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동사 will 용법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영어에서 가장 흔히 쓰이는 조동사 will의 의미와 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조동사 will은 주로 화자의 의지를 나타내거나 미래를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또한 많은 영어 학습자가 be going to와의 차이를 헷갈려하는데, 명확하게 알려 드리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조동사 will: '화자의 의지'
2. 조동사 will: '단순 미래'
3. will과 be going to의 차이
4. 자주 묻는 질문 (FAQ)
5. 연습문제 다운로도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조동사 will: 화자의 의지
화자의 의지를 나타낼 때 will은 ‘~하겠다’는 의미를 갖습니다. 화자의 의지를 ‘의지 미래’ 또는 ‘화자의 고집’이라고 따로 구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예문에서 보듯이 의지의 다른 표현입니다.
의지를 나타내는 will
(1) I will stop drinking.
나는 술을 끊겠다.
→ 나의 의지
(2) My daughter will not listen to me.
내 딸이 말을 들으려 하질 않아. ▶ 딸의 의지
→ 딸의 의지
(주의)
사물에 쓰이는 will은 사람의 의지를 간접적으로 반영할 뿐입니다. 사물 자체에는 의지가 없기 때문입니다.
ex) This window won’t open.
이 창은 잘 안 열려.
→ 창문이 열리지 않는 건, 창문 자체의 의지가 아니라 열려는 사람의 의지를 반영한 표현입니다.
will: 화자의 의지 (~하겠다)
2. 조동사 will: 단순 미래
will은 미래의 일을 표현할 때 가장 자주 사용됩니다. 영어에는 별도의 미래 시제가 없기 때문에 조동사 will로 미래를 표현합니다. 단순미래란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행위가 일어난다라는 의미입니다.
이때 will은 "~할 것이다"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단순 미래를 나타내는 will
(1) I will be twenty next year.
나는 내년에 스물이 된다.
→ 시간만 지나면 내년이 된다.
(2) The sun will rise again tomorrow.
태양은 내일도 뜰 거야.
→ 시간만 지나면 태양이 떠 오른다.
(주의)
조동사 shall도 미래를 나타낼 수는 있습니다. 그렇지만 현대 영어에서 shall은 미래를 나타내는데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 다음과 같인 관용적인 청유형 정도에나 쓰이고 있습니다.
ex) Shall we dance?
춤 한번 출까요?
→ 청유형
Let's를 이용한 청유형보다 고상하고 우아한 느낌을 줍니다. 금방이라도 손을 잡고 스텝을 밟고 싶은 기분까지 듭니다.
3. will, be going to 차이
will과 be going to는 둘 다 미래를 표현하지만, 뉘앙스가 상당히 다릅니다. 마구잡이로 바꿔쓰다보면 '실없는 녀석'이라는 말까지 들을 수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will, be going to는 실현 가능성이 다릅니다.
will은 이전에는 계획이 없었다가 그 순간에 즉흥적으로 하겠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상당히 강한 의지의 표현이지만 장담은 못합니다. 이에 대하여 be going to는 구체적인 계획까지 세워 놓은 상황에 쓰입니다. 그러므로 will보다 실현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 will: 과거에 계획이 없다가 말하는 순간 즉흥적으로 결정한 것
→ 의지는 있지만 확실한 준비는 없다. - be going to: 이미 계획이 세워져 있고, 준비가 진행된 상태
실현 가능성이 아주 높다.
will, be going to 예문
(1) I will stop smoking.
담배 끊을 거야.
→ 즉흥적인 결심, 아직 실현여부는 불확실함
(2) I am going to stop smoking.
담배 끊으려고 노력 중이야. ▶ -> 구체적인 계획이 있음
→ 구체적인 계획 수립, 실현가능성 높음
예문에서는 (1)번보다 (2)번이 금연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1)번이 즉흥적인데 대해 (2)는 이미 금연계획 중입니다. 금연 클리닉에 등록해놓았고, 니코틴 패치와 전자담배도 구입하는 등 구체적입니다.
4. 자주 묻는 질문 (FAQ)
Q1: will과 be going to 는 어떤 경우에 쓰나요?
A: 회화에서는 be going to가 계획된 미래 상황을 표현할 때 더 자주 쓰입니다. will은 즉흥적인 결정이나 의지를 강조할 때는 더 많이 쓰입니다.
Q2: will not과 won't는 같은 뜻인가요?
A: 네, will not과 won't는 같은 의미이며, 축약형 won't가 더 자주 쓰입니다. won't는 특히 회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5. 연습 문제 다운 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이상으로 조동사 will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업데이트: 2025년 4월 30일 by Song SSam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few, a few, little, a little 정확한 차이점과 예문 정리 (3) | 2025.04.30 |
---|---|
수량형용사 총정리: 셀 수 있는 명사, 없는 명사와 함께 쓰는 표현 (1부) (0) | 2025.04.28 |
영어 any other 단수와 복수 명사 구별법 정리 (+ 예문) (0) | 2025.04.27 |
헷갈리는 영어 비교급 관용표현: nothing more than, nothing less than, no other than, none other than 총정리 (4) | 2025.04.26 |
영어 비교급 관용 표현 9가지 총정리 (better off, no more than 등) (0) | 2025.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