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aluable, priceless, valueless 의미 차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가치‘와 관계된 단어들을 보겠습니다.

invaluable, priceless, valueless

 

글의 내용

1. invaluable   

2. priceless    

3. valueless

4. 연습문제 다운로드

 

각 단어별로 살펴 보겠습니다.


1. invaluable: 대단히 귀중한

(=very valuable, extremely useful)

 

많은 사람들이 invaluable을 종종 ‘가치가 없는’이라고 잘못 이해합니다. 그 이유는 접두사 in- 때문인데요, 이 접두사는 보통 부정적인 의미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다음과 같은 단어들에서 접두사 in-은 "not"의 뜻으로 쓰입니다.

  • inaccurate(부정확한)
  • incapable(무능한)
  • inaccessible(접근할 수 없는)

사실 invaluable은 1600년대에 ‘가치가 없는(without value)’이라는 뜻으로 사용된 적도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며 ‘가치를 매길 수 없을 정도로 귀중한’이란 긍정적인 뜻만 남게 되었습니다.

 

다음 예문으로 invaluable의 뜻을 정확히 알아봅시다.

 

(1) He gave me invaluable help.
     그는 나에게 매우 귀중한 도움을 주었다.

(2) This book is invaluable for students learning English.
      이 책은 영어를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아주 유용하다.


2. priceless: 값을 매길 수 없는, 대단히 귀중한

(=precious, highly valuable)

 

priceless는 price(가격)에 부정적 접미사 '-less'(~이 없는)가 붙은 단어입니다. 따라서 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가격이 없다’지만, 실질적인 의미는 ‘가치가 너무 커서 가격을 매길 수 없는’이 됩니다.

 

priceless가 사용된 예문을 살펴봅시다.

 

(1) a priceless jewel
     매우 귀중한 보석

 

(2) The museum has a priceless collection of antiques.
     그 박물관은 값을 매길 수 없을 정도로 귀중한 골동품 컬렉션을 보유하고 있다.

 

priceless는 의미를 더욱 강조할 때도 자주 사용됩니다. 이런 경우 ‘precious(귀중한)’의 과장된 표현이 됩니다.

 

(3) Isn't my handbag priceless?
      내 핸드백 정말 멋지지 않니?

(4) Your story was priceless!
      네 이야기는 정말 재미있었어!

 

다만 (3), (4)번 문장은 지나치게 호들갑 떤다는 느낌을 주므로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나내는" 사람 안 좋게 생각하는 것은 동서양 공통인가 봅니다.

priceless


3. valueless: 가치가 없는

(=worthless, having no value)

 

valueless는 value(가치)에 접미어 '-less'가 붙어서 만들어진 단어입니다. 따라서 이 단어는 정확히 ‘가치가 없다’는 부정적인 의미를 나타냅니다. 위에서 언급한 invaluable, priceless와 달리 겉보기 어근 분석이 속뜻과 같습니다.

 

다음 예문으로 의미를 확인해 보세요.

 

(1) The book is valueless for your time.
     그 책은 네 시간을 들일 만한 가치가 없어.

(2) A life without love is valueless.
     사랑 없는 삶은 가치가 없다.

valueless

 

4. 연습문제 다운로드

위에서 공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입니다. 다운로드해서 문제를풀어 보세요.

invaluable priceless valueless 구별 문제.pdf
0.16MB
invaluable priceless valueless 구별 문제 정답.pdf
0.16MB

 

 

이상으로 invaluable, priceless, valueless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헷갈리기 쉬운 영어 단어인
remember, remind, recall, recollect의 차이점
을 명쾌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

 

remind, remember, recall, recollect 뜻 정리

기억을 나타내는 영어 단어들로는 remember, remind, recall, recollect 등이 있습니다. 같은 뜻 같지만 뉘앙스가 다릅니다. 각 단어의 의미를 간단히 정리해 봅시다.

 

  • remember : 기억하다 (가장 일반적)
  • remind : 기억나게 하다, 상기시키다
  • recall : (노력해서) 기억해 내다, 상기하다 (격식)
  • recollect : (애를 써서) 회상하다, 떠올리다 (격식)
  •  

이들 단어들은 억하다’‘기억나게 하다’를 기준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기억하다 : remember, recall, recollect
  • 기억나게 하다, 상기시키다 : remind

1. remember : 정확한 뜻과 예문

(1) remember : 타동사, 자동사

remember는 ‘이전의 사실을 생각해 내는’ 가장 일반적인 단어입니다. remember 다음에는 명사, 구, 절이 모두 올 수 있습니다.

① remember + 명사

    ex) I remember the meeting place.

        (나는 기억한다/ 만날 장소를)

② remember + 구

    ex) I remember to meet where.

        (나는 기억한다/ 만날 곳을)

③ remember + 절

    ex) I remember where we should meet.

        (나는 기억한다/ 어디서 만날지)

 

(2) remember + 부정사, remember + ~ing

remember 다음에 부정사가 올 때와 동명사가 올 때는 의미가 달라집니다. 아주 중요한 용법이니 따로 설명했습니다.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송성태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remember, forget + to부정사, 동명사 (예문 설명)


2. remind : 기억나게 하다

(1) remember VS remind
remember는 ‘주어가 무엇인가를 기억하다’는 의미입니다. 그런데 remind는 ‘주어가 목적어에게 무엇인가를 기억나게 하다’라는 의미입니다.
① I remember your name.

     (나는 당신의 이름을 기억합니다)

② I don't remember your name. Can you remind me please?

     (나는 당신의 이름을 기억하지 못합니다. 한 번 더 말씀해 주시겠습니까?)

(2) remind A of B, remind A to do ~

remind는 자주 ‘전치사 of’나 ‘to 부정사’와 함께 사용됩니다.
③ remind A of B : A에게 기억나게 하다/ B를
    ex) She remind me of her mother.

          (그녀는 나에게 그녀의 엄마를 생각나게 한다)
④ remind A to do : ~할 것을 기억나게 하다

    ex) Remind me to send an e-mail to him please.
          (나에게 상기시켜주세요/ 그에게 e-mail 보내는 것을)

(3) remind + 전치사, 절
물론 remind는 다음에는 of 이외의 다른 전치사가 올 수 있고, 절을 쓸 수도 있습니다.
⑤ remind A about B : A에게 기억나게 하다/ B에 대하여
     ex) A : Don't forget to phone your parents.
                (잊지 마라/ 부모님께 전화하는 것을)
           B : Remind me about it tomorrow, O.K?

                (내일 한 번 더 얘기해 줄래?)
⑥ remind A that s v : A에게 기억나게 하다/ that 이하를
     ex) I have to remind you (that) you are already late.
           (이건 말해야겠는데/ 넌 이미 늦었어)


3. recall : 기억해 내다

recall에는 ‘사실을 기억해 내려고 노력하다’라는 의미가 들어 있습니다. recall은 remember와 의미가 같지만, 격식을 갖춘 상황에서 사용합니다.

(1) 기억하려고 노력하다.
ex) I recall exactly where the accident took place.
       (나는 정확히 기억한다/ 어디서 그 사고가 발생했는지)

(2) 격식을 갖춘 상황에서 사용.
 ex) We distinctly recall warning you of all the side effects of this medicine.
       (우리는 분명히 당신에게 경고했습니다/ 이 약의 모든 부작용에 대하여)

 


4. recollect : (애를 써서) 기억해 내다, 회상하다
recollect 역시 격식을 갖춘 상황에서 쓰이며, 기억하려고 애를 쓰는 것입니다.

(1) 기억하려고 노력하다
ex) I can't recollect for the life where I put my key.

      (나는 절대 기억해 낼 수 없어/ 키를 어디 두었는지)

    이 경우에 recollect는 recall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2) (과거를) 회상하다
ex) Adults recall memories of childhood when they watch their old photos.
      (어른들은 어린 시절을 회상한다/ 그들이 자신들의 오래된 사진을 볼 때)

 

 

그럼 이상으로 remember, remind, recall, recollect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헷갈리는 영어 단어 쌍 67"입니다. 우리가 글에서 자주보는 혼동되는 단어들을 모아 설명했습니다. 한 번 보시기 바랍니다.

 

 

 

 

필요하신 분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bring 구동사

 

이번 시간에는 자주 사용되는 영어 구동사(phrasal verbs)를 공부하겠습니다.
특히 bring을 활용한 숙어 표현은 영어 회화와 독해에서 자주 등장합니다. 의미를 잘 기억해 두시길 바랍니다. 

 

먼저 오늘 공부할 bring 구동사들의 의미를 간략하게 정리하겠습니다.

 

bring 구동사 정리

(1) bring about

      초래하다

(2) bring forth

     낳다, 생산하다

(3) bring forward

     (날짜를) 앞당기다

     (안건을) 제기하다

(4) bring on

     초래하다

     성장을 돕다

(5) bring out

     (신제품을) 발표하다

     (잠재력을) 끌어내다

(6) bring round

     (의식을) 되찾게 하다

     설득하다

(7) bring up

     (화제를) 꺼내다

     양육하다


 

각 구동사별로 의미와 예문을 살펴 봅시다.

1. bring about (초래하다)

ex) The smartphone brought about huge cultural changes.
      스마트폰은 거대한 문화적 변화를 초래했다.

2. bring forth (~을 낳다, 생산하다)

ex) War brings forth poverty.
      전쟁은 가난을 낳는다.

 


3. bring forward (앞당기다 / 제기하다)

① (날짜를) 앞당기다

ex) It's an emergency. We have to bring forward the meeting date.
      긴급 상황입니다. 회의 날짜를 앞당겨야겠습니다.

 

② (안건을) 제기하다

ex) The government brought forward the plans for reducing inflation.
      정부는 인플레이션을 줄이기 위한 계획을 제기했다.

 

4. bring on (초래하다 / 성장을 돕다)

① 초래하다

ex) The accident was brought on by his carelessness.
      그 사고는 그의 부주의에 의해 초래되었다.

