’ 달리는지를 알려 줍니다. 그 소년은 ‘빨리’ 달립니다.

- quickly는 그가 '어떻게' 운전하는지를 알려 줍니다. 그는 ‘빨리’ 운전합니다.

- beautifully는 새가 ‘어떻게’ 노래하는지를 알려 줍니다. 새는 ‘아름답게’ 노래합니다.

- early는 그녀가 ‘언제’ 일어났는지를 보여 줍니다. 그녀는 '일찍' 일어났습니다.




2. 형용사, 부사 수식


설명

She is VERY beautiful. (그녀는 매우 아름답다.)

He studies PRETTY hard. (그는 아주 열심히 공부한다.)

- very, pretty는 부사입니다. 이들은 형용사나 부사를 수식하며 '어느 정도인지를 알려줍니다.

- very는 그녀가 ‘얼마나 아름다운지’를 알려 줍니다. 그녀는 매우’ 아름답습니다.

- pretty는 그가 ‘얼마나 열심히’ 공부하는 지를 알려 줍니다. 그는 ‘아주 열심히’ 공부합니다.




정리


지금까지 살펴 보았듯이, 부사는 동사, 형용사, 그리고 부사를 수식합니다. 그것에 대한 구체적인 상황을 분명하게 설명해 줍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would의 용법  (5) 2013.02.27
will의 용법  (0) 2013.02.27
동사 (verb)  (4) 2013.02.26
조동사 예문정리 (7-12)  (8) 2013.02.25
조동사 예문정리 (1-6)  (4) 2013.02.25

동사 (VERBS)





동사


이번 시간에는 동사를 공부해 보겠습니다. 

다음 예문들을 봅시다.


예) The boy STRIKES the dog(소년이 개를 때린다.)

    The dog BARKS. (개가 짖는다.)

    The child SINGS a song. ( 그 아이는 노래를 부른다.)

    The cat RUNS.(고양이가 달린다.)

    The bird FLIES. (새가 .)




설명


- 이들 단어들, strikes, barks, sings, runs, flies,은 동사라고 불립니다. 이들 단어들은 주어가 무엇인가 ‘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strike는 소년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소녀는 개를 ‘때립니다.’

- barks는 개가 무엇을 하는지를 나타낸다. 개는 ‘짓습니다.’

- sings는 아이가 무엇을 하는지를 나타낸다. 아이는 ‘노래를 부릅니다.’

- runs는 고양이가 무엇을 하는지를 나타냅니다. 고양이는 ‘달립니다.’

- flies는 새가 무엇을 하는지를 나타낸다. 새는 ‘납니다.’




이렇게 동사는 주어가 ‘행하는 동작’을 나타냅니다.



다른 동사들


조금 더 살펴 봅시다.

(1) The boy BEATS his young brother.

(2) The boy IS BEATEN by his old brother.

(3) The boy SLEEPS.


(1)번에서 소년은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소년은 그의 동생을 ‘때리고’ 있습니다.

(2)번에서 소년은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소년의 그의 형에게 '얻어맞고' 있습니다.

(3) 번에서 소년은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소년은 '자고' 있습니다.




정리


이렇듯, 동사는 주어가 어떤 것이 되거나, 어떤 것을 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더 간단히 말하면 주어가 하는 행위가 동사입니다.




간단한 개념정리였습니다. 

내용에 관한 질문은 댓글이나 이메일 주시길 바랍니다. 

그럼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ll의 용법  (0) 2013.02.27
부사  (12) 2013.02.26
조동사 예문정리 (7-12)  (8) 2013.02.25
조동사 예문정리 (1-6)  (4) 2013.02.25
조동사 정리  (4) 2013.02.25

형용사 (ADJECTIVE)





개념정리 세 번째 시간입니다. 

이번에는 형용사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형용사 예들


a GREAT boy (훌륭한 소년)

a NICE car (좋은 차)

a LARGE garden (큰 정원)

a STRONG man (강한 남자)




형용사 : 명사의 종류나 성질


설명

- 이 세 단어들, great, nice, large 은 형용사라고 불립니다. 이들은 우리가 의미하는 것이 어떠한 종류나 성질 인지를 보여줍니다. 조금 더 살펴보면,


- great는 우리가 의미하는 소년이 어떠한 종류의 소년인지를 알려줍니다. 그는 ‘훌륭한’ 소년입니다.

- nice는 우리가 의미하는 차가 어떠한 종류의 차인지를 알려 줍니다. 그것은 ‘좋은 차’입니다.

- large는 우리가 의미하는 정원이 어떠한 종류의 정원인지를 알려 줍니다. 그것은 ‘큰 정원’입니다.

- strong은 우리가 의미하는 남자가 어떠한 종류의 남자인지를 알려줍니다. 그는 ‘강한 남자’입니다.




형용사는 명사 수식


이렇듯 영문법에서 형용사는 ‘명사’를 꾸며주어, 그 명사의 종류나 성질을 알려 줍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형용사는 명사의 성질을 표현한다.

- great,  nice, large 등-




형용사의 용법은 아주 많습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 하나만을 꼽으라면,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한다’라는 것입니다. 


고맙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개념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치사 (preposition)  (4) 2013.03.10
대명사 (pronoun)  (0) 2013.03.02
관사  (12) 2013.02.19
명사란?  (4) 2013.02.18
문법이란? (grammar)  (6) 2013.02.17

조동사 예문정리 (7-12)





7. may


(1) 추측

He may be a fool.

(그는 바보일지도 몰라.)


(2) 허가

May I use you phone?

(전화 좀 써도 돼?)





8. might


may의 과거형

She said that she might like me.

(그녀는 말했다/ 그녀가 나를 좋아할지도 모른다고.)





