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ttle the score, old score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score'의 특이한 뜻을 보겠습니다.


 

score : 새기다


score는 일반적으로 ‘점수’를 나타내는 쉬운 단어입니다. 그런데 이 score가 이상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음은 score에 포함된 괴이한(?) 의미들입니다.


1. score: 20개

2. old score : 오래된 원한

3. settle the score: 보복하다


참 이해하기 힘든 의미들입니다. 어떻게 score가 이런 해괴한 뜻을 가지게 되었을까요? 어원을 알면 score에 숨은 뜻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한 번 봅시다.


종이를 사용하기 전에 서양에서는 계산이나 기록을 위해 'tally stick(부신)‘이 쓰였습니다. tally stick이란 평범한 막대기였습니다. 여기에 물건 값이나 돈을 빌려 준 기록을 새겨 놓았습니다. (tally stick은 요즘으로 치면 거래 영수증 쯤 되겠습니다)


거래 당사자들은 tally stick에, 칼로, 해당하는 만큼의 홈(notch)을 새겼습니다. 칼로 새기는 이러한 행위가 scoring이었습니다. 그리고 scoring의 어원은, 짐작할 수 있듯이, scora였습니다. socra는 북유럽에서 기원한 말로 ‘칼자국을 내다’라는 뜻입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tally stick을, 그림에서와 같이 둘로 쪼개서 거래 당사자들이 나눠 가졌습니다. 일종의 영수증이죠. 거래를 청산할 때가 되면, 양 당사자들은 둘로 쪼개진 tally stick을 맞춰 보면서 필요한 금액을 지불하였습니다.


여기서 우리가 잘 아는 ‘score(점수)’가 나오게 되었습니다. tally stick에 새기는 행위를 나타내는 score에서, 원래의 의미는 사라지고, ‘점수’라는 의미만 남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 score는 점차 널리 퍼져서 스포츠를 비롯한 사회 전반에서 쓰이게 되었습니다.




score의 어원을 살펴 보았으니, 각 항목별로 의미를 설명해 봅시다.



1. score : 20개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score는 (칼로) 나무에 새기는 행위를 뜻했습니다. 그런데 ‘스물’이란 의미는 어떻게 생겨났을 까요? 역시 새기는 행위와 관련이 있습니다.


중세 시대에 시장을 가기 위해서는 성 안으로 들어가야 했습니다. 그리고 성 문으로 가기 전에는, 곳곳에 위치한 통행료 징수소(toll gate)에서 '통행료라고 써놓고 세금으로 읽는다‘를 지불해야 했습니다.


한두 마리도 아닌, 수백 수천 마리 가축의 머리수를 일일이 표시하는 것은 힘든 일이었습니다. 더욱이 말도 안 통하는 동물들 아닙니까? 그래서 가축을 팔러 toll gate를 통과하는 몰이꾼들은, 20마리씩 묶어서 tally stick에 표시했습니다. 이렇게 ‘스무’ 마리씩 묶어서 표시한 tally를 score라고 불렀습니다.


score가 20이라는 뜻을 가지게 된 역사적 배경이었습니다.


예문을 봅시다.


(1) Scores of fans broke into the studio.

    (수 십명의 팬들이 스튜디오로 난입했다)


(2) Four score and seven years ago our fathers brought forth on this continent, a new nation.

    (87년 전에, 우리의 아버지들은 이 대륙에 탄생시켰습니다, 새로운 나라를)

 

 

2. old score : 오래된 원한


시간이 흐르면서, score는 원래의 뜻과는 달라진 비유적인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빚을 져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충분히 공감할 겁니다. 돈을 빌릴 때는 빌려주는 사람이 구세주 같지만, 갚을 때가 되면 악마처럼 보입니다. 그만큼 빚은 사람을 심정적으로 압박합니다. 그렇다 보니 채권자를 원수로 보고, 채무를 ‘원한’으로 본 것도 충분히 이해가 갑니다.


old score는 여기서 나온 말입니다. 직역을 하면 ‘오래된 빚’이지만, 의역을 하면 ‘해묵은 원한’이 됩니다.


(1) Finally, I paid old score with him.

    (마침내, 나는 그에게 해묵을 원한을 갚았다)


(2) Don't rake up an old score.

    (옛 원한을 들추지 마라)

 


3. settle the score : 보복하다


settle이 해결하다는 뜻이므로, 'settle the score'는 '원한을 해결하다‘는 뜻입니다. 여기에서 ’보복하다, 복수하다‘라는 의미가 나왔습니다. 그렇지만 피 튀기는 복수뿐 아니라 ’설욕‘ 으로도 사용됩니다.


(1) Hamlet found out the killer and decided to settle the score.

    (햄릿은 살인자를 알아냈다/ 그리고 복수하기로 결심했다)


(2) We settled the score with the Yankees yesteday.

    (어제 양키즈에 설욕했어)

 


이상으로 score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mum's the word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Mum's the word!란 표현을 보겠습니다.



Mum's the word.

(비밀이야)


인터넷에서 ‘Mum's the word!’를 구글링 해 보면, 육아나 육아용품에 관한 것들이 나옵니다. 특히 이미지 검색을 선택하면 거의 다 ‘육아’에 관련된 이미지들이 나옵니다. ‘mom'이란 단어가 웬지 ’mom'과 비슷한 느낌을 주어서일까요? 여기에 대한 답은 글 끝에서 보기로 하고 일단은 'Mum's the word!'를 살펴 봅시다.

