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d ~ing’는 자주 쓰이는 표현입니다. mind ~ing가 들어간 표현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해도 될까요?
= Would you mind ~ing
= Do you mind ~ing
= May I ~
= Would you please?
1. 정중한 부탁
mind가 동사로 쓰일 때는 ‘~을 꺼려하다’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mind ~ing'는 ’~해도 될까요‘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을까요? 그 이유는 'mind ~ing'가 ’거절하면 싸가지 없는 부탁‘에 쓰이기 때문입니다.
다음 상황을 봅시다.
(1) A: Would mind opening the widow? (꺼려하십니까/ 창문을 여는 것을?)
B: Certainly not. (전혀 아닙니다)
A가 한 말을 직역하면 ‘창문을 여는 것을 꺼려하십니까?’입니다. 이것은 상대의 입장을 고려한 예의바른 부탁입니다. 창문 좀 열어도 될까요?’라고 하면 대부분 동의합니다. 이 상황에서 거절하면 사회성에 문제 있는 것입니다. 'mind ~ing'는 위와 같이, 사소한 부탁을 정중하게 할 때 사용됩니다.
(1)번은, 정중한 어감을 살려, 'May'를 써서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1-1) Would you mind opening the window?
= May I open the window?
2. 부정으로 대답
'would you mind ~ing?‘로 물어보면, 부정어를 써서 대답해야 합니다.
다음 예문을 봅시다.
A: Would you mind my asking a question? (질문해도 꺼려하지 않으시겠어요?)
B: Not at all. (전혀요)
= Sure.
= Go ahead.
동사 mind는 ‘~을 꺼려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would you mind ~ing'를 직역하면 '~하는 것을 꺼려하십니까’라는 뜻이 됩니다. 이 상황에서 'yes'라고 하면 ‘예, 꺼려합니다’라는 굉장히 뻘쭘한 답이 되어 버립니다. 부정어를 써야만 ‘꺼려하지 않습니다’, 즉 ‘괜찮습니다’는 의미를 갖게 됩니다.
그렇지만 구어에서는 위 예문에서 보는 것처럼 'sure, go ahead'를 쓸 수도 있습니다. ‘Would you mind ~ing'라는 표현 자체가, ’꺼려하다‘는 의미는 없어지고, 정중한 부탁만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최상급 'least(가장 적은)‘를 포함하고 있는 이 표현들은 자주 사용됩니다. 그렇지만 영어권 네이티브들도 어려워 하는 것들입니다. 어려운 표현들이라, 의미를 벗어나지 않은 선에서 의역을 했습니다.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차례로 살펴 보겠습니다.
1. last but not (the) least
last but not (the) least : 아주 중요한
(=last but by no means least)
(1) 의미
'last but not least'는 연극에서 온 말입니다. 무대에서 배우를 소개할 때는 주연배우가 맨 나중에 등장합니다. 주인공은 마지막에 등장하는 것이죠. 당연히, 마지막에 등장한 주인공이 ‘아주, 또는 가장 중요한’ 사람입니다. 그래서 이 표현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게 되었습니다.
last but not least : (직역) 마지막이지만 결코 가장 적게 중요한 것은 아닌
(의미 1)마찬 가지로 중요한
(의미 2) 아주 중요한
(의미 2)가장 중요한
흥미롭게도 영어권 네이티브들은 ‘의미 1, 2’로, 비영어권 화자들은 ‘의미 3’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아주 중요한’이라고 쓰는 편입니다)
정관사(the)를 사용해서 ’last but not the least'로 쓰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주로 정관사 없이 사용됩니다.
(2) 예문
‘last but not least'는 주로 연설에서 사용됩니다. 즉, 약간 ’과장‘하는 뉘앙스를 가집니다. 일상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약간 ’무거운‘ 말입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① Joe, you are last but not least.
(죠, 너가 마지막이지만, 마찬가지로 중요해)
② Last but not least, I'm love you, Sue!
(아주 중요한 것인데, 난 너를 사랑해, 수!)
③ Last but not least, It's the matter of money, Jack.
(가장 중요한 것은, 돈의 문제라네, 잭)
예문에서 보는 것처럼 'last but not least'는 독립적으로 쓰일 수 있습니다.
2. not the least of which A
‘not the least of which A' 역시 상당히 어려운 구문이므로 잘 보셔야 합니다.
(1) 의미
'not the least of which'는 ‘not the least'와 ’관계대명사(of which)가 결합된 표현입니다. 정관사 없이(not least of which)도 쓰이지만, 보통은 정관사와 함께 사용됩니다.
'not the least of which A‘는 ’A역시 다른 것들만큼 중요하다‘라는 뜻입니다. 의미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not the least of which A : (직역) 결코 A가 가장 적게 중요한 것은 아니다.
(의미1)A도 아주 중요하다
(의미2) A가 가장 중요하다
영어권에서는 ‘의미 1’로 쓰입니다. 그러나 영한사전에는 ‘의미 2’로도 나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아주 중요한’ 이라고 쓰고 있습니다)
(2) 예문
① There are many important things is life, not the least of which is health.
(많은 중요한 것들이 인생에는 있다/ 그 중에서 건강도 다른 것 못지않게 중요하다)
('of which'는 'many important things를 받는 관계대명사입니다. 해석은 '그 중에서‘입니다)
② There are several reasons to learn English, not the least of which is to get a job.
(몇 가지 영어를 공부하는 이유가 있다, 그 중에서 직업을 구하는 것도 중요한 이유다)
('of which'는 ‘several reasons'를 받는 관계대명사입니다. 해석은 역시 ’그 중에서‘가 됩니다)
Nikon said it would halt production of all but two of its seven film cameras and would also stop making most lenses for those cameras. The company will halt production of the film camera models "one by one," though it refused to specify when.