9. must


(1) (의무) ~해야 한다.

You must be on time for your work.

(당신은 제 시간에 와야 합니다/ 직장에.)


(2) (추측) ~임에 없다.

He must be an idiot.

(그는 바보임에 틀림없어.)





10. dare


감히 ~하다

I dare not say a word to my wife.

(나는 감히 한 마디도 못한다/ 내 아내한테.)





11. need


~할 필요가 있다. (정동사와 구별)

You need not be afraid of your wife.

(당신은 아내를 두려워할 필요가 없어요.)





12. do, does, did


(1) 의문, 부정문

I don't like you.

(나는 네가 싫어.)


(2) 대동사

I love you.

(난 너를 사랑해.)

So do I.

(나도 그래.)


(3) 동사강조

Do shut up, please!

(제발 좀 닥쳐 줄래!)




다음 시간부터는 각 조동사별로 중요한 것들을 공부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사  (12) 2013.02.26
동사 (verb)  (4) 2013.02.26
조동사 예문정리 (1-6)  (4) 2013.02.25
조동사 정리  (4) 2013.02.25
조동사의 의미 (can, could, will, be going to)  (11) 2013.02.23

조동사 예문




이번 시간에는 각 조동사별 예문들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먼저 단어 하나로 이루어진 단순형조동사들을 보겠습니다.


1. will

(1) 단순 미래

I will be twenty next year.

(나는 내년에 스무살이 될 거야.)


(2) 의지 미래

I will always love you.

(나는 언제나 당신을 사랑할거야.)




2. would

(1) will의 과거

He said that he would be twenty next year.

(그는 말했다/ 내년에 스물이 될 거라고.)


(2) 의지 (소망)

My love, I would like to come with you.

(내 사랑, 당신과 함께 가고 싶소.)


(3) 고집

My daughter wouldn't listen to me.

(내 딸은 내 말을 들으려고 하지 않는다.)


(4) 과거의 습관

My son would play with Lego as a child.

(내 아들은 레고를 가지고 놀았다/ 어릴 때.)





3. can


(1) 능력, 가능

I can speak English fluently.

(나는 영어를 유창하게 말할 수 있다.)


(2) 추측 (~일 수도 있다)

You can't be fluent in English.

   (너가 영어를 유창하게 말할 수 있을 리가 없어.)




4. could


(1) can의 과거

He said that he could speak English fluently.

(그는 말했다/ 그가 영어를 유창하게 말할 수 있다고.)


(2) 정중한 표현

Could I use your phone for a moment, please?

(전화기좀 잠깐만 써도 될까요?)




5. shall


(1) 미래 (점점 안쓰이고 있슴)

I shall be twenty next year. (대부분 shall 대신에 will을 씁니다.)

(나는 내년에 스무살이 될 것이다.)


(2) 제안

Shall we dance?

(춤 한 번 추실까요?)





6. should


(1) (형식상) shall의 과거)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예문은 생략합니다.)


(2) ~해야 한다.

You should be on time for your work.

(당신은 제시간에 와야한다/ 직장에.)





to be continued....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사 (verb)  (4) 2013.02.26
조동사 예문정리 (7-12)  (8) 2013.02.25
조동사 정리  (4) 2013.02.25
조동사의 의미 (can, could, will, be going to)  (11) 2013.02.23
전치사 뜻 (for, during)  (7) 2013.02.23

조동사 의미정리





대표적 의미


이번 시간에는 조동사들에 대한 의미를 간단히 정리해보겠습니다. 각 조동사들은 모두 하나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모든 의미들을 알 필요는 없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의미 하나만 정리해두고 문장을 통해서 익히면 됩니다. 아는 것과 그것을 활용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각 조동사에 대한 의미와 예문은 한, 두 개정도로 정리하겠습니다.




영어 조동사들


영어에는 대충 다음과 같은 조동사들이 있습니다. 찾아보면 더 있을 수도 있겠지만 문법학자가 아니라면 그렇게 하실 이유도 필요도 없습니다. 아래에 있는 조동사들로도 충분합니다.

설명을 위해서 조동사들을 ‘단순형’과 ‘조합형’으로 나누었습니다. ‘단순형’은 말 그대로 단어 하나로 구성된 조동사들입니다. ‘조합형’은 두 개 이상의 단어로 구성된 것들입니다.




(1) 단순형


1. will     (~할 것이다)                             2. would  (~할 것이다)       

3. can     (~할 수 있다)                            4. could  (~할 수 있었다)

5. shall    (~일 것이다)                             6. should  (~해야 한다)

7. may     (~일지도 모른다, ~해도 좋다)        8. might  (~일지도 모른다)

9. must   (~해야 한다)                             10. dare   (감히 ~하다)

11. need   (~할 필요가 없다)                     12. do, does, did (정말로)





(2) 조합형


1. ought to      (~해야 한다)                        2. had better    (~하는 것이 더 낫다)

3. would rather (차라리 ~하겠다)                   4. used to       (~하곤 했었다.)

5. have(has) to  (~해야 한다)                        6. have got to  (~해야 한다)

7. be able to    (~할 수 있다)                       8. be going to  (~할 것이다)

9. may well      (~하는 것이 당연하다)            10. may as well (~하는 것이 낫다)

11. would sooner (차라리 ~하겠다)






조합형 조동사와 숙어


우리가 ‘숙어’라고 하는 것과 같은 형태입니다. 그렇지만 숙어와는 달리 조합형 조동사들은 ‘독립적’으로 동사가 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make fun of'라는 숙어는 ‘She made fun of me.'라고 문장에서 동사로 사용할 있습니다.


그런데 'may as well'은 어떤가요?


‘She may as well apologize.’와 같이 동사 앞에서만 쓸 수있습니다.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조동사인 것입니다.