 

'Mum's the word!'는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무에게도 말하지마!

(너만 알고 있어!)

 

어떻게 이런 의미를 가지게 되었을까요?

 

사전에서 mum을 검색하면 크게 두 가지 의미가 나옵니다.


   mum

1. mom의 비격체

2. 잠자코 있는, 무언의 (silent)


mum이 mom의 비격식체로 사용은 되지만 silent라는 의미하고는 거리가 멉니다. 애 돌보는 엄마들이 말을 안하면 문제가 심각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양육자가 말이 없을 경우, 사회성이 없는 아기로 자랄 가능성이 아주 높다고 합니다. 양육자-특히 엄마-는 힘들더라도 계속 아기들에게 말을 해야 합니다. 엄마 되기 정말 어렵습니다. (‘집에서 애나 봐라’라고 말하는 사람들은 장담컨대, 좋은 부모가 아닌 사람들이 확실합니다)



침묵과 관련이 있는 mum의 뿌리는 다른데서 찾아야 할 것 같습니다. 우선 생각나는 단어가 두 개 있습니다.


1. mummy (미이라)

2. mummer (우물거리다, 말을 삼키다)



1. mummy에서 파생?


웬지 그럴 듯합니다. 영원한 시간의 흐름 속에서, 피라미드에 말 없이 누워있는 미이라. 이 이상 과묵한 존재가 있을 것 같지도 않습니다. 그렇지만 고대 이집트 왕조의 mummy가 중세에 생긴 영어 단어에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하는 것은 좀 무리가 있습니다. mummy 파생설은 증거 부족입니다.



2. mummer


mummer(우물거리다)에서 파생되었다는 설이 더 설득력 있습니다. 웅얼거리는 소리는 나지만 말을 하지는 않습니다. 더욱이 mummer에서 파생된 mime을 생각하면 설득력이 더 커집니다. mime은 잘 아시다시피 ‘판토마임(무언극)’입니다. 그러니 mime의 뿌리가 되는 'mum'도 ‘말없는’의 뜻을 가지고 있다고 합리적으로 추론할 수 있습니다.


자, 따분한 어원 이야기는 여기 마치고 실제로 사용되는 예를 봅시다.


영문학의 대가이자 언어의 마술사인 Shakespeare께서도 'Henry VI‘에 이 표현을 써 먹습니다. ('Mum's the word'가 사용된 최초의 기록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습니다.)

 

Seal up your lips and give no words but mum.(Henry VI)

직역: 입술을 봉하고 ‘음’소리만 내라.

의역: 입 닥쳐.

 

'mum's the word'는, 우리에게는 생소하지만, 인기 있는 영어 관용구입니다. 그만큼 일상에서도 많이 사용됩니다.

 

A: Gosh, they divorced finally!

B: I knew it came.

   Anyway, mum's the word.

A: O.K. I'm not telling any soul.

 

A: 맙소사, 그들이 마침내 이혼했대!

B: 그럴 줄 알았어.

   어쨌든, 비밀로 해.

A: 알았어. 아무한테도 말 안할 게.

 


너만 알고 있어!


그렇다면 mum's the word가 아기용품과 무슨 관련이 있을까요?


아기 돌보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이 힘든 일입니다. 연중무휴로 1주일에 7일, 하루 24시간을 무급으로 일해야 합니다. 육아에 헌신하는 부모를 보면, 아직까지 부모의 사랑은 돈으로도 살 수 없다는 것을 실감하게 됩니다.


그렇지만, 아무리 헌신적이고 사랑에 가득 찬 부모라도 아이들이 좀 칭얼대지 않았으면 할 때가 있습니다. 한 숨 돌리기 위해서입니다. 뽀로로나 스마트 폰은 이런 부모들의 구세주입니다. 뽀로로가 없었으면 아이들을 어떻게 키웠을까요?


뽀로로와 스마트폰 덕분에 한 숨 돌린 부모들이 친구들에게 비결을 알려줍니다. ‘너만 알고 있어라는 말과 함께.

 

너무나 훌륭해. 너만 알고 있어!

 

A: My baby loves Pororo so MUCH!

It sets me free.

B: Pororo works magic, right?

But, mum's the word.

 

A: 내 아기가 뽀로로를 너무 사랑해!

    자유를 얻었어.

B: 뽀로로 기막하지?

    그렇지만, 비밀로 하자.

 


이상으로 mum's the word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MUM...

have a short fuse, be on a short fuse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욱하는 성질’을 보겠습니다.



구동사와 관용구를 열심히!


영어를 잘하는 사람일수록 구동사와 관용구에 능합니다. 다시 말하면, 영어를 잘하려면 구동사와 관용구를 열심히, 더욱 열심히 공부해야 합니다.


구동사를 공부하는 특별한 비결은 없습니다. 네이티브가 아닌 이상, 나올 때마다 공부하면서 정리해두는 수밖에 없습니다. 관용구도 마찬가지입니다. 구동사보다는 덜 막연하지만, 어원에서 의미가 많이 달라졌기 때문에 새로운 단어라고 생각하고 공부해야 합니다.