 

② 성장을 돕다

ex) Society should bring on poor children.
      사회는 가난한 아이들이 성장하도록 도와야 한다.


 

5. bring out (발표하다 / 끌어내다)

① (신제품을) 발표하다

ex) Apple recently brought out the latest iPhone.
      애플은 최근 최신 아이폰을 발표했다.

 

② (잠재력을) 끌어내다

ex) Love brings out the best in a person.
      사랑은 사람에게서 최고의 잠재력을 끌어낸다.

6. bring round (정신이 들게 하다 / 설득하다)

① (의식이나 정신을) 되찾게 하다

ex) A slap in the face brought him round.
      뺨을 한 대 맞자 그는 정신을 차렸다.

 

② 설득하다

ex) She tried to bring him round to the dangers of smoking.
      그녀는 흡연의 위험에 대해 그를 설득하려 했다.


 

7. bring up (꺼내다 / 양육하다)

① (화제를) 꺼내다

ex) His wife brought up the subject of divorce.
      그의 아내가 이혼 이야기를 꺼냈다.

 

② 양육하다

ex) She brings up her son strictly.
      그녀는 아들을 엄격하게 양육한다.


 

이상으로 자주 쓰이는 bring 구동사 숙어 7가지를 정리했습니다.
영어 실력 향상을 위해 꾸준히 반복하고 실제 회화와 독해에서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제가 쓴 "영어 구동사 167" 책입니다. 영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구동사 167개를 선택하여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세요.

 

 

 

필요하신 분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영어 구동사(phrasal verb) 정리 – Break (뜻과 예문)

 

 

 

3형식을 공부하기에 앞서 영어 구동사(영어 숙어)를 공부하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영어 3형식을 공부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구동사(phrasal verb)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특히 영어 회화와 시험, 작문 실력에 직결되는 기본 동사 표현들을 차근차근 정리해 보겠습니다.

 

구동사(phrasal verb)는 기본 동사와 전치사나 부사가 결합해 특별한 의미를 갖게 되는 표현입니다.  영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기본 동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break, bring, call, carry, come,

do, fall, get, go, keep, look, make,

put, run, set, take, turn 등.

 

이번 글에서는 break를 중심으로 자주 사용되는 구동사를 예문과 함께 정리하겠습니다. 

엄밀하게 말하면 구동사(phrasal verb)와 숙어(idiom)은 다릅니다. 그렇지만 같은 의미라고 생각하셔도 크게 문제될 것은 없습니다. 구동사는 ‘Longman Phrasal Verbs’ 사전을 참고 했습니다.

 

1번 break부터 시작하겠습니다.

Break 구동사 간단 정리

break away : 떨어져 나가다

break down : 고장 나다

break in : 길들이다 / 침입하다 / 끼어들다

break into : 강제로 들어가다 / 웃음·울음을 터뜨리다

break out : 발생하다 / 탈출하다

break through : 돌파하다

break up : 부서지다 / 끝나다

 

각 구동사별 예문들입니다. 

 

break away, break down

 

1. break awa (떨어져 나가다)

ex) In 1948, North Korea broke away from South Korea.
      (1948년 북한은 남한으로부터 떨어져 나갔다.)

2. break down (고장 나다)

ex) My old car broke down again on my way home.
     (내 낡은 차가 집에 오는 길에 또 고장 났다.)

break in

 

3. break in

의미 1: (동물이나 신발 등을) 길들이다
ex) The cowboy tried to break in the wild horse.
       (카우보이는 그 야생마를 길들이려고 했다.)

의미 2: 침입하다

ex) An armed robber broke in the neighborhood yesterday.
      (무장 강도가 어제 동네에 침입했다.)

 

의미 3: 끼어들다

ex) Don't break in our conversation so abruptly!
      (우리 대화에 그렇게 갑자기 끼어들지 마세요!)

 

 

break into

4. break into

의미 1: 강제로 들어가다

ex) Thieves broke into the bank’s safe last night.
      (도둑들이 지난밤 은행 금고를 털었다.)

의미 2: (웃음이나 눈물 등을) 갑자기 터뜨리다

ex) She broke into a loud laughter at his proposal.
      (그녀는 그의 청혼에 갑자기 큰 웃음을 터뜨렸다.)

                                                  break out, break through

5. break out

의미 1: (전쟁 등이) 발생하다

ex) The Korean War broke out in 1950.
      (한국 전쟁은 1950년에 발생했다.)

의미 2: 탈출하다

ex) A dangerous prisoner broke out of jail yesterday.
      (어제 위험한 죄수가 탈옥했다.)

 

6. break through

의미: 돌파하다

ex) A hacker broke through the Pentagon's security system.
     (한 해커가 미 국방부의 보안 시스템을 돌파했다.)

7. break up

의미 1: 부서지다

ex) A glass fell down from the table and broke up into pieces.
      (유리잔이 테이블에서 떨어져 조각나 버렸다.)

의미 2: (관계나 모임이) 끝나다

ex) The star couple broke up after dating for 100 days.
      (그 스타 커플은 사귄 지 100일 만에 헤어졌다.)

 

그럼 이상으로 break에 대한 구동사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영어 구동사 167" 책입니다. 영어에서 자주 사용하는 구동사 167개를 골라서 간략하게 뜻과 예문, 동의어를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세요.

 

 

 

책이 필요하신 분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영어 글쓰기 잘하는 법

 

1. 생각을 글로 표현하는 즐거움

우리들은 쉽게 말합니다. 우리들은 말하기 좋아합니다.

하지만 우리들은 쉽게 쓰지 못합니다. 더욱이 쓰기는 싫어합니다. 우리들은 흥미가 있는 주제에 관하여 친한 사람들과 편하게 이야기 합니다. 우리들은 별로 흥미가 없는 주제에 관하여 전혀 친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작문이나 보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글쓰기를 싫어하는 것도 이해가 갑니다.

 

2. 글쓰기의 원천: 세 가지 생각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글쓰기가 즐거워질까요?

첫 사랑을 고백했던 때를 생각해 봅시다. 떨리는 손으로 설레는 마음을 담아 편지를 쓸 때, 더 없이 즐거웠을 겁니다.

자신의 생각을 말로 표현하는 것은 즐겁습니다. 자신의 생각을 글로 표현하는 것은 더 즐거울 수 있습니다. 자신의 생각을 ‘분명하고, 효과적으로, 그리고 즐겁게’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자신의 생각을 '분명하게, 효과적으로, 즐겁게' 표현할 수 있다면 글쓰기는 더 이상 부담이 아닙니다.

 

생각을 표현하기 전에 생각이 있어야 합니다.

우리의 생각은 크게 세 가지 원천에서 나옵니다.

 

(1) 직접 경험에서 오는 생각

우리들은 매일 오감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받아들입니다. 우리들은 보고 듣고 행동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경험들을 통해서 사물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얻습니다. 우리들이 표현하는 생각의 대부분은 이러한 방식으로, 직접 경험에 의해서 얻어진 것입니다.

 

첫 번째 생각은 직접 경험에 바탕하고 있습니다.

 

(2) 상상력을 활용한 생각

그렇지만 우리들은 실제로 발생하지 않을 일들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우리들은 상상을 통해, 로또에 당첨되기도 하고, 영화배우와 데이트하기도 하고, 빌게이츠보다 부자가 되어 보기도 합니다. 이러한 즐거운 상상을 해보지 않은 사람은 거의 없을 겁니다.

 

두 번째 생각은 이렇게 상상에 의해서 얻어진 것입니다. 

 

(3) 간접 경험을 활용한 생각

우리들은 또한 언어를 매개로 지식을 습득합니다. 대화와 독서를 통해서 다른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을 알아갑니다. 이러한 간접 경험도 직접 경험 못지않게 생각의 중요한 원천입니다. 드라마나 영화, 혹은 소설에서 얻은 강렬한 간접 경험은 직접 경험보다 더욱 강렬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사랑하면 로미오와 줄리엣, 비극하면 멕베드를 생각하듯이 말입니다.

 

세 번째 생각은 간접 경험에 의해서 얻어진 것입니다.

 

글쓰기, 어렵지 않습니다.

직접 경험, 상상력, 간접 경험을 잘 활용하면 글쓰기가 쉬워지고 즐거워집니다. 이 세 가지 경험을 기억합시다. 자신만의 경험을 자연스럽게 적어 내려가면 훌륭한 글이 됩니다. 

 

펜을 들고 써 내려 가봅시다.

 

 

 

다음은 제가 쓴 "영어 다의어: 아는만큼 읽힌다" 입니다. 다양한 의미로 쓰이는 영어 단어를 글쓰기에 활용해 보세요.

 

 

필요하신 분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글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결하게 씁시다: 영어 글쓰기의 3가지 핵심 팁  (0) 2025.04.05
영작 (문장의 길이)  (0) 2014.01.24
어휘력 늘리는 방법  (4) 2013.10.03
글쓰기 연습  (0) 2013.10.03
좋은 글쓰기  (0) 2013.09.24

 

간결하게 씁시다. 

 

영어로 좋은 글을 쓰는 것은 어렵습니다. 사실, 모국어인 우리말로도 좋은 글을 쓰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물며 외국어로 글을 잘 쓰려면 얼마나 힘들까요?

 

하지만 좋은 글쓰기도 핵심 원칙을 지키면 누구나 가능합니다. 오늘은 독자가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는 간결한 영어 글쓰기를 위한 3가지 핵심 팁을 소개합니다.

1️. 화려함보다는 명확함을 추구합시다.

여러분은 글쓰기의 목적을 분명히 해야 합니다. 우리가 노벨 문학상을 노리고 글을 쓰는 것이 아니라면, 지나치게 화려한 표현은 오히려 독자의 이해를 방해합니다. 색채가 풍부한 형용사와 복잡한 표현은 빼고, 짧고 명확한 표현을 사용하세요.

