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 agreement

 

 

    이번 시간에는 일치(agreement)를 살펴 보겠습니다. 

 

 

 

 

PART 1. 개념정리.

 

언어에서 일치(agreement)란 단어들 사이의 문법적 관계를 말합니다. 영문법에서 일치는 크게 다음과 같은 4가지가 있습니다.

1. 인칭의 일치

2. 수의 일치

3. 성의 일치

4. 격의 일치

각 항목별로 간단하게 정리해 봅시다.

 

1. 인칭의 일치

 

영어의 인칭에는 1,2,3인칭 명사들이 있습니다. 인칭명사들이 주어 자리에 올 경우, 동사는 주어의 인칭에 따라 변합니다.

 

(1) I am a boy. (1인칭 주어)

(2) You are a boy. (2인칭 주어)

(3) He is a boy. (3인칭 주어)

 

위 예문에서 보듯이, be동사는 주어의 인칭에 따라 형태가 바뀌게 됩니다. 특히 3인칭 단수 주어 뒤에 일반동사가 올 경우, 현재형 동사에 '-s' 또는 '-es'가 붙는 것을 주의해야 합니다.

(1) He walks home every day. (3인칭 단수 주어 → walks)
(2) They walk home every day. (3인칭 복수 주어 → walk)

 

2. 수의 일치

 

단수는 단수를, 복수는 복수를 나타내는 형태로 받는 것입니다. 한국어와 달리 영어는 단수와 복수를 엄격하게 구분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셀 수 있는 명사(countable nouns)와 셀 수 없는 명사(uncountable nouns)의 구분은 매우 중요합니다.)

 

(1) One boy → boy (단수 형태)
(2) Two boys → boys (복수 형태)

복수 형태를 갖지만 단수 취급을 하는 경우가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1) News is interesting.
→ (news는 복수형처럼 보이지만 단수 취급합니다.)
(2) Mathematics is difficult.
→ (mathematics등 학문 이름은 단수 취급합니다.)

 

3. 성의 일치

 

영어에는 성(gender)을 나타내는 말이 존재합니다. 특히 소유격 대명사를 쓸 때 주의해야 합니다. 당연히 남성명사는 남성으로, 여성명사는 여성으로 일치 시켜야합니다.

 

(1) The boy has his dog. (남성 명사 → his)

(2) The girl has her dog. (여성 명사 → her)

최근 경향 & 추가 팁
오늘날 영어권 국가에서는 성중립적 표현(gender-neutral language)을 선호합니다. 성별이 불분명하거나, 굳이 성별을 드러낼 필요가 없는 경우 복수형인 'they/their'를 단수 형태로 사용합니다. 실제 시험이나 실생활 영어에서도 빈번히 사용됩니다.

ex) Everyone has their own opinion.
→ (Everyone은 단수이지만, 성별 구별 없이 their를 자주 사용합니다.)

 

 

4. 격의 일치

명사와 대명사는 문장 내에서의 역할에 따라 형태가 바뀌어야 합니다. 주어 자리에 쓰일 때는 주격을, 목적어 자리에서는 목적격, 소유의 의미를 나타낼 때는 소유격 형태를 씁니다.

 

(1) I like you. (주격 I)

(2) You like me. (목적격 me)

(2) My darling. (소유격 my)

 

네 가지 일치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주어 동사의 일치입니다. 수식어 때문에 주어와 동사 떨어져 있는 경우, 주어·동사 사이에 일치가 잘못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ex) The fact (that we ultimately die) doesn't weaken the pleasure of being present alive.

    (우리가 언젠가 죽는다는 사실은, 현재 살아있다는 기쁨을 약화시키지 않는다)

 

'the fact'가 주어이기 때문에 단수동사 ‘doesn't'를 썼습니다. ( )안에 있는 수식어절은 주어와 동사의 일치에 영향을 미치지 못합니다.

 

 

 이상으로 일치에 대한 개념정리를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일치 직전정리"입니다. 영어에서 가장 필수적인 일치 문법을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필요하신 분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포인트 83'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치구문에서의 일치  (5) 2014.08.24
관계대명사절의 수 일치  (0) 2014.08.23
수식어구와 절에서의 일치  (0) 2014.08.21
주어 동사의 일치  (0) 2014.08.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