실제로 네이티브들이 하는 말을 듣거나 미드를 보더라도 구동사와 관용구는 아주 많이 쓰입니다. 이래저래 영어를 잘하는 길은 멀고도 험난합니다.



오늘 배울 관용구는 ‘욱하는 성질’입니다.

 

성격이 급한 것을 나타내는 영어 표현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impetuous, impatient, hasty, headlong, hot tempered


위에 있는 표현들은 ‘성격이 급한’을 나타내는 형용사들입니다. 그렇지만 'hot tempered'를 제외하고는 ‘욱하는 성격’이라는 느낌이 나지 않습니다. 


욱하는 성질머리

have a short fuse


그렇다면 영어로 ‘욱하는 성질머리’는 어떻게 표현할까요? fuse를 써서 다음과 같이 표현합니다.


have a short fuse


fuse는, 다들 아시다시피, 다이너마이트에 불을 붙이기 위한 도화선입니다. 다이너마이트를 터뜨릴 때는 긴 도화선을 사용합니다. 다이너마이트의 강한 폭발력이 미치는 범위 밖에서 다이너마이트를 터뜨리기 위해서입니다. (그러고 보니, 리모컨으로 다이너마이트를 폭발시키는 것은 보지 못한 것 같군요)


그런데 짧은 도화선(fuse)을 쓰면 금방 폭발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사람이 성질내는 것을 비유적으로 ‘폭발한다’라고 합니다. 어떤 사람이 'short fuse'를 가졌다고 하면, ‘성질이 급하고 폭발적으로 화를 내는 성격’이라는 뜻입니다.


예문을 봅시다.


A: What's up? You look terrible.

B: I got on my wife's nerve.

   You know her.

   She has a short fuse.

   She cursed and swore at me.

A: 무슨 일이야? 안색이 나쁜데.

B: 내가 아내의 신경을 긁었어.

   내 아내 알잖아.

   욱하는 성격이야.

   엄청 욕을 퍼붓더군.

 

아, 공처가들의 비애여...


욱하는 성질을 참는 방법은 열까지 세는 것입니다. 이 때 주의할 것이 있습니다. 1에서 10까지 오름차순으로 세면 역효과가 발생합니다. 수가 커짐에 따라서 성지머리 게이지가 같이 상승하기 때문입니다.


10에서 1까지 내림차순으로 세야 합니다. 숫자가 작아질수록 성질머리 게이지도 내려 갑니다.

 

이상으로 ‘욱하는 성질머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money talks, money makes mare go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돈’에 대하여 살펴 봅시다.



돈이 최고!


Capitalism이 Globalism화 되면서 ‘돈’은 모든 곳에서 위세를 떨치고 있습니다. 어쩌면 돈 덕분에 세상을 판단하기가 쉬워 졌다고나 할까요?


과거에는 학식, 명예, 우정, 사랑 등 돈으로는 살 수 없는 고귀한 가치들이 있었습니다. 특히, 학문 분야의 전문가들은 돈으로 평가 받는 것을 혐오했습니다. 학자들이 학문을 이용해 치부를 하면, 지탄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곡학아세, 어용이라는 말로 그들의 학문적 매춘을 비난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능력이 있으면서도 가난한 ‘청빈’이 존경받기도 했습니다. 아무리 돈이 많은 장사꾼이라도 청빈한 학자에게는 존경심을 가졌습니다.

 

요즘에는 모든 분야에서 능력을, 돈으로 환산되는 수입으로 평가합니다. 아무리 능력이 뛰어나도 수입이 많지 않으면 높은 평가를 받지 못합니다. 학자들은 기꺼이 사업가들의 일꾼이 되어 돈을 벌려고 합니다. 청빈이라는 말은 사라지고, ‘청부’라는 말이 나오는 세상입니다.


생활의 편의를 위한 수단이었던 돈이 삶의 목표가 되어 버린 것입니다

.


영어에도 돈의 힘을 보여주는 여러 관용구들이 있습니다. 

한 번 봅시다.

 

1. Money talks. (돈이면 다 돼)

2. Money makes mare go. (돈이면 다 돼)

 


1. Money talks. (돈이 말한다 → 돈이면 다 돼)


돈의 힘이 얼마나 막강하면 말도 하겠습니까? 돈이 말까지 하니, 돈으로 무엇을 못하겠느냐는 의미입니다. 이 관용구는 돈의 힘을 냉소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경제력이 모든 것의 척도가 되는 세상입니다. 세련된 옷을 입었다 뿐이지, 경제란 결국 돈입니다. 요즘처럼 자본주의가 세상을 지배하는 시기에 딱 맞는 말입니다.


A: How on earth can he enter the college?

    He is a high school drop out!

B: His dad built a building for the college.

    Money talks.


A: 도대체 어떻게 그 녀석이 그 대학에 들어갔지?)

    고등학교도 중퇴했잖아!

B: 걔 아빠가 대학에 건물 지어 줬어.

   돈이면 다 돼.

 


2. Money makes mare go. (돈이면 다 돼)


이 표현을 직역하면 ‘돈은 암말도 가게 한다’입니다. 그런데 돈의 힘과 암말의 무슨 관계가 있을까요?