 

좋은 예시와 나쁜 예시

  • 나쁜 예시:
    ex) The beautiful, magnificently shimmering lake under the brightly glowing sun amazed us tremendously.
          눈부시게 빛나는 태양 아래에서 아름답고 웅장하게 빛나는 호수가 우리를 몹시 놀라게 했습니다.
  • 좋은 예시:
    ex) The bright lake amazed us.
          밝은 호수가 우리를 놀라게 했습니다.

같은 의미를 지닌 문장이면 간결한 것이 좋습니다. 부사와 형용사가 넘쳐나는 장황한 문장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흐리기 때문입니다. 나쁜 예시 문장을 한번 소리내서 읽어 보세요. 혀가 꼬이고 눈과 머리가 아픕니다. 좋은 예시 문장처럼 간결한 문장은 상쾌한 기분마저 듭니다.

 

2️. 문장은 최대한 간결하게 작성합시다.

문장이 길어지면 독자는 내용을 쉽게 파악하지 못합니다. 가능한 한 문장 하나당 10단어 이내로 쓰는 연습을 해보세요.
짧게 쓰는 작가로 유명한 헤밍웨이도 이 원칙을 지켰습니다. 그는 압축해서 짧게 쓴 글로 노벨상까지 수상했습니다.  

 

간결하게 글을 쓰면 독자들은 자연스럽게 내용을 잘 이해하게 됩니다.

 

ex) I arrived early and waited. (5단어) 
      나는 일찍 도착했고 기다렸다.

 

간혹 and 다음에 같은 주어를 또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I arrived early and  waite." 같은 주어가 반복되면 문장이 산만해 집니다. 생략하는 것이 낫습니다. 물론 특별하게 강조하고 싶은 경우라면 써도 되지만 그런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3️. 주장과 근거를 함께 담아야 합니다.

좋은 글은 독자에게 명확한 메시지(주장)를 전달합니다. 하지만 주장은 근거가 없으면 설득력이 없습니다. 여러분이 제시한 주장에는 반드시 그를 뒷받침하는 예시나 근거가 있어야 합니다. 

 

ex) 간결한 글이 이해하기 쉽다.            (주장)

      헤밍웨이의 문장은 대부분 짧다.     (근거)

      그래서 많은 독자가 그의 작품을 좋아한다.  (근거)

 

이렇게 주장과 근거를 함께 담으면 독자가 여러분의 글에 공감하게 됩니다.


결론: 좋은 영어 글쓰기의 핵심은 ‘간결함’

정리하면, 좋은 글을 쓰는 핵심은 화려한 수식어보다 명확함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문장을 최대한 간결히 구성하고, 주장과 근거를 명확히 전달한다면 누구나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는 글을 쓸 수 있습니다.

 

간결하게 씁시다.

영어 글쓰기의 좋은 출발점입니다.

 

영어로 좋은 글을 쓰는 것은 어렵습니다. 사실, 모국어인 우리말로도 좋은 글을 쓰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물며 외국어로 글을 잘 쓰려면 얼마나 힘들까요? 하지만 좋은 글쓰기도 핵심 원칙을 지키면 누구나 가능합니다.

 

간결하게 씁시다.

 

 

 

다음은 제가 쓴 "네이티브처럼! 영어하기" 책 입니다. 영어권 네이티브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이디엄 100여개를 정리했습니다. 영어를 자연스럽게 쓰고 말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한 번 보세요.

 

 

책이 필요하신 분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글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글쓰기 잘하는 법 - 생각의 원천  (1) 2025.04.06
영작 (문장의 길이)  (0) 2014.01.24
어휘력 늘리는 방법  (4) 2013.10.03
글쓰기 연습  (0) 2013.10.03
좋은 글쓰기  (0) 2013.09.24

어휘학습 (어원과 어근)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영어 어휘력을 높이고 싶어 하는 많은 분들에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바로 어원과 어근을 공부하는 것입니다.

 

영어 단어 암기, 왜 어려울까요?

수많은 사람들이 영어 단어 암기에 한을 품고 있습니다. 열심히 외우지만 쉽게 잊어버리고, 그때마다 새로운 암기법을 찾아 헤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수많은 암기법들이 모두 효과적이지는 않습니다.

 

그렇다면 가장 효과적인 영어 어휘 학습법은 무엇일까요?

 

단연코, 어원과 어근 학습입니다.

어원을 알면 영어 단어가 쉬워지는 이유

모르는 영어 단어를 만날 때마다 개별적으로 외우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그 단어들의 어원을 알고 나면 자연스럽게 관련된 단어들이 이해됩니다. 어원은 우리 말의 한자와 같습니다. 한자를 알면 우리말 단어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많은 분들이 뼈저리게 느꼈겠지만 단순 반복 암기한 단어는 돌아서면 잊어 버립니다. 낯선 단어에 그 뜻만 일대일 대응시키면 기억에 쓸 연결고리가 빈약합니다. 그 결과 망각 곡선의 희생물이 되어 잊혀지게 됩니다. 어근으로 단어를 공부하면 어휘 간의 연관성이 형성되어 자연스럽게 기억이 오래 갑니다.

잘못된 어근 공부법은 피하세요.

그렇다고 무모하게도 사전에 나와 있는 모든 단어들의 아주 먼 조상까지 추적할 필요는 없습니다. 또한 전혀 다른 외국어나 마찬가지일 먼 조상들의 이름까지 외우느라 골치를 썩일 필요도 없습니다. 단지 수많은 친족을 거느린 단어들에 대해서는 반드시 ‘혈통’을 공부하여 어근을 익혀야 합니다. 어휘들의 혈통에 익숙해 질 때, 여러분들은 현재 알고 있는 어휘들의 형제, 자매, 그리고 사촌들까지도 알게 될 것입니다.

 

쉽지는 않은 일입니다.

하지만 어근은 힘들게 익힐 가치가 있는 지식입니다.

 

예를 들어 오늘 다룰 어근 cas, cad, cid만 잘 기억해도, 여러분은 이 어근을 공유하는 수십 개의 단어를 손쉽게 파악하고 기억할 수 있습니다.

 

cad, cas, cid 가문 어휘들

 

어근 cas, cad, cid를 포함한 대표적인 영어 단어를 각 어근별로 10개씩만 정리하겠습니다. 지면 관계상 어근 분석은 생략합니다.

어근 cas
(떨어지다, 우연히 일어나다)

  1. cascade – 폭포, 연속적 발생
  2. casual – 우연한, 편안한
  3. case – 사건, 경우
  4. occasion – 기회, 특별한 경우
  5. casualty – 사고, 사상자
  6. decay – 부패하다, 쇠퇴하다
  7. cast – 던지다, 배역
  8. broadcast – 방송하다
  9. forecast – 예측하다
  10. outcast – 추방자, 버림받은 사람

어근 cad
(떨어지다)

  1. cadence – 억양, 리듬
  2. decadent – 퇴폐적인, 쇠퇴하는
  3. cadaver – 시체
  4. caducous – 쉽게 떨어지는, 탈락성의
  5. cascade – 폭포처럼 떨어지다 (cas와 공유)
  6. decay – 부패, 쇠퇴 (cas와 공유)
  7. cadent – 떨어지는, 하강하는
  8. caducity – 노쇠, 덧없음
  9. cadenza – (음악) 카덴차, 독주부
  10. cadaverous – 시체 같은, 창백한

어근 cid
(떨어지다, 발생하다, 자르다)

  1. accident – 사고, 우연한 사건
  2. incident – 사건, 일어난 일
  3. coincide – 동시에 발생하다
  4. decide – 결정하다
  5. suicide – 자살 (스스로를 자르다)
  6. homicide – 살인 (사람을 자르다)
  7. genocide – 집단학살 (민족을 자르다)
  8. fratricide – 형제 살해
  9. concise – 간결한 (잘라낸)
  10. precise – 정확한 (미리 잘라놓은)

벌써 30개나 됩니다. 앞서도 말했지만 대표적인 어근만 잘 공부해도 어휘력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놀라운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어원과 어원(cad, cas, cis)에 대한 글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가장 빨리 배우는 영어 어근" 시리즈 입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자주 쓰는 어근들을 모아서 그 유래와 파생 단어들을 설명해 놓았습니다. 한 번 보세요.

 

 

 

필요하신 분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비즈니스에서 자주 쓰이는 유용한 영어 표현 세 가지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About Time (드디어, 이제야)

"About time"은 기대하거나 진작 이루어졌어야 할 일이 마침내 일어났을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다소 늦었다는 뉘앙스가 있어서 가벼운 비난의 느낌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1) It’s about time we updated it.
     이제야 업데이트했네요.

(2) He got promoted? It’s about time.
     그가 승진했다니, 이제야군요.

동의어: Finally, At last

 

2. Across the Board (전반적으로, 일괄적으로)

"Across the board"는 모든 사람 또는 모든 분야에 예외 없이 적용되는 것을 나타낼 때 쓰입니다.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자주 볼 수 있습니다.

(1) They announced raises across the board.
     그들은 전 직원 급여 인상을 발표했습니다.

(2) We implemented changes across the board.
     우리는 전반적인 변화를 시행했습니다.

동의어: Universally, Generally

 

3. Ahead of the Pack (앞서서, 선두에)

"Ahead of the pack"은 치열한 경쟁 상황에서 경쟁자보다 더 앞서 있거나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을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1) Our product is ahead of the pack.
     우리 제품이 경쟁에서 앞서 있습니다.

(2) We stayed ahead of the pack.
     우리는 계속 앞서 있었습니다.

동의어: Leading, In the lead

 

위 표현을 활용할 수 있는 간단한 연습문제입니다.  빈칸에 알맞은 표현을 선택해 보세요.

 

1. About Time
"You've been working here for five years without a vacation. It's __________ you took a break."
"너는 5년 동안 휴가 없이 일해왔어. 이제는 좀 쉴 때가 되었어."

a) about time

b) across the board

c) ahead of the pack

 

2. Across the Board
"The company decided to implement a 10% salary increase __________ for all employees."
"회사는 모든 직원들에게 일률적으로 10%의 임금 인상을 실시하기로 결정했다."

a) about time

b) across the board

c) ahead of the pack

 

3. Ahead of the Pack
"With its innovative features, our new smartphone is __________ in the market."
"혁신적인 기능 덕분에, 우리의 새 스마트폰은 시장에서 경쟁자들보다 앞서고 있다."

a) about time

b) across the board

c) ahead of the pack

 

틀릴 리는 없지만 정답은 달아 두겠습니다.