외웁시다!


현실적으로 조합형 조동사들을 쉽게 공부할 수 있는 방법들은 없습니다. 일단 외우셔야 됩니다. 고급영어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들이니 철저하게 외우신 다음 활용하셔야합니다. 'should, must, had better, have to, have got to' 편에서 설명하겠지만 조동사 잘못 사용하면 인간관계 망칠 수도 있습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립니다. 조동사는 화자의 뉘앙스(속마음)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각 조동사별로 예문을 통해서 공부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조동사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


조동사의 의미 (핵심정리 050)  동영상 강의




조동사는 뉘앙스...


이번 시간에는 조동사를 본격적으로 공부하기에 앞서, 조동사에 대한 감을 잡아보기로 하겠습니다.


조동사를 사용할 때, 가장 중요한 것입니다.



영어에서 조동사가 단순히 ‘동사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라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영어에서 조동사는 화자의 ‘뉘앙스’를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can, could


간단한 예를 들어봅시다.


(1) Can you help me?

(2) Could you help me?


둘다 기본적인 의미는 ‘나좀 도와 줄래’입니다. 

그렇지만 (1)과 (2)가 전하는 뉘앙스는 완전히 다릅니다. (1)번은 ‘반말’입니다. 이에 대해 (2)번은 정중한 표현입니다. 'Could you help me?‘라고 말하면 도움을 받을 가능성이 훨씬 큽니다. 

(영어에 존댓말 개념은 없지만, 정중한 표현은 분명히 있습니다. 아이가 'Can you help me?'라고 말하면 제대로 된 엄마는 보통 'Could you help me...'라고 고쳐 줍니다. )




will, be going to


중학교, 어쩌면 지금은 초등학생때부터 배우는 조동사가 있습니다. 바로 ‘will’입니다. 그리고 ‘will'과 같은 의미라고 죽어라 외웠던 ’be going to'가 있습니다. 그런데 두 말이 정말 같을까요?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두 말은 실현 가능성에 차이가 있습니다.




가능성이 높은 것은?


다음 예를 봅시다.


A: 야, 이제 담배 끊어야지.

B (I will.) 또는 (I´m going to.)


이런 대화를 가정해 봅시다. A의 말에 대해 B가 한 답입니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아니면 우리가 무식하게 외운대로 의미차이가 없는 걸까요? 

분명히 의미차이가 있습니다. 'I will.'이라고 말한 사람보다는 ‘I'm going to.’라고 말한 사람이 담배 끊을 확률이 높습니다. 





will, be going to 의미 차이


왜 그런지 설명해 보겠습니다.


'will'은 보통, ‘이전에는 계획이 없었다가 그 순간 하겠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상당히 강한 의지의 표현이지만 사람 마음은 바뀌게 마련입니다. 그러니 장담 못합니다. 

그렇지만 'be going to'는 상황이 다릅니다. 이 사람은 A가 말한 지금 금연계획 중입니다. 금연클리닉에 등록해놓았고, 니코틴 패치와 전자담배도 구입했습니다. 구체적이죠. 그러니 'be going to'를 쓰는 겁니다. 




나름대로 쉽게 설명하려 했지만 오히려 헷갈리실 겁니다. 그러니 실현 가능성을 수치로 한 번 표현해 보겠습니다.


(이건 자의적인 기준입니다.)


실현 가능성

will               90% 이상

be going to    거의 100%


be going to라고 말하면 웬만하면 그렇게 합니다. 천재지변이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빼고는 말이죠.



조동사 뉘앙스까지 알고 쓴다면, 그 분은 영어에 거의 통달하신 분입니다. 저는 아직 그 정도 경지에는 한 참 멀었습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조동사에 대한 공부를 시작해 봅시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동사 예문정리 (1-6)  (4) 2013.02.25
조동사 정리  (4) 2013.02.25
전치사 뜻 (for, during)  (7) 2013.02.23
접속사 전치사의 구별 (while, during)  (6) 2013.02.23
부사절 that  (5) 2013.02.23

for, during





for, during 


문제는 during과 for입니다. 이 둘을 구별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습니다. 둘 다 전치사로서 품사가 같고, 의미도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for + 숫자


둘을 구별하는 기준은 두 가지입니다. 

쉬운 것부터 봅시다.




예문


무식하게 이렇게 알고 있으면 상당히 많은 상황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최소한 일상적인 상황과 시험은 이 규칙으로 넘길 수 있습니다. 한 번 볼까요?


during과 for

(1) What is your room charge (during, for) one night?

    (객실 요금은 얼마입니까/ 하룻 밤에.)

(2) What is your room charge (during, for) the festival?

    (객실요금은 얼마입니까/ 축제동안에.)


(1)번에서는 ‘for’를 써야 합니다. 뒤에 숫자인 ‘one’이 왔기 때문입니다. (2)번은 숫자가 없으니까 일단 during을 고르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문제는 해결할 수 있습니다. 




for +  불특정, during + 특정


그렇지만 여전히 during과 for에 대한 감이 안 잡히기는 마찬가지입니다.


그래서 보다 더 어렵지만 제대로 된 기준이 필요합니다. 사실 이 부분은 ‘관사’의 활용과 관계되는 부분이라 상당히 어렵습니다. 소위 말하는 ‘감’의 영역에 들어서는 부분이기 때문에 기본 이상의 영어실력이 필요합니다. 그러한 이유로 간단하게 개념만 설명하는 것을 이해해 주시길 바랍니다.


for + 불특정한 기간, during + 특정한 기간


둘 다 전치사이고 ‘~동안’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for 다음에는 ‘불특정한 기간’이 오고, during 다음에는 ‘특정한 기간’이 옵니다. 




for a, during the


특정한 기간과 불특정한 기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알기 쉬운 예만 하나 들겠습니다.