약간 성차별적인 이 표현의 유래는 암말의 속성에서 기인합니다. 다음 관용구에서 볼 수 있듯이, 말은 웬일인지 고집스럽게 나옵니다.


ex) You can lead a horse to water, but you can't make it drink.

    (말을 물가로 데려갈 수는 있지만, 마시게 할 수는 없다)

 

이 고집스러운 말들 중에서도 암말은 그야 말로 황소고집(?)이었나 봅니다. 그런데 돈은 이렇게 고집 센 암말도 움직입니다. 결국 돈이면 다 된다는 말입니다.

 

A: It's impossible to do this work in two days.

B: Money makes mare go. Do it or lose your job.



A: 불가능합니다/ 이 일을 이틀만에 하는 것은.

B: 돈이면 다돼. 하던가 짤리던가.



역시 돈이 최고!


다음 표현들도 돈의 막강한 힘을 나타내는 것들입니다. 그렇지만 의미 그대로 사용되니 특별히 어려울 것이 없습니다. 전도서에서까지 돈의 힘이 나오니 말 다 했군요. 

 

3. Money answereth all things. (돈이 모든 것에 답하니라)

    (전도서10:19)

4. If money go before, all ways do lie open. (돈이 앞서면, 모든 문이 열린다)

   (William Shakespeare)

5. Money governs the world.

   (돈이 세상을 다스린다)

6. Money is power.

   (돈은 힘이다)

7. All things are obedient to money.

   (모든 것들이 돈에 복종한다)

6. When money speaks, the truth keeps silent.

   (돈이 말할 때, 진실은 침묵한다)

 



May the money be with you!

in the fast lane, life in the fast lane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fast lane'관련 표현을 보겠습니다.


   fast lane과 관련된 표현은 다음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in the fast lane: 아슬아슬한, 재미있는

2. life in the fast lane : 아슬아슬한 삶, 흥분된 삶



빠른 것이 좋아!


first lane은 고속도로의 1차로이면서 보통 추월 차선으로 이용됩니다. 다시 말하면 빠르게 운전하는 차량을 위한 전용차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차로를 대하는 사람들의 심리는 둘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고속주행파와 고속주행기피파입니다.


첫째, 1차로 운전파.

이 사람들은 주로 1차로를 이용합니다. 이들이 1차로를 이용하는 것은 번거로움을 싫어하기 때문입니다. 2차로나 3차로의 경우 차량들의 속도가 제각각이기 때문에, 운전 차량의 속도를 자주 바꿔야 합니다. 또한 다른 차량의 끼어들기가 잦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상당수의 사람들이 고속주행차로인 1차로를 선호합니다. 물론 1차로에서 가능한 고속주행도 큰 이유가 됩니다.


둘째, 1차로 기피파.

일차로를 기피하는 사람들의 상당수는 빠른 속도가 주는 긴장과 부담을 싫어합니다. 1차로에서는 고속주행을 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100km가 넘는 속도로 운전하다보니 항상 긴장을 해야 합니다. 고속운전 중에 사고는 그야말로 황천행이니까요. 그래서 이러한 유형의 사람들은 1차로보다는,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린 2차로나 다른 차선을 이용합니다.


참고로 1차로에서 정속주행은 도로교통법 위반 사항입니다.

 

단속대상 : 고속도로 1차선에서 규정속도 이하로 운행하는 차량

단속이유 : 1차선 저속주행은 교통흐름 방해및 교통정체 유발한다.


웬지 바쁘게 움직여야만 하는 현대인들을 보는 것 같습니다. (빨리 안 가면 죽어...)


아무튼, 고속주행 1차로의 느낌을 그대로 살린 단어가 'in the fast lane, life in the fast lane'입니다.



먼저 ‘in the fast lane'을 보겠습니다.


 

1. in the fast lane.


'in the fast lane'은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아주 활동적이고 바쁘게 (in a very active manner)

(2) 위험한 (in a risky manner)

(3) 약육강식의 (weak-to-the-wall)


차례로 살펴 봅시다.


(1) 아주 활동적이고 바쁘게 (in a very active manner)

1차로에서 고속주행을 하고 있으니 빠르고 정력적으로 움직이는 것은 당연합니다. 여기서 나온 의미입니다.

① We modern people eat fast food, and drive in the fast line.

    (우리 현대인들은 fast food를 먹고, 고속차로로 달린다)

② Show business puts him in the fast line.

    (연예계는 그가 바쁘게 살도록 한다)


(2) 위험한 (in a risky manner), 약육강식의

1차로에서 고속주행을 무리하게 계속하는 것은 두 말할 것도 없이 위험합니다. 언제나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ex) The economic crisis put the company in the fast lane to bankruptcy.

    (경제위기가 그 회사를 파산 위험에 처하게 했다)

 

(3) 약육강식의 (weak-to-the-wall)

위험한 1차로에서 무리해서 빨리 움직이는 것은 ‘사느냐 죽느냐’의 문제입니다. 말 그대로 살벌한 상황입니다. 여기서 파생된 것이 ‘약육강식의’ 라는 의미입니다.

ex) Because of the severe competition, we are put in the fast lane.

