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정사구와 동명사구의 일치



두 번째 볼 것은 부정사와 동명사구에서의 수의 일치입니다. 


주목 -> 명사


부정사와 동명사구를 본격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공식을 하나 외웁시다. 여러분이 영어를 공부하는 동안 내내 도움을 줄 녀석입니다.


이 공식은 이렇게 읽습니다. ‘주목이면 명사이다’. 조금 더 풀어서 말하면 ‘주어, 목적어이면 명사’라고 풀이 됩니다. 꼭 기억해 두시길 바랍니다. ‘주목이면 명사’



아무리 길어도 단수


럼 부정사구와 동명사구를 공부해 봅시다. 부정사와 동명사구의 일치는 간단합니다. ‘아무리 길어도 하나이면 단수다’라는 것입니다. 부정사구와 동명사구가 주어일 경우에는 아무리 길어도 단수 취급을 하면 됩니다. 예문을 봅시다.




이 문장에서 주어는 'Reading good books'입니다. 주어 자리에 있으니까 명사이고, ~ing니까 동명사입니다. (아까 ‘주목 -> 명사’라고 했죠?) 동명사 'Reading'이 ‘good books'라는 목적어를 취하면서 길어졌습니다. 더욱이 books는 복수형이고요. 그렇지만 이 문장에서 주어는 ’책들‘(books)이 아닙니다. ’책을 읽는 것‘(Reading good books)이 주어가 됩니다. 동명사구문이 주어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단수 동사인 ’is'가 왔습니다.


이렇게 동명사 구문은 길어져도 하나인 이상 단수 취급을 합니다. ‘to 부정사’ 역시 같은 규칙이 적용되므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and'로 연결되면 복수


그런데, 별개의 동명사 구문이 and로 연결되면 어떨까요? 그럴 때는 복수를 써 주면 됩니다. 주어가 두 개가 되는 셈이니까요. 예문을 봅시다.



간단하죠?



그럼 정리해 봅시다.



to 부정사나 동명사 구문은, 단수취급하다. 그렇지만 to 부정사나 동명사가 'and'로 연결되면 복수 취급한다.



이제 다음을 봅시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A of B 구문에서의 일치  (3) 2013.02.13
주격관계대명사절의 일치  (0) 2013.02.13
There is, here is  (4) 2013.02.13
수의 일치: 수식어구와 절  (0) 2013.02.11
be known ~  (6) 2013.02.11

3강 수의 일치




수란?

3강에서는 수의 일치를 공부해 보겠습니다.


수(number)란 무엇일까요? 문법에서 말하는 수(number)란 단수, 복수를 말합니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수의 일치라고 하면, 단수인지 복수인지 파악하는 것이 됩니다. 그렇지만 보통 수의 일치 문제는 주어 동사에서 발생합니다. 그래서 수의 일치라고 하면 ‘주어 동사의 일치’라도 합니다.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으면 됩니다.



수란 단수 복수를 나타낸다.

수의 일치란 주어 동사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그럼 시작해 봅시다.


1. 수식어구와 절


첫 번째 공부할 것은 수식어구와 절에서의 일치입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수식어구와 절은, 아무리 길어도, 주어 동사의 일치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예문을 보면서 공부해 봅시다. 이하 주어는 S(subject), 동사는 V(verb)로 나타내기로 합니다.






(1)번과 (2)번 문장은 의미가 같습니다. 단지 (1)번은 형용사구의 수식을 받고, (2)번은 형용사절의 수식을 받는다는 것만 다릅니다. 보시는대로 형용사구나 절의 수식을 받아도 주어 동사의 수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주어 'He'는 여전히 단수입니다. 그래서 현재형 동사 fail에는 ‘s'가 붙습니다.


 

문법의 기본은 해석


그런데 잠깐 생각해 봅시다. 과연 ‘수식어구와 절은 주어 동사의 일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라는 문법 지식만 가지고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요? 아닙니다. 문장을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문법 규칙따위는 몰라도 해석만으로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문법을 알면 더 체계적으로 빨리 이해할 수 있을 뿐입니다. 기억해 둡시다. ‘문법의 기본은 해석이다라고.’




그럼 수식어구와 절은 여기서 마치고 다음을 보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A of B 구문에서의 일치  (3) 2013.02.13
주격관계대명사절의 일치  (0) 2013.02.13
There is, here is  (4) 2013.02.13
부정사 동명사구의 일치  (2) 2013.02.12
be known ~  (6) 2013.02.11

be known ~ 





이제 마지막으로 전치사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수동태 구문을 봅시다.



be known ~


7. 기본형은 be know으로 ‘알려지다’라는 뜻입니다. 전치사에 주의하면서 의미를 살펴 봅시다.

(1) be known to 

    to가 ~에게 라는 의미가 있으므로, ‘~에게 알려지다’

(2) be known for 

    for는 ~ 때문에 라는 의미이므로, ‘~ 때문에 알려지다’

(3) be known as 

    as는 ~로서라는 의미이므로, ‘~로서 알려지다'

(4) be known by 

    by는 ~에 의해서 이므로, ~에 의해서 알다라는 의미입니다.



예문을 통해서 봅시다.


(1) She is known to the world. 

    (그녀는 세계에 알려져 있다.)

(2) She is known for her beauty. 

    (그녀는 아름다움 때문에 알려져 있다.)

(3) She is known as the Queen. 

    (그녀는 여왕으로서 알려져 있다.)

(4) A man is known by his friend. 

    (남자는 그의 친구에 의해서 알 수 있다.)



이상으로 2강 수동태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3강 수의 일치에서 다시 뵙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A of B 구문에서의 일치  (3) 2013.02.13
주격관계대명사절의 일치  (0) 2013.02.13
There is, here is  (4) 2013.02.13
부정사 동명사구의 일치  (2) 2013.02.12
수의 일치: 수식어구와 절  (0) 2013.02.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