영어에서 특정 불특정을 의미하는 가장 대표적인 말이 관사입니다. 관사에는 부정관사와 정관사가 있다는 것은 알고 계실겁니다. 여기서 ‘부정관사 a(n)'은 불특정입니다. 그리고 정관사 ’the'는 특정입니다. 그럼 예문을 통해서 봅시다.


(1) What is your room charge (for, during) a night?

(2) What is your room charge (for, during) the night?

    (하룻밤 숙박료가 얼마입니까?)


이 두 문장의 의미는 비슷해 보이지만 다릅니다. 그렇지만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1)번 문장에서는 다음에 부정관사 ‘a'가 있기 때문에 불특정입니다. 그러므로 ’for'를 써야 합니다. 그렇지만 (2)번에서는 'for' 다음에 특정을 나타내는 정관사 ‘the'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during'를 써야합니다.




정리해 봅시다.





그럼 이것으로 while, during(for)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while, during


during, while의 구별 (핵심정리 048)  동영상 강의




~동안: while, during(for)


이번에도 접속사와 전치사 중에서 헷갈리는 것을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것은 while과 during(for)에 관한 구별입니다. 이 세 단어들은 우리말로 옮기면 모두 ‘~동안’이 됩니다. 하지만 쓰임과 의미가 다르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while, during


while과 during(for)을 먼저 보겠습니다. while과 during(for)은 구별이 쉽습니다. 

품사가 다르기 때문이죠. 

품사를 가볍게 정리해 볼까요?


while은 접속사입니다. 그러므로 다음에 ‘주어 동사가 있는 절’이 와야합니다.

그렇지만 during(for)는 전치사입니다. 그러므로 ‘단어(명사)’가 와야 합니다. 


형식적인 구별이라 아주 간단합니다. 




적용


(1) My students fell asleep (while, during(for)) I taught something.

(2) My students fell asleep (while, during(for)) my teaching.


둘 다 의미는 같습니다. ‘내 학생들은 잠들었다/ 내가 가르치는 동안에.’라는 말입니다. 그렇지만 간단히 답을 고를 수 있습니다. 볼까요?


(1)번은 while을 써야합니다. 뒤에 ‘주어 동사가 있는 문장’이 왔기 때문입니다. (2)번은 during입니다. 다음에 명사인 ‘my teaching'이 왔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while과 during(for)를 구별하는 것은 쉽습니다. 품사가 다르기 때문이죠. 



[정리]


while은 접속사이기 때문에 ‘문장’을 쓰고 

during는 전치사이기 때문에 ‘명사’를 쓰면 됩니다. 


둘 다 자주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이상으로 '~동안'에 대한 정리를 마칩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so ~that, such ~that




 that 부사절


편의상 so A that B, such A that B라고 하겠습니다. 


 의미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1) so A that B 

    (아주 A해서 B하다.)

(2) such A that B 

    (그렇게 A해서 B하다.)




인과관계 표현


어릴 때부터 such하면, '그러한‘이라고 외워서 그런지 대다수의 사람들이 ’such A that B'하면 ‘그렇게 A해서 B하다’라고 해석합니다. 사실 두 표현 다 ‘아주 A해서 B하다’라고 하셔도 됩니다. 뭐, 편한 대로 알고계시면 됩니다. 


단 주의하실 점은 두 표현 모두 인과관계를 나타낸다는 것입니다. 앞에 있는 A가 원인 뒤에 B가 결과입니다. 그리고 이 때의 that은 ‘결과를 나타내는 부사절’입니다.





예문


   so[such] A that B : 아주 A해서 B하다

(1) He was so (foolish, a fool) that he believed her.

    (그는 아주 바보라서, 그녀를 믿었다.)

(2) He was such (foolish, a fool) that he believed her.

    (그는 그렇게 바보라서 그녀를 믿었다.)


아주 헷갈려들 하시는 문제입니다. 어떻게 해결할까요? 

우선 so와 such의 품사에 대해서 잠시 봅시다. 일단 so는 부사입니다. 부사이니 동사, 형용사, 부사를 수식합니다. such는 한정사입니다. 한정사라는 말이 애매한데 그냥 ‘약한 형용사’라고 생각하십시오. 약해지긴 했어도 형용사입니다. 그러니 명사를 수식해야죠.




문제해결


이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1)번은 so가 있으므로 부사의 수식을 받을 수 있는 말이 와야 합니다. 형용사형 foolish가 답입니다.

(2)번은 한정사 such의 수식을 받을 수 있는 명사가 와야 합니다. 답은 'a fool'이 됩니다. 다들 이해하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제 정리하겠습니다.

아주 A해서 B하는,

(1) so A that B

(2) such A that B에서 

    (1)번의 A는 형용사, (2)번의 A는 명사입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치사 뜻 (for, during)  (7) 2013.02.23
접속사 전치사의 구별 (while, during)  (6) 2013.02.23
although, though, despite 차이  (7) 2013.02.22
because, because of 차이  (9) 2013.02.22
if, whether 차이  (21) 2013.02.22

비타민C 적정 실험




비타민을 찾아서...


재작년인가... 우리 아이들이 시중에 판매되는 비타민 C 음료의 비타민 C 함량을 조사한 적이 있었습니다. 연구할 음료도, 실험 방법도 직접 찾아내고 열심히 실험을 해서 결과를 가져왔었지요.


사실, 대학교 1학년 학생들이 하는 적정 실험은 대부분 염산과 수산화나트륨으로 하거나, EDTA적정 등이 대부분입니다. 조금 재미있다 싶은 것은 제산제로 해보는 역적정이구요(재미없나요?).