정답
1. a) about time
2. b) across the board
3. c) ahead of the pack

 

비즈니스 영어 표현을 잘 익혀 두면 회의나 업무에서 자연스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 더 유용한 표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책 "비즈니스 영어 표현 101"입니다. 직장 업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말들을 간결한 예문과 함께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시기 바랍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카오스와 코스모스

 

오늘 살펴볼 단어는 chaoscosmos입니다. 카오스는 태초의 혼돈을 의미합니다. 빛과 어둠도 존재하지 않고, 어떠한 형체도 갖추어지지 않는 상태입니다. 그렇다고 카오스가 텅빈 상태는 아닙니다. 사물의 씨앗들이 그저 존재하는 상태입니다.
 

시간도 없이 존재하던 카오스에 균열이 생겨 틈새가 생기게 됩니다. 여기서 신들과 괴물들이 생겨납니다. 혼돈 속에서 나온 존재들이라 거칠고 난폭했습니다. 사실 초기에는 신과 괴물의 구별이 없었습니다. 다들 괴물에 가까웠습니다. 승리한 쪽은 신, 패배한 쪽은 괴물이라고 불리게 됩니다.

 카오스와 코스모스

 

 

chaos (혼돈)

 

 카오스는 우리 주위에서 흔하게 볼 수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우리 딸의 방입니다. 아빠가 치워주기전까지 딸의 방은 말 그대로 ‘카오스’, 즉 ‘혼돈’입니다. 아빠의 잔소리와 손길이 지나가야만 질서와 조화가 자리합니다. 그전까지는 방이 아니라 소굴입니다.

 

여러분도 카오스를 피해갈 수 없습니다. 컴퓨터나 스마트폰 앱의 바탕화면을 봅시다. 여기저기 널려 있는 앱들은 디지털 ‘카오스’입니다. 이러한 혼돈 상태는 결국 사용자가 의지를 가지고 정리하고 삭제를 해야만 질서 있는 상태가 됩니다.

이처럼 혼돈이 사라진 자리에 들어선 질서와 조화의 세계를 코스모스(cosmos)라고 합니다.

cosmos (질서, 조화)

 

혼돈의 시대에 종지부를 찍고 본격적인 질서의 시대를 가져온 존재가 바로 그리스 신화 속의 제우스입니다. 제우스는 번개를 무기로 사용하는데, 이는 ‘빛’을 상징하며 어둠과 혼돈을 몰아내는 힘을 의미합니다. 제우스 이후 세계는 ‘로고스(logos)’, 즉 이성과 질서의 시대가 됩니다. 이렇게 카오스가 물러나고 등장한 세계가 바로 코스모스입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꽃인 코스모스의 꽃말 역시 ‘조화’입니다. 코스모스 꽃의 단순하면서도 균형 잡힌 형태는 ‘질서와 조화’라는 의미를 그대로 담고 있습니다.

cosmos flower (조화를 상징하는 꽃)

 

여기서 피타고라스가 등장합니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자 수학자였던 그는 cosmos를 우주라는 의미로 최초로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오랫동안 cosmos는 universe라는 단어에 밀려 별로 쓰이지 않았습니다. cosmos가 널리 쓰이게 된 것은 19세기 중반 이후입니다. 특히 현대에 들어와서 cosmos는 universe를 밀어낼 정도로 세력을 키웠습니다. 불세출의 천문학자 칼 세이건의 유명한 저서 『코스모스(Cosmos)』 덕분이었습니다. 

 

최근 과학계에서도 카오스와 코스모스는 새로운 맥락에서 주목받습니다. 바로 ‘카오스 이론(Chaos Theory)’ 때문입니다. 카오스 이론은 언뜻 무질서하게 보이는 현상 속에도 숨겨진 규칙과 질서가 있다고 봅니다. 예측 불가능하게 보이는 날씨, 복잡한 주식 시장, 인간 관계 등도 결국 질서와 혼돈이 긴밀히 연결된 모습이라고 해석합니다. 그래서 카오스는 더 이상 단순한 무질서가 아니라 새로운 질서의 씨앗이 되는 긍정적인 개념으로 평가됩니다.

 

마지막으로, Cosmos가 들어간 영어 단어 중에서 cosmetic이 있습니다. ‘cosmetic’화장품이라는 말입니다. ‘cometic’의 어원은 풀어보면 조화로운, 질서있는이라는 뜻입니다. 화장품의 기능을 생각해 보면 금방 느낌이 오질 않습니까?

 

혼돈상태의 얼굴에 조화를 만들어 준다...’

 

어지럽고 카오스적(?)인 얼굴에 화장품을 바르면 질서와 조화가 생겨납니다. 누가 만들었는지 참으로 기막힌 말이 아닐 수 없습니다. 

cosmetic (조화를 만들어 주는 화장품)

 

 

 

화장품을 통해 카오스 상태의 얼굴이 코스모스로 바뀌듯이, 우리는 일상에서도 무질서를 질서로 바꾸며 살아갑니다. 혼돈 속에서 새로운 질서가 싹트듯이, 우리의 삶도 매일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이렇듯 혼돈(chaos)과 질서(cosmos)는 결국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여러분의 삶이 혼돈스럽게 느껴질 때, 작은 질서 만들기를 시도해 보면 어떨까요?

 

다음은 제가 쓴 "신들의 선물" 책입니다. 신화에서 나온 영단어와 그 유래를 밝혀 쓴 책입니다. 신화를 몰라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습니다. 한 번 보세요.

 

 

필요하신 분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파생어로 영어 기본단어 공부하기

 

 

영어단어의 중요성은 두 말할 필요가 없습니다. 개인마다 단어를 학습하는 방법도 가지가지입니다.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유용한 방법이 무식하게(!) 외우는 것입니다. 이 전통적인 방법은 기본단어를 공부하는데는 확실한 효과가 있습니다. 그렇지만 공부할 단어의 수가 많아지면서 ‘망각’이란 녀석이 점점 더 강력한 힘을 발휘합니다. 단순 암기의 한계가 보이는 순간입니다.

 

최근에는 AI 단어 앱, 이미지 기반 플래시카드, spaced repetition 시스템(SRS) 등 똑똑한 도구들이 많이 등장했습니다. 하지만 단어공부가 암기라는 본질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니까 '무식하게' 외우는 방식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다만, 이제는 조금 더 전략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영어의 기본단어를 공부할 때, 암기의 한계를 극복하는 가장 강력한 방법이 있습니다. 그것은 어근을 통한 학습법입니다. 어근을 통한 어휘 학습은 가장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어근 학습의 장점은 단어를 단순히 외우는 것이 아니라 '이해하며 연결하는 것'입니다. 단지 그렇게 만만치 않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인생과 마찬가지죠. 중요한 것은 쉽게 얻을 수 없는 법이니까요.

 

요즘은 인터넷 덕분에 좋은 학습 자료가 차고 넘칩니다. 조금만 클릭 품을 팔아 보면 영어 단어를 어원 기반으로 설명해주는 자료들을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예전보다 더 재미있고 실용적으로 배울 수 있는 환경이 되었죠. (그래도 단어는 여전히 외워야 합니다...)

 

 접두어와 접미어를 통해 파생어를 공부하면 어휘가 그물처럼 엮이게 됩니다. 어휘력이 놀라울 정도로 확대됩니다. 서샘이 준비한 화려한(!) 동영상을 보시고 글도 읽어 보시길 바랍니다.  글이 너무 길어서 설명은 세 문장만 실어 놓겠습니다. 여기 실린 글은 서샘과 제가 쓴 '어근 설명해주는 남자(어설남)에 실린 내용을 발췌한 것입니다. (아이튠즈 학습채널에서 15까지 올랐던 꽤 잘나가던 '팟 캐스트'였답니다. ^ ^)

 

여기서는 어근 중 일부인 접두어, 그 중에서도 dis-를 보겠습니다. 왜 접두어와 파생어가 어휘 학습에 강력한 도구인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자, 동영상부터 갑니다!

 

 

 

다음은 접두어 dis와 그 예문 설명입니다.

 

접두어 dis-

접두어 dis-는 어떤 단어의 ‘반대말’을 만들거나 ‘멀리’라는 뜻을 표현할 때에 사용합니다. 예시단어를 보면서 이해해 보겠습니다.

 

 

1. dislike

like는 ‘좋아하다’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접두어 dis-와 like가 결합한 dislike는 like의 반대말이 되어 ‘좋아하지 않다’, ‘싫어하다’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ex) I still wonder why she disliked him so much.

    (나는 지금도 궁금하다, 왜 그녀가 그를 그토록 싫어했는지)

 

2. dissimilar

similar는 ‘비슷한, 유사한’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접두어 dis-와 similar가 결합한 dissimilar는 similar의 반대말을 뜻하니까, ‘같지 않은, 다른’이라는 의미가 됩니다.

ex) This jar is not dissimilar to that one without the label on its lid.

     (이 병은 다르지 않다, 뚜껑에 상표가 없는 저것과)

 

3. disagree

agree는 ‘동의하다, 의견이 같다’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접두어 dis-와 agree가 결합한 disagree는 agree의 반대말이 됩니다. 그러므로 disagree는 ‘동의하지 않다, 의견이 다르다’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ex) He disagreed with his rival on almost everything.

    (그는 그의 경쟁자와 의견이 달랐다, 거의 모든 것에 대해서)

 

 

 

그럼 이상으로 파생어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중학교 필수 파생어 정리" 책입니다. 기본단어들의 파생어가 간결한 예문과 함께 정리되어 있습니다.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책이 필요하신 분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영어 접두사 (prefix)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영어 접두사를 공부해 봅시다.

