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어란?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영어문법에서 반드시 알고가야 하는 "목적어(Object)"를 공부해 보겠습니다. 목적어는 영어의 기초 중의 기초입니다. 기초란 "쉬운 것"이라고 무시할 수도 있지만 이것을 제대로 알지 못해서는 영어라는 구조물을 탄탄히 세울 수 없습니다. 이번 기회에 목적어를 명확하게 정리해 보시기 바랍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0. Quiz
1. 목적어(Object)란 무엇인가요?
2. 목적어의 종류
2-1. 직접목적어
2-2. 간접목적어
3. 목적어로 쓸 수 있는 다양한 표현
4. FAQ
5. 연습문제 다운로드
예상 읽기 시간
○ 퀴즈를 푸는 실력자 → 뒤로 가기 클릭!
○ 예문을 천천히 확인하면서 읽으면 5분
○ 내용을 찬찬히 소화하면서 읽으면 10분
→ 글 작성 + 영상 촬영 + 코딩까지 6시간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0. Quiz
문법 퀴즈 😜
1. 직접 목적어를 완성시켜주는 존재는 무엇일까요?
2. 목적어는 문장 안에서 왜 자꾸 모양을 바꾸어 등장할까요?
위 넌센스 퀴즈에 답하신 분들은 모니터를 끄고 잠시 삶의 여유를 가지시기 바랍니다. 영어 기초는 충분하니 조금이나마 쉬어 가세요. 넌센스 퀴즈가 아리까리한 분들은 저를 탓하여(동영상에 있습니다) 글을 읽어 보세요. 들인 시간만큼 돌려 영어 실력으로 돌려드리겠습니다.
1. 목적어(Object)란 무엇인가요?
영어에서 목적어는 동사의 행위를 직접 받는 대상입니다. 조금 쉬운 말로 풀어보면 타동사의 행위가 전달되는 대상을 말합니다. "목적"이라는 말을 "동사의 행위의 목적"이라고 바꾸어 쓰면 의미가 분명해 집니다. "대상어"라는 말을 쓰는 사람도 있지만 확장성이 없습니다. 당장 "직접목적어"는 말이 되지만 "직접대상어"는 벽에 머리를 박는 느낌입니다. 그러므로 목적어는 다음과 같이 정리해 둡시다.
목적어: 동사의 행위의 대상
예문을 봅시다.
(1) I threw the book.
나는 책을 던졌다.
→ 목적어 the book
2. I hit him.
나는 그를 때렸다.
→ 목적어 him
(1) 번에서 book은 '던지다(threw)'라는 행위의 대상이므로 목적어입니다.
(2)번에서 him은 ‘때리다(hit)'라는 행위의 대상이므로 목적어입니다. 특히 (2)번과 같이 인칭대명사가 목적어 자리에 올 경우에는 반드시 목적격을 써 주어야 합니다. (격이 다 사라진 영어에서 몇 안남은 격중의 하나가 목적격입니다.)
누가 목적어의 정의를 물어보면 다음과 같이 자신있게 답해 줍시다.
목적어: 행위의 대상이 되는 말
2. 목적어의 종류
목적어는 문법적으로 "직접목적어와 간접목적어"로 나눌 수 있습니다. 엄밀히 말하자면 행위의 대상이 되는 말은 하나 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영어의 목적어에는 "직접목적어"만 존재해야 합니다. 그렇지만 언어를 사용하는 주체가 인간이다보니 사람이 중심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등장한 애매한 개념이 "간접목적어"입니다. 대학원에서나 공부할 내용이니 지금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 둡시다.
- 영어의 목적어에는 직접목적어와 간접목적어가 있다.
차례로 살펴 봅시다.
2-1. 직접목적어 (Direct Object)
직접목적어가 쓰인 예문을 봅시다.
(1) I threw the book.
나는 책을 던졌다.
(2) I hit him.
나는 그를 때렸다.
(1), (2)번에서 "the book, him"은 직접목적어입니다. 던지는(threw) 행위를 직접 받는 대상이 "the book"입니다. 마찬가지로 때리는(hit) 행위를 받는 대상은 "him"입니다. 이와 같이 직접 목적어는 동사가 표현하는 행위의 대상이 되는 말입니다. 우리가 "목적어"라고 했을 때의 그 목적어는 직접목적어를 말합니다.
직접목적어: 동작이나 행위의 대상이 되는 말
(1), (2)번과 같이 직접목적어만 있으면 문장이 성립하는 동사들을 "완전 타동사"라고 합니다.
2-2. 간접목적어(Indirect Object)
동사의 행위를 직접 받지는 않지만 그 대상을 받는 말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즉, 직접목적어를 받는 대상이 필요합니다. 영어에서는 이와같이 직접목적어를 받는 대상을 "간접목적어"라고 합니다. 설명은 어렵지만 예문을 보면 금새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간접목적어 예문
(1) I gave him the book.
나는 그에게 주었다/ 책을.