비타민C 적정은 그리 자주 시도되는 실험은 아닙니다. 이 실험을 했었던 과목은 화학전공자를 위한 전공 수업이 아니라 과학글쓰기 과목이었기 때문에 아이들이 해보고 싶었던 실험을 해볼 수 있었던 것이지요.





아래에 이 아이들이 했었던 실험의 과정을 적어두었습니다.




*실험 기구 및 시약


(1) 실험 기구

3ml 짜리 일회용 스포이드 2개, 50ml 비커 1개, 500ml 비커 2개, 뷰렛 1개, 250ml 삼각플라스크 4개, 깔대기, 교반기, 마그네틱바, 저울, 유리막대


(2) 시약

KI 시료 5.00g, KIO3 시료 0.268g, I3용액 500ml, 증류수 750ml, 녹말지시약, 3M H2SO4 30ml




* 실험방법


(1) 요오드용액 준비

① 400ml 비커에 5.00g의 KI와 0.268g KIO3를 넣고, 증류수 200ml를 첨가한다.

② 3M 황산을 추가한다.

③ 그 용액을 500ml 눈금실린더에 붓고, 증류수로 500ml까지 채운다. 그리고 600ml비커에 옮긴다.


(2) 적정

① 수용성 녹말가루 5g과 HgI2 5mg을 넣고 증류수를 부어준뒤 끓여주어 녹말지시약을 만든다.

② 3M의 황산 용액을 만든 뒤 500ml 메스 플라스크에 KI 5g과 KIO2 0.268g와 증류수 200ml와 3M 황산 30ml를 넣어준뒤 500ml까지 증류수를 채워준다.

③ 이용액을 뷰렛에 부어준 뒤, 삼각 플라스크에 적정하려는 비타민음료 용액 25ml 그리고 녹말 지시약 10방울을 넣어주고 요오드 용액으로 적정한다.

④ 위 과정을 2번 더 반복한다.





결론은 비타 500?

사실, 제가 같이 실험을 했었던 것이 아니라서 실험 과정이나 결과가 얼마나 정밀, 정확한지는 알 길이 없습니다. 하지만 결과는 아래 표에 나와있네요.



성분표시에 나타나 있는 것과 별 차이가 없었습니다. 비타 500이 가장 비타민 C 함량이 높았지요. 심지어 성분표시된 양보다 더 많이 들어있지요? 



물론 이 결과는 오직 비타민 C만을 분석한 결과이므로 비타 500이 모든 것을 고려할 때 가장 좋다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다른 음료에는 비타 500에는 들어있지 않은 몸보신 물질들이 더 들어있을 수도 있구요. 디자인이나 색감에 대한 선호도도 다들 다르실 거구요. 하지만, 이 실험을 보고난 후 저는 왠지 같은 돈을 주고 살 때는 비타500을 사게 되더군요. 물론, 비타민 워터들의 비비드한 색감에 가끔 유혹을 받기는 하지만.. 




이제 저도 몸을 챙기는 나이랍니다. ㅠㅠ


 

'Back Up > 여기는 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주님, 뭘 보고 있니?  (6) 2013.03.18
멋진 인생!  (11) 2013.03.03
공주님의 첫눈  (6) 2013.02.12
박테리아의 실수  (1) 2013.02.11
아스피린 -살리실산-  (10) 2013.02.11

although(though) despite





although, despite


 이번에는 although와 despite를 공부해보겠습니다. although와 despite역시 의미상의 차이는 없습니다. 둘 다 ‘비록 ~이지만’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단지 although는 접속사, despite는 전치사라는 것만 다릅니다. 역시 간단히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접속사 전치사 문장규칙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접속사 다음에는 주어 동사가 있는 문장이 오고, 전치사 다음에는 ‘명사’가 옵니다.




예문


(1) (Although, Despite) we did our best, we lost the game.

(2) (Although, Despite) our best trial, we lost the game.


두 문장 다, ‘우리가 최선을 다했지만, 경기에 졌다’라는 뜻입니다. 


(1)번을 보면 ( ) 다음에 ‘주어 동사’가 있는 문장이 왔습니다. 그러므로 접속사 although를 써야 합니다. (2)번에서는 ( ) 다음에 ‘our best trial'이른 명사가 왔습니다. 그러므로 전치사를 despite를 써야 합니다.




although와 despite의 차이에 대해서는 아셨을 겁니다.


다음으로 넘어가기에 앞서 한 가지만 더 말씀 드리겠습니다.



although, though


although와 though의 차이에 관한 것입니다. 영어를 가르치다보면 자주 받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although와 though'의 의미차이는 없다는 것입니다. 


단지 although는 격식을 갖춘 말이나 글에, though는 구어에서 더 자주 쓰인다는 것만 다릅니다. 현대 영어에서는 글에서도 though가 점점 더 자주 등장하는 추세입니다. 그러므로 여러분들께서는 헷갈리면 though라고 알고 계셔도 됩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속사 전치사의 구별 (while, during)  (6) 2013.02.23
부사절 that  (5) 2013.02.23
because, because of 차이  (9) 2013.02.22
if, whether 차이  (21) 2013.02.22
that (접속사, 관계대명사)  (21) 2013.02.21

 

because, because of

 

 

 

 

접속사와 전치사 문장규칙

 

 

 이번에는, 의미는 같지만 혼동되는 접속사와 전치사들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접속사와 전치사에 대한 문장 규칙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접속사는 잘 아시는 것처럼 이어주는 말입니다. 단어와 단어, 문장과 문장을 연결합니다. 전치사 역시 이어주는 말입니다. 그렇지만 전치사는 단어와 단어만을 이어 줍니다. 이것을 일반화 시키면 다음과 같은 문법규칙이 나옵니다.