 

어근과 영어 접두사 (prefix)

 

1. 어근(語根)

어근은 가장 기본적이고 단순한 형태의 단어로, 접두어나 접미사가 붙지 않은 순수한 단어를 말합니다.

ex) man, tell, apple, tech, cycle

 

2. 접두어, 접두사(接頭語, Prefix) 

접두어란 어근의 앞에 붙어 의미를 더하거나 변형시키는 음절이나 글자를 의미합니다.
ex) un-, fore-, circum-, eco-, hyper-


접두어 'un-'을 'lucky' 앞에 붙여보세요. 어떤 의미가 나올까요? 바로 'unlucky'입니다. 그 의미는 'not lucky(행운이 없는)'이죠. 즉, 접두어 'un-'은 'not(~이 아닌)'의 뜻을 갖습니다.

 

이번에는 접두어 'fore-'를 'tell' 앞에 붙여보겠습니다. 그러면 'foretell'이라는 단어가 만들어집니다. 의미는 '미리 말하다(to tell beforehand)'입니다. 그럼 접두어 'fore-'의 뜻은 무엇일까요? 예상대로'beforehand'나 'previously(미리)'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다음은 접두어 'circum-'을 'navigate' 앞에 붙여봅시다. 'circumnavigate'라는 조금 터프한 단어가 생깁니다.

이 단어의 뜻은 '지구 주위를 항해하다(to sail around the earth)'입니다. 접두어 circum-의 의미는 바로 'around(주변에)'입니다.

 

요즘 자주 등장하는 접두사들도 알아봅시다. 예를 들어, 접두어 'eco-'는 '환경(environment)'을 뜻하여 eco-friendly(친환경적인), ecosystem(생태계) 등의 단어를 형성합니다. 접두어 'hyper-'는 '지나친, 과도한(excessive)'을 뜻하며 hyperactive(지나치게 활동적인), hypersensitive(과민한) 등으로 사용됩니다.

 

백견(百見)이 불여일행(不如一行)입니다. 함께 직접 분석해 보죠. 다음에 나오는 접두어들은 실제로 영어 단어를 이루고 있으며 자주 사용되는 중요한 것들입니다. 지금부터 알아봅시다.

 

 

 

접두사 a- 동영상 강의

 

 

영어 접두사 a-

 

첫 번째 접두사 a-를 봅시다.

 

접두어 a-의 뜻은 on(~위에), in(~안에), to(~로 향하는) 등의 의미를 갖습니다. 단어와의 결합을 예시로 확인해보겠습니다.

 

(1) ashore

ashore에서 shore는 '해변' 또는 '바닷가'를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ashore는 '해변에, 해변으로'라는 뜻을 갖습니다.

 

 

(2) abed

다음으로 abed의 뜻을 봅시다. bed는 다들 잘 알다시피 ‘침대’를 말합니다. 그러므로 abed는 ‘침대 위에, 잠자리에, 누운 채로’ 등의 뜻이라는 것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3) aboard

aboard를 봅시다. board는 ‘배’라는 뜻이 있어서, aboard는 ‘배 위에’ 있다는 뜻을 쉽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4) afire
afire에서
fire는 ‘불’을 뜻합니다. afire는 on fire 즉, ‘불 위에, 불 속에’라는 뜻을 가지니까 ‘불타다’라는 뜻이 됩니다.

 

(5) afoot

afoot에서 foot는 ‘발’입니다. afoot는 on foot 즉, ‘발 위에’라는 의미가 되니까, ‘걸어서, 일어나서’라는 뜻과 연결이 됩니다.

 

(6) aground

aground에서 ground는 ‘땅’을 말합니다. 따라서 aground는 ‘땅 위에, 또는 배가 좌초하여’라는 뜻을 갖게 됩니다.

 

(7) asleep

이어서 볼 단어는 asleep입니다. sleep은 ‘잠’이라는 뜻입니다. 그럼 asleep은 ‘잠 속에’ 있다는 뜻이니까, ‘잠들어 있는’을 뜻한다는 게 쉽게 이해됩니다.

 

(8) atop

atop에서 top은 ‘어떤 것의 가장 윗부분’입니다. 그러므로 atop은 on the top 즉, ‘꼭대기에’라는 의미가 나오는 겁니다.

 

(9) afield

afield를 봅시다. field는 이미 잘 알고 있듯이 ‘들판’이라는 뜻입니다. 들판은 농부가 농사를 짓는 곳이기도 하고, 전쟁이 나면 싸움이 벌어지는 곳이기도 합니다. 때문에 afield는 ‘들판에’ 또는 ‘싸움터에’라는 뜻을 표현합니다.

 

 

영어 접두어를 공부하면 단어의 기본적인 의미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모르는 단어를 접할 때도 뜻을 유추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단어 실력이 빠르게 향상됩니다.

그럼 이상으로 영어 접두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접두어 접미어" 책입니다. 영어에서 아주 많이 쓰이는 접두어 접미어들을 모아 의미를 설명했습니다. 예문과 함께 읽으면 단어 실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책이 필요하신 분들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call 구동사

 

영어를 공부하다 보면 call과 함께 쓰이는 구동사(phrasal verb)들이 자주 등장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영어 표현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call 관련 숙어들의 의미와 예문을 정리하였습니다.

 

Call 구동사 뜻 정리

(1) call back
     다시 전화하다

(2) call for
     공식적으로 요구하다

(3) call in
     전화로 결석·결근을 알리다

(4) call off
     취소하다

(5) call on
     요구하다, 방문하다

(6) call over
     불러 모으다

(7) call out
     긴급히 호출하다

(8) call up
     전화하다, 군대나 팀에 소집하다

 


 

각 구동사 별로 예문을 통해 활용해 봅시다.

 

1. call back (다시 전화하다

ex) I'll call you back as soon as possible.
      가능한 빨리 다시 전화할게요.

 

2. call for (공식적·강력히 요구하다)

ex) My son calls for an increase in his pocket money.
      내 아들은 공식적으로 용돈 인상을 요구한다.


 

3. call in (전화로 결근·결석 알리다

ex) I called in sick this morning.
      나는 아파서 못 나간다고 직장에 전화했다.

 

4. call off (행사·계획을 취소하다

ex) She called off the wedding one day before the ceremony.
      그녀는 결혼 하루 전에 결혼식을 취소했다.


 

5. call on (요구하다 / 방문하다 )

(공식적으로) 요구하다

ex) My son called on his mother to raise his pocket money.
      내 아들은 엄마에게 용돈을 올려달라고 요구했다.

 

(짧게) 방문하다

ex) An old friend called on me yesterday.
      오래된 친구가 어제 나를 방문했다.

 

6. call over (불러 모으다)

ex) The boss called all his men over.
      상사가 모든 부하들을 불러 모았다.


 

7. call out (긴급히 호출하다

ex) Nurses are frequently called out in the middle of the night.
      간호사들은 자주 한밤중에 호출된다.

 

8. call up (전화하다 / 소집하다)

전화하다

ex) A drunken man called me up last night.
      술 취한 남자가 지난 밤 나에게 전화했다

 

(군대에) 소집하다

ex) When you are 20, you are called up for military service.
      스무 살이 되면 군대에 소집된다.


 

이상으로 call 구동사들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영어 구동사 책입니다. 자주 사용되는 구동사 101개를 모아서 그 의미를 설명했습니다.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필요하신 분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크리스마스 선물 (The Gift of the Magi)

오 헨리의 생애를 바탕으로 한 「크리스마스 선물」 을 정리해 보갰습니다.

 

뉴욕의 의미

뉴욕은 오 헨리의 많은 작품에서 배경으로 등장하며, 희망과 어려움이 공존하는 도시로 묘사됩니다. 「The Gift of the Magi」에서 주인공인 "델라(Della)"와 "짐(Jim)"은 뉴욕의 작은 아파트에서 살고 있으며, 이들의 가난한 생활은 당시 뉴욕에서 힘겹게 살아가던 젊은 부부들의 삶을 반영합니다.

뉴욕은 꿈을 좇아 사람들이 모여드는 곳이지만, 동시에 경제적 압박과 물질적 한계를 부과하는 장소로 나타납니다. 델라와 짐은 소박한 공간에서 힘겹게 살아가지만, 도시의 소음과 화려함 속에서도 서로를 향한 사랑을 잃지 않습니다.

이는 뉴욕이 단순한 배경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물질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가 충돌하는 공간임을 상징합니다.

 

진정한 사랑의 의미

작품의 핵심은 서로를 향한 헌신과 희생의 사랑입니다. 델라와 짐은 서로를 위해 자신의 가장 소중한 것을 기꺼이 희생합니다. 델라는 짐에게 시계 줄을 선물하기 위해 자신의 아름다운 머리카락을 팔고, 짐은 델라의 머리 장식용 빗을 사기 위해 자신의 금시계를 팝니다.

이들의 사랑은 물질적 가치보다 감정적 가치가 더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두 사람이 서로를 위해 준비한 선물은 결국 쓸모없게 되지만, 그 마음과 희생 자체가 사랑의 본질임을 깨닫게 됩니다.

 

고향을 떠난 젊은이들

델라와 짐은 고향을 떠나 뉴욕으로 온 젊은 부부로 보입니다. 이는 당시 미국 사회에서 더 나은 기회를 찾아 도시로 이주한 젊은이들의 삶을 반영합니다

그들은 작은 공간에서 힘겹게 살아가지만, 미래에 대한 희망과 서로에 대한 사랑을 잃지 않습니다. 도시에서의 삶은 경제적으로 힘들지만, 고향을 떠난 이들이 형성하는 새로운 형태의 가족과 연대를 보여줍니다.

