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사절이란?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영어 문법에서 많은 분들이 어려워하는 부사절(Adverbial Clause)에 대해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부사절은 문법이 어렵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형태를 종잡을 수 없기 때문에 어렵게 보입니다. 공부하다보면 문법이라기 보다는 단어 실력이라는 생각마저 듭니다. 어쨌든 문장을 정확히 이해하고 자연스러운 영어를 사용하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문법이기도 합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부사절의 정의와 쉬운 예문
2. 부사절이 수식하는 대상 (동사, 형용사, 부사)
3. ‘that’ 부사절의 뜻과 사용법
4. 마무리하며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해 봅시다!
1. 부사절의 정의와 쉬운 예문
부사절이란 문장에서 부사의 역할을 하는 절로, 동사나 형용사, 그리고 부사를 수식하는 절을 말합니다.
부사절을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다음 세 가지 형태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1) Jack spoke thoughtlessly. (기본 부사)
Jack spoke without thinking. (부사구로 수식)
Jack spoke before he thought. (부사절로 수식)
의미는 모두 "잭은 경솔하게 말했다"로 같습니다. 세 문장에서 "thoughtlessly, without thinking, before he thought"는 동사 spoke를 수식하는 부사 역할을 합니다.
(2) The school stands there. (기본 부사)
The school stands at the crossroads. (부사구로 수식)
The school stands where the roads meet. (부사절로 수식)
수식하는 부사구에 따라 좀 더 구체적인 의미를 갖습니다. "학교는 저기에 있다"는 문장이 "학교는 도로들이 만나는 곳에 있다"는 뜻으로 의미가 확장됩니다.
세 문장에서 " there, at the crossroads, where the roads meet"는 동사 stands를 수식하는 부사 역할을 합니다.
(3) We pay our rent monthly. (기본 부사)
We pay our rent on the first of every month. (부사구로 수식)
We pay our rent when the first of the month comes. (부사절로 수식)
역시 의미는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수식하는 부사가 길어질수록 정보가 많아질 뿐입니다. "monthly, on the first of every month, when the first of the month comes" 등이 부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부사절이란 위에서 보듯이 "접속사 + 주어 + 동사"절이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2. 부사절이 수식하는 대상 (동사, 형용사, 부사)
부사절은 주로 동사를 수식하지만, 또한 형용사나 부사까지도 수식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예문을 통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1) He was angry because he had failed.
(그는 실패했기 때문에 화가 났다.)
→ [형용사 angry 수식]
(2) I am uncertain which road I should take.
(나는 어느 길을 가야 할지 확신하지 못하겠다.)
→ [형용사 uncertain 수식]
(3) The horizon extended farther than eye could see.
(수평선은 눈에 보이는 것보다 더 멀리 펼쳐져 있었다.)
→ [부사 farther 수식]
(4) A wall protected the path here, where the cliff was steepest.
(벽은 절벽이 가장 가파른 이곳의 길을 보호했다.)
→ [부사 here 수식]
부사절이 단순히 동사만 수식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품사를 수식할 수 있습니다. 앞서 말했듯이 해석을 못하면 부사절을 파악할 수 없습니다. 해석이 되어야 어떤 말을 수식하는지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조금 더 어려운 부사절을 보겠습니다.
3. ‘that’ 부사절의 뜻과 사용법
'that'으로 시작하는 절도 동사나 형용사, 부사를 수식하여 부사절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런 that절은 주로 '~하기 때문에(because)' 또는 '~라는 사실(as to the fact that)'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1) He rejoiced that he won the game.
(그는 경기를 이겼기 때문에 기뻐했다.)
→ [동사 rejoiced 수식]
(2) I am glad that you are coming.
(나는 네가 온다는 사실에 기쁘다.)
→ [형용사 glad 수식]
(3) He was positive that there had been no harm.
(그는 아무런 피해가 없었다는 사실에 확신했다.)
→ [형용사 positivie 수식]
(4) They were afraid that the scandal would be revealed.
(그들은 스캔들이 폭로될까 봐 두려워했다.)
→ [형용사 afraid 수식]
"that 주어 동사" 절은 문장에서 동사와 형용사를 수식하고 있습니다. 역시 수식을 통해서 의미를 추가하고 있습니다. 수식어구나 절이 길어진다고 해서 역할이 바뀌는 것은 아닙니다. 부사는 동사나 형용사를 수식합니다.

4. 마무리하며
지금까지 꽤 어려운 문법인 부사절의 정의와 예문, 사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부사절을 이해하면 보다 정확한 문장 구성이 가능하며, 영어를 훨씬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명사절과 형용사절 등 영어 문장의 필수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도 관심이 있으신가요? 그렇다면 아래 관련 링크를 확인해 보세요.
- [명사절 쉽게 배우기 (링크 삽입)]
- [형용사절 총정리 (링크 삽입)]
다음 시간에 더 유익한 내용으로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위에서 공부한 부사절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입니다. 다운로드해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소유격 표현 쉽게 정리하기 (of와 to 차이 및 예문) (2) | 2025.04.07 |
---|---|
have been to, have gone to, have been in (5) | 2025.04.04 |
현재완료 -의미- (0) | 2025.04.04 |
현재분사, 과거분사 (0) | 2025.04.02 |
동명사 형태와 역할 (1)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