 

 

 

 

이 규칙을 풀어보면, 접속사 다음에는 문장이 오고 전치사 다음에는 단어가 온다쯤 되겠습니다. 그럼 혼동되는 접속사와 전치사들을 보겠습니다.

 

 

 

because, because of

 

 

자주 혼동들 하시는데 because와 because of는 의미차이가 없습니다. 단지 접속사인가, 전치사인가 하는 점만이 다릅니다. 

 

because는 접속사입니다. 그러므로 다음에 주어 동사가 있는 문장이 와야합니다. 그런데 because of는 전치사 of가 있으므로 다음에 ‘명사’가 와야 합니다.

 

전치사는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명사 앞에 오는 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다음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그럼 실제 적용을 해봅시다.

 

 

 

규칙 적용

① He can't even walk (because, because of) his fatness.

② He can't even walk (because, because of) he is fat.

 

 

이 두 문장은 의미가 같습니다. ‘그는 걷지도 못하다/ 비만이라서’나는 뜻입니다. 알맞은 단어를 골라 봅시다. ①번에서는 뒤에 단어인 ‘his fatness'가 왔습니다. 명사가 왔으므로 전치사 because of를 써야 합니다. ②번에서는 뒤에 ’he is fat'이라는 문장이 왔습니다. 절이 왔으므로 접속사 because를 써야 합니다.

 

 

 

 

다들 이해하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사절 that  (5) 2013.02.23
although, though, despite 차이  (7) 2013.02.22
if, whether 차이  (21) 2013.02.22
that (접속사, 관계대명사)  (21) 2013.02.21
복합관계대명사, 복합관계부사  (2) 2013.02.21

if, whether




헷갈려...


이번에는 '~인지 아닌지'를 의미하는 if나 whether를 봅시다. 이건 참으로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는 것입니다. whether는 원래 둘 중 하나를 선택하는 표현으로 쓰이니 헷갈릴 일이 없습니다. 문제는 if입니다. if는 주로 ‘만약 ~한다면’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그렇지만 가끔 ‘~인지 아닌지’라는 양자택일에도 사용됩니다.




if는 whether의 부분집합


그렇다면 if와 whether 중에 어느 것을 어떤 경우에 써야 할까요? 잠깐 도식화 해봤습니다. 한 번 볼까요?


~인지 아닌지 (if, whether)





헷갈리면 whether


그림과 같이 if는 whether에 포합됩니다. ‘인지 아닌지’라는 의미로 if와 whether를 고민할 경우에는 whether를 쓰면 됩니다. if를 쓸 수 없는 곳에도 whether는 쓸 수 있기 때문입니다. case by case로 외우려고 하지 마세요.





예문


간단히 예문을 봅시다.


(1) He doubts whether she loves him or not. (if X)

    (그는 의심한다/ 그녀가 자신을 사랑하는지 아닌지를)


(2) He doubts (if, whether) she loves him. (둘 다 가능)

   (그는 의심한다/ 그녀가 자신을 사랑하는 지를.)


두 예문다 ‘~인지 아닌지’라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잠깐 살펴 볼까요?


(1)번은 whether만 써야 합니다. 뒤에 'or not'이 있기 때문입니다. whether A or not. ‘A인지 아닌지’라는 의미입니다. 이 경우 if는 쓸 수 없습니다. (2)번은 if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if가 가능한 곳이면 whether도 쓸 수 있습니다.




역시 헷갈리면 whether입니다. 


고맙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접속사 that, 관계대명사 that




that의 용법


첫 번째로 공부할 것은 'that'입니다. 'that‘에서는 접속사 that과 관계대명사 that을 구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강 관계사 편에서 공부했던 것을 기억해 봅시다. 관계대명사를 판단하는 기준은 무엇이었나요? 뒤에 오는 문장에서 주어나 목적어가 없는 것입니다. 즉, 불완전한 문장이 오는 것입니다. 이 원칙을 적용하면 접속사 that과 관계대명사 that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구별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접속사로 쓰인 that 다음에는 주어, 목적어가 다 있는 완전한 문장이 오고, 관계대명사로 쓰인 that 다음에는 주어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문장이 옵니다. 



접속사 that


(1) 접속사 that + 완전한 문장

That he loves music /is known to everyone.

   (그가 음악을 사랑한다는 것은 알려져 있다/ 모든 사람에게.)


② Everyone knows /that he loves music.

   (모든 사람이 안다/ 그가 음악을 사랑한다는 것을.)


①번에서 밑줄 친 that 다음 절에는 주어 he와, 목적어 music이 다 있습니다. 완전한 문장입니다. 그러므로 that은 접속사로 쓰였고, that절은 주어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②번 역시 that 다음에는 주어 he와 목적어 music이 다 있는 완전한 문장이 왔습니다. 그러므로 that은 접속사로 쓰였고, 목적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①②에서 보았듯이 접속사로 쓰인 that 다음에는 주어나 목적어가 다 있습니다. 완전한 문장이 와야합니다.




관계대명사 that


(2) 관계대명사 that + 불완전한 문장

① He is the very man that ( ) loves music.

    (그가 바로 그 사람이다/ 음악을 사랑하는.)


② It is the very music that he loves ( ).

   (이것은 바로 그 음악이다/ 그가 사랑하는.)


①번에서 that 다음에는 동사 love가 바로 왔습니다. 주어가 없습니다. 이렇게 'that' 다음에 주어없이 동사가 곧바로 오는 경우를 ‘주격관계대명사’라고 합니다.


②번에서는 that 다음에 love라는 동사의 목적어가 없습니다. ‘that’ 다음에 목적어가 없으면 ‘목적격 관계대명사’라고 합니다. 접속사로 쓰인 that과는 달리 관계대명사 that 다음에는 주어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문장이 옵니다.