 

미국과 크리스마스

「The Gift of the Magi」는 크리스마스를 배경으로 하며, 기독교적 사랑과 나눔의 정신을 중심에 둡니다. 크리스마스는 미국에서 가족과 사랑을 나누는 가장 중요한 명절로, 이 시기에는 사랑하는 이들을 위해 선물을 준비하는 풍습이 강조됩니다

그러나 오 헨리는 이 작품에서 물질적 선물보다 진정한 마음의 가치를 강조합니다. 델라와 짐의 선물 교환은 상업화된 크리스마스 풍습과 대비되며, 사랑과 희생이야말로 크리스마스의 본질임을 상기시킵니다.

 

「The Gift of the Magi」는 뉴욕이라는 복잡한 도시 속에서도 사랑과 헌신의 가치를 놓치지 않는 두 젊은 부부의 이야기를 통해 진정한 사랑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고향을 떠나온 이들이 겪는 어려움과 물질적 한계를 극복하는 힘은 바로 상대방을 향한 진심 어린 희생과 헌신에서 나옵니다. 또한 이 작품은 크리스마스의 본질이 물질적 풍요가 아닌, 사랑과 나눔의 정신임을 강하게 상기시키며 독자들에게 깊은 감동을 선사합니다.

 

다음은 "크리스 마스" 선물을 제가 번역한 책입니다. 읽기 쉽도록 영어 원문과 해석을 1:1로 배치했습니다. 그리고 영어식 감각을 익힐 수 있도록 가능하면 직역을 했습니다. 또한 지나치게 긴 문장은  끊어 읽기 표시를 해 두었습니다.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책이 필요하신 분들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smell a rat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smell a rat'을 보겠습니다.

 

 

미키 마우스를 제외하면 쥐는 전 세계적으로 호감을 얻지 못하는 대표적인 동물입니다. 특히 "쥐새끼 같다"라는 말은 어디서나 욕이나 모욕으로 사용되곤 합니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왜 이렇게 쥐를 싫어할까요?

 

쥐가 미움을 받는 데는 꽤 설득력 있는 이유들이 있습니다.

 

더러운 넘.

 

1. 더러운 거주환경(?)

쥐는 보통 시궁창이나 쓰레기 더미와 같은 불결한 곳에서 삽니다. 이 때문에 쥐를 떠올리면 자연스럽게 더러움과 불결함이 연상됩니다.

 

2. 식량도둑

아주 옛날 농경사회 때부터 쥐는 인류의 적이었습니다. 농경 시대부터 쥐는 인류와 끊임없이 싸워온 적이었습니다. 놀라운 번식력을 가진 쥐들은 인간이 어렵게 수확하고 저장한 곡식을 몰래 갉아 먹으며 많은 피해를 입혔습니다. 아무리 개와 고양이를 배치해도 쥐는 언제나 사람들의 소중한 식량을 훔쳐내곤 했죠.

 

3. 페스트의 주범

14세기 중세 유럽을 휩쓴 페스트는 당시 유럽 인구의 약 1/3에 해당하는 약 2천 5백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무서운 병이었습니다. 이 병은 몸이 새카맣게 변하고 발병 후 며칠 안에 사망에 이르게 했기 때문에, 사람들은 이를 신의 저주라고 믿으며 두려워했습니다.

 

이 끔찍한 질병의 매개체가 바로 쥐였습니다. 정확히는 쥐에 기생하던 쥐벼룩이 페스트균을 옮겼지만, 사람들의 눈에는 쥐가 곧 재앙의 원인이었습니다. 당연히 사람들의 쥐에 대한 혐오감은 커질 수밖에 없었죠.

 

이런 배경 때문에 영어에도 쥐를 부정적으로 묘사한 표현들이 여럿 등장했습니다.

 

 

여러 가지 표현 중에서 이번 시간에는 'smell a rat'이란 표현을 봅시다.

 

 

I smell a rat.

수상해

 

일단 rat가 들어가니 안 좋은 뉘앙스라는 것은 확실합니다. '쥐 냄새가 난다‘, 무슨 뜻일까요? 이 표현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습니다.

 

smell a rat: (이상하다는) 깸새를 채다

 

이 표현의 정확한 유래는 밝혀져 있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추측을 해 볼 수는 있습니다.

 

정확한 유래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페스트가 창궐하던 시기의 유럽을 생각하면 그럴듯한 이야기가 떠오릅니다. 당시 사람들은 쥐를 찾아내기 위해 후각이 뛰어난 개를 사용했습니다. 개들은 쥐 냄새가 강하게 나는 곳에서 흥분했고, 이것은 곧 '뭔가 이상하다'는 신호였습니다. 이 이미지에서 유래한 표현이 바로 'smell a rat'입니다.

 

여기서 나온 표현이 ‘smell a rat'입니다. 쥐 냄새가 나니 (개가) 뭔가 수상한 낌새를 눈치 챈 것이죠.

 

예문을 봅시다.

 

A: My husband is having an affair lately.

    I smell a rat.

B: No way!

A: I'm positive.

    He locks his phone.

 

A: 내 남편이 바람 피우고 있어.

    뭔가 수상해

B: 그럴리가!

A: 확실해

    핸드폰을 잠궈 놓거든.

 

 

쥐 조심 합시다.

 

관용구를 알아두면 자연스러운 영어 표현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네이티브가 아니면 감을 잡기 어렵기 때문에 관용구는외국인 영어 학도들에게는 높디 높은 벽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자주 쓰는 관용구들을 정리해서 틈날 때마다 말이나 글에서 사용하는 것 외에는 특별한 방법이 없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영어 관용구 책입니다. 외국인들이 일상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표현들을 정리해 두었습니다.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필요하신 분은 교보에서 구입하시길 바랍니다.

 

 

 

2025 수능 영어와 단어 학습 전략

 

최근 수능 영어 시험은 여전히 ‘쉬운 수능’ 기조를 유지하고 있지만, 초창기의 쉬운 시험과는 조금 다른 방향으로 발전했습니다. 과거에는 쉬운 시험으로 인해 만점자가 많았고, 영어 실력 저하 우려가 컸습니다. 그러나 현재의 수능은 난이도 자체는 높이지 않되, 보다 다양한 문장 구조와 문맥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실질적 독해 능력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의 일환으로, EBS 연계 교재 또한 단어 난이도 자체는 높이지 않았지만, 기본 어휘를 중심으로 맥락적 이해를 요구하는 방향으로 바뀌었습니다. 즉, 쉬운 어휘를 사용하지만 이를 다양하게 활용해 문맥을 정확히 이해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고교 기본 어휘 중심 학습법의 중요성

 

영어 영역의 단어 수준은 현재도 ‘고교 기본 어휘’를 중심으로 구성됩니다. 수능 영어에 나오는 어휘는 대개 고등학교 과정의 교과서 수준을 넘지 않습니다. 따라서 핵심은 고등학교 기본 단어들을 얼마나 깊이 있고 정확하게 공부했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 다섯 개의 단어 중에서 수능에 자주 등장하는 단어를 예측해 봅시다.

① intervene ② mediate ③ negotiate ④ arbitrate ⑤ meddle

① intervene(개입하다), ② mediate(중재하다), ③ negotiate(협상하다) 이 세 단어는 모두 고등학교 교과 과정에서 다루는 기본 어휘입니다. 이들은 최근에도 수능에 자주 등장합니다. ④ arbitrate(조정하다)나 ⑤ meddle(간섭하다) 역시 알아두면 좋지만, 우선적으로 공부할 단어는 역시 기본 어휘인 ①, ②, ③번 단어입니다.

그런데 과거와 달라진 점은 단순히 이 단어들의 기본적인 의미만 학습해서는 부족하다는 점입니다.

 

 

이렇게 볼 때 기존과는 다른 단어 학습 전략이 필요합니다.

 

 

단어를 ‘넓게’가 아니라 ‘깊게’ 학습하기

 

예전처럼 어려운 단어가 다수 출제되는 시험이라면 많은 단어를 폭넓게 암기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최근의 수능 영어는 제한된 수의 기본 단어가 반복적으로 다양한 맥락에서 등장합니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단어의 숫자가 아니라 단어의 활용도를 높이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기본 어휘가 품사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고, 문맥에 따라 의미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철저히 익히는 게 중요합니다. 실제 수능에서는 같은 기본 단어가 명사형, 형용사형, 부사형 등 여러 형태로 나오기도 하고, 맥락에 따라 뜻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intervene(개입하다)의 파생어와 활용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 intervention(명사형: 개입, 중재)
  • intervening(형용사형: 중간에 있는, 사이에 오는)

negotiate(협상하다)의 파생어 활용도 마찬가지로 중요합니다.

  • negotiation(명사형: 협상)
  • negotiable(형용사형: 협상 가능한, 교섭할 수 있는)
  • negotiator(명사형: 협상가, 교섭자)

많은 학생들이 이러한 품사 변화와 문맥에 따른 의미 확장을 놓치고 기본 형태의 단어만 암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최근의 수능 영어는 파생어와 다양한 형태의 어휘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합니다. 


 

효과적인 파생어 및 문맥 중심 학습 전략

 

그렇다고 모든 단어의 모든 파생어를 다 공부할 필요는 없습니다. 일단은 고등학교 과정에서 필수로 제시하는 기본 단어의 다양한 파생어 형태를 중심으로 공부하면 충분합니다. 그리고 그 단어들이 다양한 지문과 문맥에서 어떤 의미로 쓰이는지 반복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본 어휘 중심의 파생어 학습과 문맥 중심의 의미 학습은 EBS 연계 교재와 수능 영어 지문을 이해하는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2025년 현재 수능 영어 학습 전략의 핵심은 바로 ‘어휘의 양(量)이 아니라 질(質)’을 높이는 데 있습니다. 핵심 기본 단어를 중심으로 파생어와 문맥 중심의 의미를 깊고 정확하게 학습하는 것이 성공적인 영어 학습법입니다.

 

 

다음은 제가 쓴 고등 파생어 책입니다. 지문에 자주 나오는 기본 단어 위주로 파생어를 정리했습니다.

 

 

 

필요하신 분은 다음 링크를 통해 교보에서 바로 구입할 수 있습니다.