    (살벌한 경쟁 때문에, 우리는 약육강식의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2. life in fast lane: 흥분되는 삶, 살벌한 삶


'life in the fast lane'은 ‘in the fast lane'의 뜻을 그대로 빌려 온 것입니다. 고속주행을 하는 삶이므로 ’잘 나가면서 짜릿‘합니다. 또한 끝없이 빨리 달려야 하기 때문에, ’살벌한 무한 경쟁‘을 뜻할 수도 있습니다.


(1) 잘 나가는, 짜릿한

① Recent success enabled me to have a life in the fast lane.

   (최근의 성공이 내게 짜릿하고 신나는 삶을 살게 했다)

② I like a life in the fast lane.

   (나는 바쁘고 활동적인 삶이 좋다)


(2) 살벌한, 약육 강식의

① In this competitive world, we all have to live lives in the fast lane.

   (이러한 경쟁사회에서, 우리들은 모두 살벌하게 살아가야 한다)

② On the war with drug cartels, the cops live in the fast lane.

   (범죄 조직과 전쟁을 벌이면서, 형사들은 살벌하게 살아간다)

 


fast food가 아닌 slow food를 먹고, fast lane이 아니 slow lane에서 살고 싶은데...

full of beans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full of beans'를 보겠습니다.


'full of beans'는 관용구로서 ‘기운이 넘치는, 활기찬, 정력적인’을 뜻합니다. 그런데 콩이 활기와 무슨 관련이 있을까요?

 

‘활기찬 콩’의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horse(말)와 관련

 

'full of beans'는 horse(말)과 관련된 표현입니다. 경마를 앞 둔 말에게는 영양가 높은 사료를 먹여야 합니다. 특히 빠른 스피드를 유지할 수 있는 강한 근육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그 근육이 주로 소비하는 에너지원이 단백질입니다.

 

채식만 하는 말에게 고기를 줄 수는 없습니다. (요즘은 사료에 동물성 단백질을 섞는다고도 합니다. 죽은 가축들을 갈아서 사료로 쓰는 것이죠. 이것은 자연에 역행하는 것입니다. 수 백 만년 진화를 거스르는 것이죠. 풀만 먹어온 동물에게 고기를 먹이다뇨?)

 

어쨌든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은 식물 중의 하나가 콩입니다. 문제는 예나 지금이나 콩은 값이 비싸다는 것입니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말에게 콩을 주지는 않습니다. 사람도 자주 먹기 힘들었으니까요.

 



이렇게 비싸고 단백질 함량이 높은 콩을 먹였으니 ‘기운이 넘친’ 것입니다.

 


콩을 좋아했던 로마인들


특히 전차 문화(?)가 발달했던 로마인들 사이에서 이러한 믿음이 강했습니다. 로마인들은 말에게 콩을 먹이면 더 튼튼해지고 강해진다고 생각했습니다. 틀린 생각은 아니었습니다. 콩의 주성분인 단백질이 근육을 만들고 손상된 근육 세포를 회복시켜 주기 때문이죠.

 

현대의 보디빌더들이 단백질 주성분의 음식을 주식으로 하는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단지 콩으로 만든 두부보다는 닭 가슴 살을 애용한다는 것이 다르죠.

 

보통 사람들은 맛 없는 닭가슴 살 대신에, 두부를 먹거나, 두유(베지밀)을 마십니다.

 


기운이 넘치네...


아무튼 단백질이 가득한 비싼 콩을 먹어서 에너지가 넘치는 것이 ‘full of beans'입니다. 보통 다음과 같이 사용됩니다.

 

(1) The old man is always so full of beans.

     (그 노인은 언제나 활기가 넘친다)

 

(2) A: You are full of beans today? 오늘 기운 넘치는 구나.

        What''s up? 무슨 일이냐?

    B: I got a big date! 데이트가 있거든.

 


이상으로 'full of beans'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콩으로 가득 찬 하루를 보내시길 바랍니다!


in the doldrums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in the doldrums'를 보겠습니다.


 

우울해...


‘doldrums’는 ‘침울, 우울, 침체, 부진’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in the doldrums'는 ’침울해 있는, 무기력한‘ 등의 뜻을 가지게 됩니다. 보통 다음과 같이 쓰입니다.

 

ex) My girl friend deserted me. (여친이 나를 버렸어)

     I'm deep in the doldrums nowadays. (요즘 완전히 우울해...)

 


그런데 doldrums은 어떻게 해서 ‘우울함, 침체’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을까요?

 


바람이 없어...


doldrums는 원래 ‘적도 무풍대’라는, 바람이 없는 지역을 나타내는 말이었습니다. 지구 원심력의 영향으로, 북반구와 남반구에서는 적도를 향하여 바람이 붑니다. 이 바람은, 선원들이 무역에 이용했다고 하여, 무역풍(trade wind)라고 불리웠습니다.

 

적도를 향해 불던 무역풍들은 적도 부근에서 만나게 됩니다. 힘이 비슷한 바람들이 만나기 때문에, 두 기류는 더 이상 앞으로 나가지 못합니다. 대신에 하늘로 솟구치는 기류가 발생합니다. 결국 이 지역에서는 바람이 위로만 불게 되는 것입니다.

 

범선들은 이 지역에 들어가면, 앞으로 나갈 수 없고 제 자리만 맴돌게 됩니다. 배가 앞으로 나갈 수 없으니 선원들의 사기가 떨어졌음은 말할 것도 없습니다.