동격절의 that


that을 공부할 때 주의하실 것이 있습니다. 동격절에 사용되는 that입니다. 

예문을 봅시다.


She knows the fact that he loves music.

(그녀는 그 사실을 안다/ 그가 음악을 사랑한다는.)


여기서 that절은 ‘the fact’를 설명하는 동격명사절입니다. 이렇게 동격으로 쓰인 that을 보면 많이들 헷갈려하는데 간단합니다. 'that‘ 다음에 주어와 목적어가 다 있는 완전한 문장이 왔기 때문에 ’that'은 접속사입니다. ‘동격명사절에 쓰인 that은 접속사이다‘라고 알고 계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럼 that에 대한 설명은 이만하겠습니다.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복합관계대명사 / 복합관계부사


복합관계사 (핵심정리 042)  동영상 강의




복합관계사


일곱 번째 공부할 것은 복합 관계사입니다. ‘복합 관계사라...’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지은 이름인지 이해가 안갑니다. 아무리 생각해 봐도 이름과 용법이 매치되지 않는 난감한 용어입니다.


일단 ‘복합관계사’는 형식이 똑 같습니다. 관계사에 ‘ever'를 붙이면 됩니다.




복합관계사는 활용!


복합 관계사는 규칙을 물어보는 문제는 거의 출제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말을 하고 글을 쓸때 아주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그러니, 규칙을 외우고 문제를 푸는 것보다는, 해석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그래서 문법 규칙설명은 생략합니다.




의미와 예문


다음은 각 ‘복합 관계사(!)’의 의미와 해당 예문입니다.


whatever (~하는 것은 무엇이나)

Do whatever you want. (해라/ 당신이 원하는 것은 무엇이나.)


whoever (~하는 사람은 누구나)

Whoever believes me is my friend. (나를 믿는 사람은 누구나 내 친구다.)


whenever (~할 때마다)

Whenever he is down, he drinks whiskey. (그는 우울할 때마다 위스키를 마신다.)


wherever (~하는 곳은 어디서나)

Wherever she goes, she is welcomed. (그녀가 가는 곳은 어디서나, 그녀는 환영받는다.)


however (아무리 ~해도)

However small, he is willing to share it. (아무리 작아도, 그는 기꺼이 나누려고 한다.)




이상으로 관계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if, whether 차이  (21) 2013.02.22
that (접속사, 관계대명사)  (21) 2013.02.21
관계대명사 that, 관계대명사 what의 구별  (17) 2013.02.21
관계대명사 관계부사의 구별  (27) 2013.02.20
관계부사  (3) 2013.02.20

관계 대명사 that, what




관계대명사 that, what


이번에는 관계대명사로 쓰인 'that'과 ‘what'을 구별해 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that', 'what'은 관계대명사로 쓸 수 있습니다. 이들이 관계대명사로 쓰인 것은 뒤에 따라오는 문장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뒤에 문장에서 주어나 목적어가 생략되어 있으면 관계대명사입니다. 즉, ‘뒤에 오는 문장이 불완전’하면 관계대명사인 것입니다. 




예문


(1) She accepted the ring (that, what) he offered.

    (그녀는 그 반지를 받아들였다/ 그가 준.)


(2) She accepted (that, what) he offered.

     (그녀는 받아 들였다/ 그가 준 것을.)


이 두 문장들은 (괄호) 다음에 오는 문장이 불완전합니다. 두 문장 다 'offered'라는 동사의 목적어가 없습니다. 다시 말하면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쓰인 문장입니다. 그런데 'that‘이나 ’what'은 둘 다 관계대명사로 쓰일 수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구별할 수 있을까요?




선행사의 유무로 구별


선행사의 유무로 구별합니다. 관계대명사 앞에 선행사가 있으면 that을, 선행명사가 없으면 what을 씁니다. 관계대명사로 쓰인 what은 ‘~하는 것’으로 해석이 되며, 선행사를 포함하기 때문입니다. 선행사를 포함한다는 말은, 선행사가 오면 안된다는 말입니다. 선행사가 있으면 관계대명사 ‘what'은 쓸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that‘은 반드시 선행사가 와야 합니다.




이제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선행사가 있으면 that, 없으면 what


(1)번에서는 앞에 선행명사 'the ring‘이 있습니다. 선행사가 있으니 'what'은 안 됩니다. ’that'을 써야 합니다.


(2)번에서는 동사 'accepted'만 있고 ‘선행명사’가 없습니다. 선행사가 없으므로 'that'은 안 됩니다.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을 써야 합니다.




정리해 둡시다.

관계대명사 that, what의 구별


선행사의 유무로 판단한다. 선행사가 있으면 that, 선행사가 없으면 what을 쓴다.


그럼 다음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관계 대명사, 관계부사 구별




구별의 가이드라인


이번에 공부할 것은 관계대명사절과 관계부사절의 구별입니다. 관계대명사과 관계부사를 구별하는 대락적인 가이드라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 번 봅시다.


(1) 문법적으로는, 관계대명사는 관계대명사가 속한 문장 안에서 명사나 대명사의 역할을 하며, 주어나 목적어로 사용됩니다. 이에 대하여 관계부사는 그것이 속한 문장 속에서 주로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역할을 합니다.


(2) 형식상으로는 관계대명사가 속한 절은 주어나, 목적어 중 하나가 없는 불완전한 문장이고, 관계부사가 있는 절은 생략된 말이 없는 완전한 문장이 옵니다.




예문을 봅시다.


(1) 관계대명사 + 불완전한 문장

- He is the man who killed the lion.     