(니콘은 생산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일 곱개 필름 카메라 중에서 두 개를 제외하고/ 그리고 그 카메라를 위한 렌즈 생산도 중단할 것이라고. 그 회사는 필름 카메라 모델생산을 을 ‘하나씩’ 중단할 것이다/ 언제라고는 밝히길 거부했지만)
(1) As soon as(When) he heard the news, he turned pale.
On hearing the news, he turned pale.
(그 소식을 듣자마자, 그는 창백해 졌다)
다음은 'as soon as'와 같은 의미를 지닌 표현들입니다.
On seeing me, he ran away.
= As soon as he saw me, he ran away.
= The moment he saw me, he ran away.
= Hardly had he seen me when(before) he ran away.
= Scarcely had he seen me when(before) he ran away.
= No sooner had he seen me than he ran away.
(그는 나를 보자마자 도망갔다)
'on ~ing'가 들어간 영문을 읽어 봅시다.
■ 다음 영문을 해석하시오.
On Leaving New York, I've been putting off writing about it because it seems like too much to cover, but then that's probably the whole point. We make obstacles of things by building them up in our minds, when they were never really that big a deal to begin with. And no attempt at writing ever got easier through procrastination.
(뉴욕을 떠나자마자, 나는 그것에 대하여 쓰는 것을 미뤄왔다/ 왜냐하면 너무 다루어야할 게 많아서였다. 그렇지만 그것이 아마도 핵심일 수도 있다. 우리는 장애물을 만든다/ 우리 마음 속에 그것들을 쌓아 올리면서, 실제로 그렇게 큰 문제가 아닌데도. 그리고 쓰는 것은 절대 쉬워지지 않는더/ 미루기만 해서는)
(2) Reading is to the mind what foodis tothe body.
(독서가 마음에 대한 관계는 음식이 신체에 대한 관계와 같다)
(3) Moneyis tous what freedomis toslaves.
(돈이 우리에 대한 관계는 자유가 노예에 대한 관계와 같다)
(4) The cupis toDionysus what the shieldis toAres.
(술잔이 디오니서스에 대한 관계는 방패가 아레스에 대한 관계와 같다)
‘A is to B what C is to D’가 들어간 글입니다.
■ 다음 영문을 해석하시오.
Metaphor, Aristotle argued, depended on understanding that a relationship between two concepts equ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different concepts. A is to B what C is to D. The new processoris toother processors what Ferrariis toother cars: i.e. faster.
(은유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에 따르면, 이해하는 것에 달려있다/ 두 개념들 사이의 관계가 다른 두 개념들 사이의 관계와 같다는 것을. 즉, ‘A가 B에 대한 관계는 C가 D에 대한 관계와 같다’는 것이다. 새로운 프로세서와 다른 프로세서의 관계는 페라리와 다른 차들과의 관계와 같다: 즉, 더 빠르다)
오늘 살펴볼 단어는 chaos와 cosmos입니다. 카오스는 태초의 혼돈을 의미합니다. 빛과 어둠도 존재하지 않고, 어떠한 형체도 갖추어지지 않는 상태입니다. 그렇다고 카오스가 텅빈 상태는 아닙니다. 사물의 씨앗들이 그저 존재하는 상태입니다.
시간도 없이 존재하던 카오스에 균열이 생겨 ‘틈새’가 생기게 됩니다. 여기서 신들과 괴물들이 생겨납니다. 혼돈 속에서 나온 존재들이라 거칠고 난폭했습니다. 사실 초기에는 신과 괴물의 구별이 없었습니다. 다들 괴물에 가까웠습니다. 승리한 쪽은 신, 패배한 쪽은 괴물이라고 불리게 되죠.
chaos
카오스는 우리 주위에서 흔하게 볼 수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한얼 아빠의 책상입니다. 한얼이 엄마가 치워주기전까지 한얼 아빠의 책상은 말 그대로 ‘카오스’, 즉 ‘혼돈’입니다. 한얼엄마의 호통과 손길이 지나가야만 질서와 조화가 자리합니다.
코스모스와 화장품(cosmetics)
아무튼 권력투쟁 끝에 제우스가 혼돈에 종지부를 찍고 ‘빛’을 가져 옵니다. 제우스가 쓰는 무기가 ‘번개’인 것도 ‘빛’과 관계가 있습니다. 제우스 이후부터는 ‘로고스(logos)’, 다시 말하면 이성의 시대가 시작됩니다.
이렇게 카오스(혼돈)의 시대가 끝나고 질서와 조화가 시작되는 세계를 코스모스라고 합니다. 그래서 코스모스는 ‘질서,’와 ‘조화’를 의미하게 됩니다. 우리가 잘아는 꽃 ‘코스모스’의 꽃말도 ‘조화’입니다.
cosmos flower
코스모스를, 우주라는 뜻으로 쓴 것은 피타고라스가 처음이라고 합니다. 그렇지만 cosmos는Univers에 가려 별로 빛을 못 보다가, 19세기 중반에 와서야 널리 쓰이게 되었습니다.
cosmos 우주
Cosmos가 들어간 영어 단어 중에서 cosmetic이 있습니다. ‘cosmetic’은 ‘화장품’이라는 말입니다. ‘cometic’의 어원은 풀어보면 ‘조화로운, 질서있는’이라는 뜻입니다. 화장품의 기능을 생각해 보면 금방 느낌이 오질 않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