 

 

 

 

구동사 'break down'은 쉽게 의미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직역하면 '부서져 내리다'입니다. 구체적인 사물뿐만 아니라 추상적인 정신까지도 '부서져 내릴' 수 있습니다. 의미 확장 과정을 살펴보면서 이해해 봅시다.

 

1. 동사 'break'의 기본 의미 

'Break' '깨다, 부수다'라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자주 쓰는 말입니다. 

 

ex) Be careful not to break the glass. 

→ 유리를 깨뜨리지 않도록 조심하세요. 

 

ex) The branch broke under his weight. 

→ 그의 무게로 나뭇가지가 부러졌다. 

 

 

2. 전치사 'down'의 의미 

'Down'은 방향을 나타내는 말로 '아래쪽'을 가리킵니다.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것은 어떤 것이 부서져 내린다는 뜻도 됩니다. 집이 '무너져 내린다'는 상황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ex) Sit down, please. 

→ 앉으세요. (아래로) 

 

ex) The house was burned down in the fire. 

→ 그 집은 화재로 완전히 불타버렸다. (완전히) 

 

 

3. 의미 확장 

'Break down' 'break' 'down'이 합쳐져 '부서져 내리다'라는 구체적인 의미를 갖습니다. 여기서 '고장 나다, 무너지다, 분해하다, 감정이 북받치다'와 같은 다양한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구체적인 의미로부터 추상적인 의미로 확장된 것입니다. 예문을 보면 쉽게 의미를 알 수 있습니다. 

 

(1) 고장 나다 (stop working, malfunction) 

부서져 down 되었으니 고장 난 것입니다. 기계나 장치가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 상황에 사용됩니다. 

 

ex) My car broke down on the way to work. 

→ 내 차가 출근길에 고장 났다. 

 

ex) The washing machine broke down again. 

→ 세탁기가 또 고장 났다. 

 

(2) 무너지다, 실패하다 (collapse, fail) 

물리적 대상뿐 아니라 추상적인 개념도 부서져 내릴 수 있습니다. 건물이나 시스템 등이 붕괴되거나 작동을 멈추는 상황에 사용됩니다. 

 

ex) The bridge broke down after the earthquake. 

→ 지진 후 다리가 무너졌다. 

 

ex) The operating system broke down after the power failure. 

→ 운영체제가 정전 후에 작동을 멈췄다. 

 

(3) 분해하다 (separate into parts, analyze) 

 

어떤 물건은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더 단순한 요소로 나눌 수 있습니다. 복잡한 대상을 분해하거나 분석할 때 사용됩니다. 주로 화학, 데이터 분석, 정보 처리 등에서 쓰입니다. 

 

ex) The body breaks down food to produce energy. 

→ 신체는 음식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생성한다. 

 

ex) Let's break down this problem into smaller parts. 

→ 이 문제를 더 작은 부분으로 나누어 봅시다. 

 

(4) 감정이 북받치다, 감정적으로 무너지다 

추상적인 것 또한 부서져 내릴 수 있습니다. 감정이 무너지면 평정을 잃고 감정이 폭발하는 상황이 됩니다. 슬퍼서 울거나 좌절하는 상황을 묘사할 때 자주 쓰입니다. 

 

ex) She broke down in tears after hearing the news. 

→ 그녀는 그 소식을 듣고 눈물을 쏟았다. 

 

ex) He broke down when he talked about his past. 

→ 그는 자신의 과거에 대해 이야기할 때 감정이 북받쳤다. 

 

'Break down'은 일상 대화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입니다. 자동차 고장이나 기계 고장과 같이 일상생활에서 자주 들을 수 있습니다. 또한, 감정이 무너지는 상황이나 화학, 데이터 분석과 같은 학문적 분야에서도 자주 사용됩니다.

 

 

영어를 꽤 한다는 분들이 직면하는 또 하나의 벽이 구동사입니다. 동사와 전치사의 결합으로 뜻 밖의 의미가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막막하고 어렵기는 하지만 구동사를 넘어서야 진정으로 영어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자주 쓰이기 때문입니다.

 

다음은 제가 쓴 구동사 책입니다. 영어에서 자주 쓰이는 구동사들의 뜻과 예문을 간결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필요하신 분은 교보에서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Bite the bullet

 

Bite the Bullet: '이를 악물고 참다'의 유래

'bite the bullet'은 ‘이를 악물고 참다’는 뜻으로, 하기 싫지만 피할 수 없는 상황에서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그런데 왜 하필 '총알(bullet)'을 물어야 할까요?

 

1. 전쟁터의 고통 극복 설

마취제가 수술에 사용되기 전, 전쟁터에서는 고통을 참기 위해 군인들에게 나무나 가죽 패드를 물게 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전투 중 응급 수술을 할 때는 나무나 가죽조차 구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납으로 된 탄환을 물렸다고 합니다. 납은 부드러워서 이가 부러질 염려도 없었고, 전시 상황에서 납중독은 신경 쓸 일이 아니었죠. 이 상황에서 'bite the bullet'이라는 표현이 나왔다는 설입니다.

 

하지만 이 가설에는 두 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

  • 술의 존재: 마취제가 없던 시절에도 사람들은 독한 술로 고통을 줄이려 했습니다. 술이 마취제 역할을 했던 만큼, 굳이 총알을 물릴 필요가 없었다는 주장입니다.
  • 증거 부족: 전쟁을 그린 기록화나 사진에 '총알을 물고 수술을 받는 병사'의 모습은 전혀 등장하지 않습니다.

이 가설은 정황상 그럴듯해 보이지만, 명확한 증거는 부족합니다.

 

2. 세포이 반란 유래설

1857년 인도에서 발생한 세포이 반란(Indian Rebellion of 1857)과 관련이 있다는 설입니다. 당시 영국군은 인도 용병들에게 새로운 총탄 카트리지를 지급했는데, 카트리지는 동물성 기름으로 코팅되어 있었습니다. 힌두교도는 소를 신성하게 여기고, 이슬람교도는 돼지를 혐오하기 때문에, 소와 돼지의 기름이 묻은 카트리지를 입으로 물고 뜯어야 하는 상황이 이들에게 큰 고통이었습니다.

이로 인해 ‘bite the cartridge(카트리지를 물다)’라는 표현이 생겼고, 시간이 지나며 ‘bite the bullet’로 바뀌었다는 가설입니다.

 

그러나 이 가설에도 의문이 있습니다. 'bite the cartridge'라는 표현이 1857년 이전에도 존재했다는 점입니다. 1796년 발간된 A Classical Dictionary of the Vulgar Tongue에 ‘chew a bullet(총알을 씹다)’이라는 표현이 이미 등장하기 때문입니다.

 

최초 기록

‘bite the bullet’이 '참고 견디다'는 의미로 처음 사용된 것은 Rudyard Kipling의 소설 The Light That Failed (1891)입니다. 소설 속 대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Bite on the bullet, old man, and don't let them think you're afraid.”
"이를 악물어, 노친네야, 그리고 두려움을 보이지 마."

이처럼 ‘bite the bullet’의 기원은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의미는 분명합니다.

 

요즘 같은 힘든 상황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자세일지도 모릅니다.

 

Let's bite the bullet!
(이 악물고 견딥시다!)

 

 

다음은 제가 쓴 "영어 관용구 205"입니다. 영어에서 자주 쓰이는 관용구 205개를 선택하여 의미와 예문을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시기 바랍니다.

 

 

필요하신 분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구동사 "blow up"폭발하다, 화내다라는 뜻입니다. “바람이 불다“blow”만 가지고는 짐작이 어렵긴 합니다. 하지만 의미가 확장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그렇게 어려운 것 만도 아닙니다. 한 번 보도록 합시다.

 

1. 동사 "blow"의 기본 의미 

"Blow"는 본래 '불다' 또는 '강한 바람이나 공기를 움직이다'는 의미를 갖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뜻으로 다음 예문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ex) The wind is blowing hard today. 

→ 오늘은 바람이 강하게 불고 있다. 

 

ex) Blow on your hands to warm them up. 

→ 손을 따뜻하게 하려고 손에 입김을 불어 보세요. 

 

 

2. 전치사 "up"의 의미 

"Up"은 기본적으로 '위로'를 뜻합니다. 여기에 더하여 앞에서도 봤듯이 '완전히, 철저히'라는 뜻을 갖기도 합니다. 어려운 듯 하지만 예문을 보면 쉽게 뜻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ex) Please clean up your desk. 

→ 책상을 깨끗이 치워 주세요. (철저하게) 

 

ex) Fill up the tank before we hit the road. 

→ 우리가 출발하기 전에 탱크를 가득 채우세요. (완전히)

 

 

3. 의미 확장 

"Blow up"은 두 단어의 의미가 합쳐져 '공기를 불어넣어 부풀리다'는 뜻을 갖습니다.

 그러나 확장된 의미로 '폭발하다, 화내다, 크게 확대하다'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됩니다. 기름을 넣듯이 공기를 완전히(가득)” 불어넣습니다. 공기가 가득 차서 부푼 풍선은 하고 터지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1) 폭발하다 (explode) 

ex) The car blew up after the crash. 

→ 그 차는 사고 후에 폭발했다. 

 

ex) The bomb blew up in the middle of the street. 

→ 폭탄이 거리 한복판에서 폭발했다. 

 

(2) 화내다 (suddenly get angry) 

ex) He blew up when he heard the bad news. 

→ 그는 나쁜 소식을 듣고 화를 냈다. 

 

ex) Don't blow up at me. I didn't do anything wrong. 

→ 나한테 화내지 마. 나는 아무 잘못도 안 했어. 

 

(3) 확대하다, 부풀리다 (inflate, enlarge) 

ex) We need to blow up the balloons for the party. 

→ 우리는 파티를 위해 풍선을 불어야 한다. 

 

ex) Can you blow up this photo to a larger size? 

→ 이 사진을 더 큰 크기로 확대할 수 있나요? 

 

(4) 과장하다, 부풀리다 (exaggerate) 

ex) The media blew up the story to make it more dramatic. 

→ 언론은 그 이야기를 더 극적으로 보이게 부풀렸다. 