 

이렇게, 적도 무풍대에 갇힌 범선에서 비롯된 표현이 ‘in the doldrums'입니다. 무풍대에 갇혀 꼼짝할 수 없는 범선의 처지와 선원들의 우울함을 나타낸 것입니다.

 


무기력하고 우울해...


적도 무풍대는 일시적인 현상이 아닌 지속적인 상태입니다. 그러므로 'in the doldrums'도 하루 이틀 침체되고 무기력한 상태에는 쓰지 않습니다. 장기간에 걸쳐 무기력하고 침체된 상태를 표현하는데 'in the doldrums'를 씁니다.

 

'in the doldrums'가 들어간 예문들을 봅시다.


(1) It is hard to find a job because the economy stuck in the doldrums.

    (일자리를 찾기 힘들다/ 경기가 침체되었기 완전 때문에)

 

(2) You should meet people to get out of the doldrums.

    (너는 사람들을 만나야 한다/ 우울증에서 빠져나오려면)

 


이상으로 'in the doldrums'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영어 속담 명언 (1-20)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자주 사용되는 영어 속담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오늘은 20개의 영어 속담을 보겠습니다. 



영어 속담 정리 (1-10)


1. A rolling stone gathers no moss.

직역 구르는 돌은 이끼가 끼지 않는다.

의역 부지런히 움직이는 사람은 깨끗하고 신선하다.


2. A drowning man will catch a straw.

직역 물에 빠진 사람은 지푸라기라도 잡는다.

의역 위험한 순간에는 어떤 것이라도 한다.


3. A little knowledge is a dangerous thing.

직역 조금 알고 있는 것이 위험한 것이다.

의역 선무당이 사람 잡는다.


4. A stitch in time saves nine.

직역 제 때 한 번 바느질 한 것이 아홉 번을 던다.

의역 일을 제때하면 많은 수고를 덜 수 있다.


5. A bad workman always blames his tools.

직역 서투른 일꾼이 연장을 탓한다.

의역 자신의 부족함을 남의 탓으로 돌린다.


6. All is not gold that glitters.

직역 반짝인다고 다 금은 아니다.

의역 모든 것이 다 겉보기만큼 가치 있는 것은 아니다.


7. A bird in the hand is worth two in the bush.

직역 내 손안의 새 한 마리가 숲 속의 새 두 마리 가치가 있다.

의역 확실하게 가지고 있는 것이 불확실한 큰 것보다 낫다.


8. Beggars should be no choosers.

직역 거지는 고르는 사람이 아니다.

의역 빌어먹는 놈이 콩밥을 마다할까.


9. Don't make a mountain out of a molehill.

직역 두더지 무덤으로 산을 만들지 마라.

의역 별 것 아닌 일을 크게 만들지 마라.


10. Even Homer sometimes nods.

직역 호머도 때로는 꾸벅꾸벅 존다.

의역 누구나 결점은 있다.



영어 속담 정리 (11-20)


11. Every dog has his day.

직역 모든 개는 전성기가 있다.

의역 한 번은 기회가 찾아온다.


12. God helps those who help themselves.

직역 신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의역 최선을 다한 후에는 신에게 맡겨라. (진인사 대천명)


13. It never rains but it pours.

직역 비가 내리면 퍼붓는다.

의역 엎친데 덮친다.


14. It is no use crying over split milk.

직역 엎질러진 우유에 대해 울어봐야 소용없다.

의역 이미 끝난 일 가지고 슬퍼하지 마라.


15. It takes all sorts(kinds) to make a world.

직역 모든 종류의 것이 세상을 만든다.

의역 세상에는 별의별 사람들이 다 있다.


16. Little pitchers have long ears.

직역 작은 주전자에는 귀가 있다.

의역 아이들 앞에서는 말 조심해야 한다.


17. Nothing succeeds like success.

직역 어떤 것도 성공처럼 성공하지 못한다.

의역 성공이 성공을 낳는다.


18. Rome was not built in a day.

직역 로마는 하루 아침에 건설되지 않았다.

의역 천릿길도 한 걸음부터.


19. Saying is one thing and doing is another.

직역 말하는 것과 행동하는 것은 별개이다.

의역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것은 어렵다.


20. The end justifies the means.

직역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 한다.

의역 모로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



그럼 이상으로 영어 속담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관용구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full of beans  (1) 2014.07.13
in the doldrums  (0) 2014.07.10
Curiosity killed the cat.  (0) 2014.04.28
영어 격언 (거짓말에 대하여)  (0) 2013.11.24
every dog has his day  (16) 2013.06.06

Curiosity killed the cat.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호기심’에 대한 속담을 공부하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속담입니다.


Curiosity killed the cat.

(직역 : 호기심은 고양이도 죽였다)

(의역 : 알면 다쳐!)





1. 의미 설명


이 속담은 ‘Curiosity kills the cat'으로도 사용됩니다. 직역을 하면 ’호기심은 고양이를 죽인다‘입니다. 의역을 하면 ’알면 다쳐!‘ 쯤 되겠습니다. 직역만 가지고는 의역을 하기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도대체 호기심과 고양이의 죽음이 무슨 관계가 있을까요?


먼저 호기심이 가진 파괴적 힘을 봅시다.


