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아홉 개 단어를 무작위로 외우는 것은 중노동입니다. 그래서 의미상 그룹 네 개로 묶어 보았습니다.
수동태가 안 되는 동사 9개
1) 발생하다 : happen, occur, take, place
2) 나타나다 : appear, disappear
3) ~처럼 보이다 : look, seem
4) 판명되다 : prove, turn out (주의)
한결 외우기 편합니다.
3. prove, turn out 수동태
위의 네 번째 그룹(prove, turn out)은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1~3번 그룹에 해당하는 동사들은 수동태로 사용되는 경우를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이 단어들이 수동태로 쓰였다면 잘못된 문장일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나 prove와 turn out은 다음과 같은 조건이 붙습니다. 이 두 동사가 ‘~으로 판명되다’라는 의미로 사용될 경우에만 수동태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반대로 prove가 ‘증명하다’, turn out이 ‘생산하다’ 등의 의미일 때는 목적어를 가지는 타동사가 됩니다. 따라서 수동태로 바꿀 수 있습니다.
예문을 봅시다.
①The rumor proved to be true.
(그 소문은 사실로 판명되었다.)
이 경우에는 수동태로 바꿀 수 없습니다. ‘~으로 판명되다’는 자동사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다음 문장은 어떨까요?
②The evidence provedhis innocence.
(증거는 그가 결백함을 입증했다.)
이 문장에서 prove는 ‘증명하다’의 의미로 타동사로 쓰였습니다. 그리고 innocence는 목적어입니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이 수동태로 바꿀 수 있습니다.
②-1. His innocence was provedby the evidence.
이 부분이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시험에서 실제로 자주 출제되는 것은 1~3번 그룹에 해당하는 동사들입니다. 4번은 굳이 완벽히 외우지 않아도 큰 문제가 없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수동태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수동태 직전정리"입니다. 수동태에서 반드시 알아야할 사항들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