 

ex) They blew up his small mistake into a huge problem. 

→ 그들은 그의 작은 실수를 큰 문제로 부풀렸다. 

 

 

"blow up"은 일상 대화에서는 화내다폭발하다의 의미로 자주 사용됩니다. 그리고  사진 확대풍선 불기와 같은 물리적인 상황에서도 많이 쓰입니다.


 
영어 구동사 167
"영어 구동사 167: 필수 구동사 의미와 활용"은 영어 학습자, 특히 한국 학생들이 필수적으로 알아야 구동사들을 정리했습니다. 수많은 영어 구동사들 중에서 167개를 선별하여 그 의미와 예문을 간결하게 정리했습니다. 구동사는 동사와 전치사 또는 부사가 결합된 형태로, 단어들만으로는 의미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이 책은 이러한 구동사 중에서도 필수적인 것들의 의미와 예문을 정리했습니다. 구동사는 특히 일상 대화에서 자주 사용되며, 이를 잘 활용하면
저자
송성태, 서정석
출판
남과 다른 나
출판일
2024.07.16

 

하이페리온

높은 곳을 상징하는 타이탄 신으로서 새벽, 태양, 달의 아버지.

 

 

하이페리온(Hyperion)은 크로노스(Chronus)의 형으로서, ‘하늘의 빛(Heavenly Light)’을 상징합니다. 그는 그 이름처럼 저 높은 곳에서 밝게 빛나며, 하늘의 광명을 드러냅니다. 하이페리온이라는 이름은 어원적으로도 ‘over(위에), beyond(넘어서)’라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현대 언어에서도 그의 이름에서 유래한 접두사 ‘hyper-(초-, 지나친)’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징성 덕분에, 하이페리온이라는 말은 현대에서도 자주 쓰입니다. 특히, 초고층 빌딩의 이름으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세계 어느 지역에서나 고층 건물들이 밀집한 도시에서는, ‘Hyperion’이라는 이름을 단 건물을 하나쯤은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높은 곳을 오르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이 고층 빌딩의 형태로 구현될 때 하이페리온이 등장합니다.

 

하이페리온은 단순한 빛의 신이 아닙니다. 그는 고대 그리스인들이 하늘을 바라보며 느꼈던 경외와 동경, 그리고 인간의 한계를 넘어서는 존재에 대한 갈망을 상징합니다. 현대의 고층 빌딩이 그의 이름을 따르는 것도 이와 맥락을 같이합니다.

 

Hyperion 후손


Hyper-Link (하이퍼링크)

현대 인터넷을 가능케 한 기술입니다. 마치 공간을 높게 뛰어 멀리 날듯이, 하이퍼링크를 타고 어느 곳이나 갈 수 있습니다. 주의할 것은 반드시 뛴 흔적이 남는다는 것입니다.

 

Hyper-Inflation (하이퍼-인플레이션: 초인플레이션)

‘hyper(초)+inflation(물가상승)’입니다. 통제 불능의 물가상승으로 화폐가치가 휴지 조각만도 못하게 되는 상태입니다. 땔감을 사느니 지폐를 태우는 것이 더 싸게 먹히는 막장이 됩니다.

 

Hyperactive (하이퍼‧액티브: 활동과잉의)

‘hyper(지나친)+active(활동적인)’입니다. 신경질환이나 심리적 원인으로 인해서 비정상적으로 활발하게 행동하는 것을 뜻합니다.

 

Hypersensitive (하이퍼‧센서티브: 과민한)

‘hyper(지나친)+sensitive(민감한)’입니다. 타인의 시선에 병적일 정도로 집착하는 사람입니다. 꽃가루 같은 알레르기 유발 인자에 극도로 예민한 사람에게도 쓰입니다.

 

Hyperthermia (하이퍼‧써미어: 이상 고열)

‘hyper(지나친)+thermia(열)’입니다. 질병 등으로 체온이 40°C를 넘어갈 정도가 됩니다. 아기 키우는 부모들은 잠을 못 잡니다.

 

Hypertension (하이퍼‧텐션: 과도한 긴장, 고혈압)

‘hyper(지나친)+tension(긴장)’입니다. 지나치게 긴장을 하면 혈압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텐션이 오른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사니 고혈압은 당연합니다.

 

Hyperbole (하이‧퍼벌러: 과장법)

‘hyper(지나친)+bole(던지다)’입니다. ‘말을 지나칠 정도로 던졌다’는 것은 ‘의미를 부풀렸다’는 뜻입니다. ‘과장해서 하는 말’이나 ‘과장법’을 뜻합니다. 작가와 사기꾼의 절친입니다.

 

Hyperbola (하이‧퍼벌러: 쌍곡선)

‘hyper(지나친)+bole(던지다)’입니다. hyperbole와 마지막 철자만 다른데 전혀 다른 뜻입니다. 쌍곡선(hyperbola)’이 ‘-a’로 끝납니다. 쌍곡선 시험에서 ‘a’를 못 맞으면 낙제한다고 구별합시다.

 

Hyper (하이퍼: 흥분한)

hyper는 독립적인 형용사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이 경우에는 감정적으로 ‘지나치게 흥분한’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갖은 자극에 노출된 현대인들의 일상입니다.

 

Hype (하이프: 과대‧과장 광고)

hype에서 나온 말로서 ‘사기 수준의 과장 광고’입니다. 상대방 광고를 비난할 때, 혹은 걸렸을 때만 과장 광고가 됩니다.

 

Hyperion: ‘위, 높은 곳’을 뜻합니다.

 

 

다음은 제가 쓴 "신들의 선물" 책입니다. 신화에서 나온 영단어와 그 유래를 밝혀 쓴 책입니다. 신화를 몰라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습니다. 한 번 보세요.

 


필요하신 분들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1. 의미와 기원

“Pie in the sky”는 실현될 수 없는 약속이나 소망을 의미합니다. 한국어로는 그림의 떡에 해당합니다. “실현 불가능한 꿈쯤으로 해석되는 우리 말과 달리 영어 표현은 씁쓸하고도 허무한 느낌마저 담겨 있습니다. 요즘 쓰이는 말로 바꾸면 희망 고문쯤 될 것 같습니다. 아마도 불공정한 재판에 총살까지 당한 노동 운동가가 만든 노래가사라서 그런 것 같습니다.

 

 “Pie in the sky” 1911, 미국의 노동운동가 "Joe Hill"이 만든 표현입니다. Hill은 국제 노동자 연합의 핵심 인물이었습니다. 그는 구세군의 찬송가를 패러디한 노래 “The Preacher and the Slave”에서 이 표현을 처음 사용했습니다. 마르크스가 말한 종교는 인민의 아편이라는 구절을 생각할 수 밖에 없는 노래입니다.

 

노래 가사 (원문)

    Long-haired preachers come out every night,

    Try to tell you what's wrong and what's right;

    But when asked how 'bout something to eat

    They will answer with voices so sweet:

 

    Chorus:

    You will eat, bye and bye,

    In that glorious land above the sky;

    Work and pray, live on hay,

    You'll get pie in the sky when you die.

 

해석

    긴 머리의 전도사들이 밤마다 나와서,

    옳고 그름을 알려주려 한다네;

    그러나 먹을 것이 어디 있느냐고 물으면,

    그들은 아주 달콤한 목소리로 대답한다네:

 

    합창:

    곧 먹을 수 있습니다,

    저 하늘 위의 영광스러운 땅에서요;

    일하고 기도하고, 풀을 먹고 버티세요,

    죽으면 하늘에서 파이를 먹을 수 있을 겁니다.

 

당장 굶주린 노동자들에게 죽은 뒤에나 맛볼 수 있는 파이가 무슨 소용이 있을까요? 말만 앞세우고 실질적으로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종교를 비판한 노래입니다.

 

미국 노동자들의 생활이 좀 나아져서 일까요? 지금은 "Pie in the sky”그림의 떡쯤으로 사용되고 있으니 다행이라고 해야 할까 싶습니다.

 

“Pie in the Sky”가 쓰인 문장들을 봅시다.

ex) Don't hold out for pie in the sky. Get realistic.       

    → 헛된 꿈을 꾸지 마라. 현실을 직시해라.

 

ex) Get rid of your pie-in-the-sky ideas!

    → 허황된 생각은 버려라!

 

ex) Traveling Europe is all just pie in the sky.   

    → 유럽 여행은 꿈같은 이야기일 뿐이야.

 

비슷한 의미를 가진 표현으로는 ‘Jam Tomorrow’가 있습니다.

 

이 표현은 루이스 캐럴의 소설 『거울 나라의 앨리스』에 나옵니다. 소설 속에서 하얀 여왕(White Queen)은 앨리스에게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ex) "The rule is, jam to-morrow and jam yesterday - but never jam to-day."

    (규칙은 말이야, 잼은 내일과 어제는 있어 하지만 오늘은 없다는 거야)

 

차라리 중국고사인 조삼모사(朝三暮四)가 더 낳습니다. 똑 같은 도토리로 어리석은 원숭이들을 현혹하지만 어쨌든 도토리 일곱개를 주기는 합니다. “하늘에 있는 파이를 약속하는 것보다는 훨씬 구체적이고 솔직합니다.

 

“Pie in the sky”를 내세우는 약속을 믿으면 바보가 됩니다. 특히 정치인들이 “pie in the sky”“jam-tomorrow”를 내세우면 거르는 것이 답입니다.  

 

 

영어 속담과 한국 속담은 같은 듯 다르기도 합니다. 동양이던 서양이던 똑 같은 사람이기에 비슷한 사고방식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지만 환경의 차이 때문에 다르게 생각하는 경우도 흔합니다. 그렇기에 한국인들에게 영어 속담은 그렇게 만만치 않습니다.

 

다음은 우리들이 잘 알고 있는 우리말 속담 100개를 영어로 옮겨 놓은 책입니다. 가능하면 우리말과 영어 어감이 같은 속담을 고르려고 노력했습니다.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책이 필요하신 분들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