호기심은 파멸을 가져오기도 합니다. 호기심에 못 이겨 상자를 열어버린 판도라는 모든 악을 세상에 풀어 놓았습니다. 원자에 대한 호기심이 만들어낸 원자력은 인류의 말살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호기심은 개인은 물론 인류 전체를 파멸에 이르게 할 수 있습니다.


호기심은 왜 ‘고양이도’ 죽였을까요?


영어권 사람들은, 고양이가 아홉 개의 생명(nine lives)을 가졌다고 믿습니다. 그러므로 고양이를 죽이기 위해서는 9번이나 죽여야 합니다. 이 정도면 거의 불사신에 가깝습니다.


고양이가 ‘불사’라는 속성을 갖게 된 이유는 의외로 단순합니다. 고양이는 높은 곳에서 떨어져도 죽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고양이는 30층(100m)에서 떨어져도 살수 있다고 합니다. 인간은 즉사하는 높이입니다. 고양이의 이러한 낙하친화적 속성에서 ‘불사’가 나온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호기심이란 녀석은 불사신 고양이마저도 죽일 수 있습니다. 결국 다음과 같은 3단 논증구조가 성립합니다.


고양이는 (거의) 불사신이다.

호기심은 고양이도 죽인다.

그러므로 호기심은 (거의) 모든 것을 죽일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호기심(curiosity)은 ‘쓸 데 없는 궁리’ 쪽에 더 가깝습니다. 지나친 궁리와 실험 끝에 멀쩡한 돌다리까지 부숴버리는‘ 호기심입니다.


그래서 'Curiosity killed the cat.'을 ‘알면 다친다.’라고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2. 예문


다음은 'Curiosity killed the cat.'이 들어간 예문들입니다.


(1)

A: My teen son drove my car to crash.

    He is in hospital now.

B: What? What happened?

A: I don' know. He just said 'out of curiosity."

B: Oh, boy. Curiosity killed the cat.


A: 내 10대 아들 놈이 차를 몰다가 박았어.

    병원에 입원해 있다네.

B: 뭐라고? 무슨 일인데?

A: 몰라. 그저 ‘호기심 때문에’라고 하더군.

B: 저런, 호기심이 사람 잡았네.


(2)

A: You! What did you run on your credit car?

B: You'd better not know. Curiosity can kill cats.


A: 당신! 카드 뭐에 긁었어?

B: 모르는 게 나아. 알면 다쳐...


조금 더 보고 싶다고요?

"Curiosity can kill the cat."

 

그럼 여기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관용구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full of beans  (1) 2014.07.13
in the doldrums  (0) 2014.07.10
영어 속담 정리 (1-20)  (0) 2014.05.25
영어 격언 (거짓말에 대하여)  (0) 2013.11.24
every dog has his day  (16) 2013.06.06

영어 격언 (거짓말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거짓말에 대한 영어 격언들을 보겠습니다.



우리들은 거짓말의 안개 속에서 진실을 찾으려하고 있습니다. 아니, 거짓말의 안개로 진실을 감춘다고나 할까요? 다이아몬드가 가치있는 것은 그 희귀성 때문입니다. 진실이 가치있는 것도 희귀성 때문이겠죠. 살짝 슬퍼지지만 현실을 보면 그렇게 인정하지 않을 수 없군요.



다음은 거짓말과 관련된 영어격언들입니다.



about lies


1. A liar needs a good memory.

해석: 거짓말쟁이는 기억력이 좋아야 한다.

해설: 문어발 데이트를 한다고 생각해 보세요. 들키지 않으려면 비상한 기억력을 가져야 합니다. 거짓말도 마찬가지입니다.



2. “Lies require commitment.”

해석: 거짓말은 헌신을 요구한다.

해설: 거짓말에는 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말입니다. 창의력과 뻔뻔한 연기, 그리고 타이밍. 훌륭한(?) 거짓말은 가히 예술작품 창조와 맞먹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3. If you tell the truth, you don't have to remember anything.

-Mark Twain-

해석: 만약 진실을 말한다면, 어느 것도 기억할 필요가 없다.

해설: 거짓말은 부풀리거나 사실을 조작하기 마련입니다. 그러다 보니 당연히 현실과 어긋나게 됩니다. 사실이라는 땅 속에 거짓말이라는 지뢰가 매장되어 있는 것이죠. 지뢰를 밟지 않으려면 그 위치를 잘 기억해야 합니다. 즉, 어떤 거짓말을 했는지 알고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만 진실만을 말한다면, 지뢰에 신경 쓸 일이 없습니다. 그냥 걸어가면 되니까요.



4. “I'm not upset that you lied to me, I'm upset that from now on I can't believe you.”

― Friedrich Nietzsche

해석: 나는 당신이 나에게 거짓말해서 화난 것이 아니라네.

내가 화난 것은, 이제부터 자네를 믿을 수 없기 때문이네.

해설: 거짓말의 부작용입니다. 사소한 거짓말이라도 한 번 들켜 버리면 신뢰를 잃을 수밖에 없습니다.

 


5. “I lie to myself all the time. But I never believe me.”

― S.E. Hinton, The Outsiders

해석: 나 자신에게 항상 거짓말을 하다보니, 나도 못 믿게 되었어.

