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동사 should 총정리

should

영어 조동사 ‘should’ 완벽 이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영어 조동사 ‘should’의 다양한 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원래 should는 미래 조동사 shall의 과거형이었지만, 현대 영어에서는 사실상 독립적인 의미로 더 많이 쓰입니다. 그러므로 ‘shall의 과거형’보다는 ‘should 자체의 용법’을 구분하여 이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당연한 의무: should + 동사원형

2. 과거의 유감·후회: should have p.p.

3. 명령·제안·요구·충고 동사 뒤에서의 should

4. 조건 미래 should (참고)

5. 맺음말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당연한 의무: should + 동사원형

  • 의미: ‘~해야 한다’
  • 특징: must보다 훨씬 완곡하고 강제성이 적습니다.

should는 '~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당연한 의무를 나타내지만 must와는 달리 강제성이 거의 없습니다. 듣는 사람도 전혀 기분 나빠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해야한다‘라는 표현을 쓰고 싶다면 ’should'를 쓰도록 합시다.

ex) You should listen to your parents.

     (부모님 말씀 잘 들어야지.)

    이와 같이 당연한 의무를 나타냅니다.

당연한 의무 should

 


2. 과거의 유감·후회

2-1. 해버린 일에 대한 유감이나 후회

  • 형태: should have p.p
  • 의미: ‘~했어야 했는데…' (못 해서 유감, 후회)

'should have p.p.'는 기본적으로 과거 사실에 대한 반대입니다. 그러니 가정의 의미가 있습니다. 그렇지만 단순 가정이 아니라 유감이나, 후회가 들어갑니다. 그래서 가정법과는 달리 취급하는 것입니다. 

 

예문을 봅시다.

 

should have p.p:

(1) I should have studied harder.

    (더 열심히 공부했어야 했는데.)

 

이렇게 should have p.p를 쓰면 지금, 과거의 일을 후회한다는 의미가 됩니다. 현재시제로는 다음과 같이 바꿀 수 있습니다. (문장의 시제를 주의해 보세요.)

 

직설법 현재:

(1-1) I am sorry (that) I did not study harder.

should have p.p

 

2-2. 하지 못한 일에 대한 유감이나 후회

"should have p.p'의 부정형도 함께 알아 두어야 합니다.

  • 부정형: should not have p.p
  • 의미: ‘~하지 말았어야 했는데…' (해 버려서 유감, 후회)

ex) I should not have eaten that chocolate. 

    (나는 그 초콜렛을 먹지 말았어야 했는데...

    '먹어버려서 후회된다'라는 뜻입니다.

should not have p.p


3. 명령·제안·요구·충고 동사 뒤에서의 should  

3-1 당위성이 있을 때

일단 규칙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명령, 제안, 요구, 충고 동사 + (that) S should 동사원형

(order, suggest, demand, advise 등)

 

"명령, 제안, 요구, 충고" 등의 동사를 잠깐 봅시다. 명령하니까 해야하고, 제안하니까 해야하고, 요구하니까 해야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명령, 제안, 요구, 충고 동사들은 ‘~해야한다’라는 당위성을 포함합니다. 그래서 당위성을 나타내는 조동사 ‘should 동사원형’이 오는 것입니다.

 

이들 동사들 다음에 that 절이 오면, 동사의 시제와 상관없이 should + 동사원형이 와야 합니다. 이 때 that과 should는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도 반드시 동사원형을 써야 합니다.

당위성 동사들

 

예문

My wife suggested that I (should) clean the house.
(내 와이프가 제안했다/ 집을 청소해야 한다고.)

 

that절에서 should가 오는 것은 너무나 당연합니다. 와이프가 말하니 해야지 별 수 있습니까?

제안동사

 

3-2. 당위성이 없을 때

그런데 이러한 동사들에 당위성이 없다면 어떻게 될까요? 

 

예문:

ex) The evidence suggested that he (was, should be) innocent.

     (증거는 보여주었다/ 그가 무죄라고.)

 

만약 여기에 'should be'를 써버리면 (증거는 보여주었다/ 그가 무죄여야 한다고)라는 이상한 문장이 되어버립니다. 그러므로 should 동사원형을 쓸 수 없습니다.

당위성이 없을 때

 

이렇게 정리합시다.

명령, 제안, 요구, 충고 동사들 다음 that절에서는 should 동사원형이 온다. 단 당위성, ‘~해야 한다’라는 의미가 있을 때이다. 당위성의 의미가 없으면 ‘should 동사원형’을 쓸 수 없다.

당위성 should 정리

4.  조건 미래 should (참고)

조동사 should가 미래에 쓰여서 "강조나 가정"을 뜻할 수도 있습니다.

 

예문:

ex) If you should see her, let me know surely.

     (만약 그녀를 본다면, 꼭 알려 줘.)

 

위 문장에서 should는 아직 발생하지 않은 미래를 나타냅니다. 그렇게 많이 쓰이는 표현은 아니니 참고로 알아 두면 됩니다.

 

오히려 중요한 것은 if가 생략 되었을 때입니다. 미래를 나타내는 should에서 if가 생략되면 should가 문장 첫머리로 도치됩니다.

 

도치 예문:

ex) Should you see her, let me know surely.

     (만약 그녀를 본다면, 꼭 알려 줘.)

 

'Should'로 시작되는 문장을 봤을 때 if가 생략된 도치구문이라는 것을 재빨리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독해나 대화에서 자주 쓰이는 약간 멋을 부린 표현입니다.

if 생략


5. 맺음말

정리해 보면, should

  • 당연한 의무 (should + 동사원형),
  • 과거 유감·후회 (should have p.p.),
  • 명령·제안·요구·충고의 당위성 ((that) 주어 should + 동사원형),
  • 조건 미래(가끔 사용)

    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should 연습문제.pdf
0.31MB
should 연습문제 정답.pdf
0.31MB

 

 

그럼 이상으로 should에 대한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2025년 4월 15일 업데이트 by Song SSa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