      (그가 남자다/ 그 사자를 죽였던.)


(2) 관계부사 + 완전한 문장

This is the reason why he cheated me.    

      (이것은 이유이다/ 그가 나를 속였던.)




문법적 설명


문법적으로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를 구별할 수도 있습니다. 


한 번 볼까요?


1번에서는, 선행사 ‘the man'를 대신하는 who가 'who killed the lion’라는 문장에서 주어역할을 하므로 관계대명사인 who를 써야합니다. 2번에서는 선행사 ‘the reason'을 수식하는 ’why he cheated me'라는 문장이 동사 ‘cheated'를 수식합니다. 그러므로 관계부사인 where가 와야 한다.




그렇지만, 이렇게 설명하면 개념의 반복이 될뿐,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를 실제로 사용하는 데는 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형식적’이고 실제적인 설명이 필요합니다.



형식적 설명


(1) 번에서는, 선행사가 사람이고 ‘killed'라는 동사의 주어가 생략되었으므로 관계대명사 who를 써야한다. (2)번에서는 ’why 이하문장‘이 주어와 목적어가 다 있는 완전한 문장이므로 관계부사를 써야한다.


이렇게 형식적인 설명이 훨씬 더 잘들어 옵니다. 




그래서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는 다음과 같이 정리합시다.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의 구별


관계대명사 다음에는 장이 불완전하고, 관계부사 다음에는 문장이 완전하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관계부사



관계부사


관계부사는 역시 관계대명사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즉, 앞에 있는 선행사를 설명하고 문장을 이어줍니다. 그렇지만 뒤에 있는 문장에서 부사역할을 한다는 것만 다릅니다.




관계대명사


뒤에 오는 문장에서 주어나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예문을 봅시다. 


① 관계대명사 -주어역할-

You have just met the boy/            너는 방금 소년을 만났어/

who hacked the FBI.                     그런데 그 소년이 FBI를 해킹했어


관계대명사 'who'는 뒤 문장에서 'hacked'라는 동사의 주어 역할을 합니다.




관계부사 -부사 역할-


I visited the place/                      나는 그 장소를 방문했다/

where Lincoln was killed               (그런데 거기서) 링컨이 죽음을 당했다.


관계부사 ‘where'는 'was killed'를 수식하는 장소부사역할을 합니다.




주의할 것이 있습니다. 관계대명사나 관계부사는 기본적으로 앞에 있는 선행사를 설명하는 형용사절입니다. 관계대명사니 관계부사니 하는 명칭은 뒤에 있는 문장에서 하는 역할에 따라 결정되는 것입니다. 뒤에 문장에서 주어나 목적어 역할을 하면 ‘관계 대명사’부사 역할을 하면 ‘관계부사’가 되는 것입니다.



관계부사의 해석


해석은 관계대명사와 마찬가지로 ‘그런데’를 넣어서 이어가십시오. 

예를 봅시다.


This is the day/                       그날이다/

when Lincoln was killed.            (그런데 그 때) 링컨이 죽음을 당했다.



감으로 해석해서는 실력이 늘지 않습니다. 이 해석은 하나의 가이드에 불과하지만 관계사를 논리적으로 해석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여러분이 실력을 커감에 따라 자연스레 작아서 버리는 옷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다음에 뵙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관계대명사 제한적용법, 계속적 용법




관계사절 - 형용사절


관계대명사 이끄는 절을 ‘관계대명사절’이라고 하며, 선행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절 역할을 합니다. 관계대명사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여기서는 기본형 -who, which-만을 설펴보기로 하겠습니다.


1. Mr. Lee is the obstinate man who has his own way.

   (이씨는 완고한 남자다/ 자기 고집대로 하려고 하는.)


2. This is the car which you bought for me.

    (이것은 차다/ 당신이 나에게 사준.)


1번에서, 관계대명사절 'who has his own way'는 주절에 포함된 선행사 ‘the obstinate man'을 설명하는 형용사 절입니다. 마찬가지로 2번 문장에서도, which you bought for me’는 ‘the car'를 설명하는 형용사 절이 됩니다.





한정적․ 계속적 용법


1. I have two daughters who are Drs. of Chemistry. (제한적)

   (나는 두 명의 딸들이 있다/ 화학박사들인.)

2. I have two duaghters, who are Drs. of Chemistry. (계속적)

   (나는 딸이 둘 있다. 그런데 그들은 화학박사들이다.)


1번과 2번은 ‘,’를 제외하고는 큰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의미는 다릅니다. 1번과 같이 ‘,’없이 쓰인 관계대명사절은, 제한적 용법이라고 하며 특정한 선행사 ‘two daughters'만 설명하고 있습니다. 1번 문장에서는 딸들이 ’두 명 이상‘일 수도 있습니다. ’화학자가 된 딸들만 두 명이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죠.


이에 반하여 ’,‘와 함께 쓰인 2번 문장은 계속적용법 이라고 하며, ’딱 두 명의 딸들‘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두 명의 딸이 있고, 그 딸들이 화학박사들이다‘라는 의미입니다. 제한적, 계속적 용법을 너무 어려워 할 필요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관계대명사는 제한적 용법으로 쓰입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으면 계속적 용법으로 쓸 필요가 없습니다. 




다음과같이 정리하면 됩니다.



관계대명사절 


1. 대부분의 관계대명사는 제한적 용법으로 사용된다.

2. 관계대명사는 앞에 있는 선행명사를 설명하는 형용사절의 역할을 한다. 



소중한 시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계대명사 관계부사의 구별  (27) 2013.02.20
관계부사  (3) 2013.02.20
관계대명사 해석  (0) 2013.02.19
관계대명사  (2) 2013.02.19
관계대명사의 격  (1) 2013.02.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