이 문장에서 "주었다(gave)"라는 행위의 직접적인 대상은 무엇인가요? "책(the book)"입니다. "the book"이 동작의 대상이 되는 직접목적어입니다. "him"없이 직접목적어만 있는 문장으로 다시 써 봅시다.
(1-1) I gave the book.
나는 책을 주었다.
누구에게 준 것인지 알 수 없습니다. 틀린 문장은 아니지만 정보 제공이라는 언어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장입니다. 쉽게 말하면 좋지 못한 문장입니다.
그럼 간접목적어만 있는 다음과 같은 문장은 어떨까요?
(1-2) I gave him.
나는 그를 주었다.
오, 이 문장은 뭔가 로마 시대의 살벌한 노예시장을 연상시킵니다. 문명화된 우리 시대에는 용납할 수 없는 말입니다. give와 같은 일부 동사들은 사람을 직접목적어로 쓰면 이렇게 황당한 내용이 되고 맙니다.
그러므로, give와 같은 동사들은 “직접목적어”를 건네받는 “간접목적어”가 필요합니다.
이제 퀴즈 1번을 답할 수 있습니다.
"직접목적어를 완성시켜주는 존재는 바로 "간접목적어"입니다. 간접목적어가 없으면 직접목적어는 방향을 잃고 헤매게 됩니다.
우리는 간접목적어를 다음과 같이 정리합시다.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를 받는 대상
give와 같이 간접목적어가 필요한 동사들은 "불완전 타동사"라고 합니다.
3. 목적어로 쓸 수 있는 다양한 표현
영어에서 목적어는 명사뿐 아니라 다양한 품사와 구(句), 절(節)이 올 수 있습니다. 목적어로 자주 쓰이는 표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명사 또는 명사구
- 대명사 (목적격)
- to부정사
- 동명사
- 명사절 (that절, 의문사절, if절, whether절)
독해 속도를 높일려면 목적어를 빨리 찾을 수 있어야 합니다. 실제 문장을 볼 때마다 동사의 목적어를 생각하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그럼 퀴즈 2번에 대한 답을 공개하겠습니다.
영어의 목적어가 문장 안에서 자꾸 모습을 바꾸며 확장하는 진짜 이유는 "동사에게 버림을 받지 않기 위해서입니다." 어지간히 변덕이 심한 동사 녀석들의 관심을 붙잡아 두기 위해서 목적어는 자신을 열심히 꾸미고 있습니다. 목적어의 끝없는 노력에 박수를 보냅시다. 👏👏👏
한편으로는 꾸미지 않아도 우리를 있는 그대로 사랑해주는 가족과 친구들에게 고마워 합시다. (저도 와이프와 딸네미에게 고마움을 표시하겠습니다.)
동사의 마음을 붙잡으려는 목적어의 노력을 보면서 각 유형별 예문을 봅시다.
목적어 유형 | 예문 |
---|---|
명사 | Her face showed embarrassment. 그녀의 얼굴은 당혹감을 드러냈다. |
대명사 | Her face showed it. 그녀의 얼굴은 그것을 나타냈다. |
to부정사 | Her face seemed to be embarrassed. 그녀는 당혹스러운 듯 보였다. |
동명사 | She avoided being embarrassed. 그녀는 당혹스러워지는 것을 피했다. |
that절 | Her face showed that she was embarrassed. 그녀의 얼굴은 그녀가 당황했음을 나타냈다. |
의문사절 | Her face showed how embarrassed she was. 그녀의 얼굴은 그녀가 얼마나 당황했는지를 나타냈다. |
whether절 | Her face showed whether she was embarrassed or not. 그녀의 얼굴은 그녀가 당황했는지 아닌지를 나타냈다. |
위에서 보는 것처럼 목적어를 바꿈으로서 비슷한 의미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표현을 할 수 있어야 살아있는 문법이 됩니다. 실제로 쓰지 못하는 문법은 죽은 문법입니다.
4. 자주 묻는 질문 (FAQ)
수업 시간에 자주 들었던 질문입니다.
Q1. 목적어(Object)의 역할은?
목적어는 동사의 행위를 직접 받는 대상으로, 없으면 문장이 불완전합니다.
Q2. 직접목적어와 간접목적어의 해석은?
직접목적어는 “무엇을(를)?”, 간접목적어는 “~에게”로 해석합니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오늘 공부한 내용을 한 문장으로 정리하겠습니다.
목적어는 동작이나 행위의 대상이다.
이상으로 목적어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5-14 11:56 by Song SSam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3형식 타동사 완벽 정리 (목적어 해석 주의사항 포함) (10) | 2025.05.16 |
---|---|
자동사를 타동사로 활용하기 | 3형식 동사 활용법 (6) | 2025.05.15 |
3형식동사 (완전타동사) 정리 (2) | 2025.05.13 |
유사보어(준보어)란? 개념과 예문 정리 (9) | 2025.05.12 |
2형식 문장 규칙 완벽 정리: 형용사 vs 부사 (look beautifully?) (9) | 2025.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