해설: 남이 자신을 못 믿는 것은 그나마 나은데, 자신이 자신을 못 믿게 되면 심각합니다. 거짓말의 해악이 정신분열증 수준입니다.



6. “There are three types of lies -- lies, damn lies, and statistics.”

― Benjamin Disraeli

해석: 세 가지 유형의 거짓말이 있다 -- 거짓말, 빌어먹을 거짓말, 그리고 통계‘

해설: 통계는 새빨간 거짓말이라는 의미입니다. ‘빌어먹을 거짓말’ 다음에 세 번째이자 마지막에 오는 것을 보니 통계가, 거짓말 중에서도 악질 거짓말이라는 의미입니다. 아이들이나 머리 나쁜 어른들이 자주하는 우발적인 거짓말은 사실 큰 해악을 끼치지는 않습니다. 어떤 이익을 취하려하기 보다는 상황을 모면하기 위한 순간적 현실도피니까요.

그렇지만 통계, 특히 사기성 통계는 죄질이 나쁩니다. 수학적 정확성을 앞에 네세우고 노골적으로 속이려 하니까요.



7. One lie makes many.

해석: 하나의 거짓말이 여러 개를 낳는다.

해설: 거짓말 하나를 감추려고 하다가 자꾸자꾸 거짓말을 하게 된다는 말입니다.

 


8. “When truth is replaced by silence, the silence is a lie.”

― Yevgeny Yevtushenko

해석: 진실이 침묵으로 대체된다면, 그 침묵은 거짓말이 되어 버린다.

해설: 진실을 말해야할 상황에서 침묵해 버리면 그것은 거짓말과 같다. 진실을 알고도 말하지 않으면 거짓말을 하는 것과 같다는 말입니다.



9. “If you tell a big enough lie and tell it frequently enough, it will be believed.”

― Adolf Hitler

해석: 충분히 큰 거짓말을 여러 번 한다면, 그것은 통한다.

해설: 히틀러는 요즘에 광고대행업자를 해도 크게 성공했을 겁니다. 대부분의 광고는 ‘커다란 거짓말을 여러 번 반복하는 것’입니다. 그 결과, 사람들은 그 광고를 믿고 그 물건을 구매하게 됩니다. 히틀러가 광고계에 투신했으면 2차 대전은 없었을까요?



10. “Ask me no questions, and I'll tell you no lies.”

― Oliver Goldsmith

해석: 나에게 질문을 하지 마라, 그러면 거짓말도 없을 것이다.

해설: 정확한 답은 없다는 말입니다. 사람이 하는 모두 거짓이라는 뉘앙스군요. 어쩐지 이분, 선생님이나 연인으로부터 거짓말 때문에 심각한 정신적 트라우마를 받은 모양입니다.



11. Humans need fantasies to make life bearable."

― Terry Pratchett, Hogfather

해석: 인간들은 살아가기 위해서 환상이 필요하다.

해설: 현실이 너무 힘들어서 환상(거짓)으로 가려야 된다는 말입니다.



12. I have a higher and grander standard of principle than George Washington. He could not lie; I can, but I won't.”

― Mark Twain

해석: 나는 George Washington보다 더 숭고하고 고상한 원칙을 가지고 있다. 그는 거짓말을 할 수 없었다; 나는 할 수 있지만 안 한다.

해설: 미국 초대 대통령 George Washington은 고집불통이었지만 거짓말만은 하지 않는 고결한 인품을 가졌다고 합니다. 그런데 우리의 Twain 선생은 자신이 Washington보다 더 고상한 인품을 가졌다고 주장하는데, 그 근거가 ‘자신이 거짓말을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풍자의 대가 Twain 선생의 말은 이런 뜻입니다. Washington이 거짓말을 안하는 것도 훌륭한 일이지만, 그것은 그가 ‘거짓말을 할 수 없는 성격을 가졌기’ 때문이라서 그리 대단한 것아니다. ‘거짓말을 할 수 있는 자신이 거짓말을 안 하는것’이 정말 대단한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만큼 거짓말을 안하기가 힘들다는 말이죠.



13. Lies and secrets are like a cancer in the soul.

― Cassandra Clare, Clockwork Prince

해석: 거짓말과 비밀은 영혼의 암과 같다.

해설: 거짓말을 하고 비밀을 가지면 가질수록, 암이 육체를 갉아 먹는 것처럼, 영혼이 병든다는 말입니다.

 


그럼 이상으로 거짓말과 관련된 영어 격언들이었습니다.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관용구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full of beans  (1) 2014.07.13
in the doldrums  (0) 2014.07.10
영어 속담 정리 (1-20)  (0) 2014.05.25
Curiosity killed the cat.  (0) 2014.04.28
every dog has his day  (16) 2013.06.06

Every dog has his day.

(Every dog has its day.)




영어속담 정리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Every dog has his day'를 공부해 보겠습니다.

'Every dog has his day'는 'Every dog has its day'로도 사용됩니다. 



1. 의미


'Every dog has his day'는 '쥐구멍에도 볕들날 있다'는 뜻입니다.




2. 설명


동·서양을 막론하고 개(dog)를 사람(특히 남자!)와 결부시키면 안좋은 어감을 줍니다. 불쌍한 개(dog)는 특히 남자(!)와 결합되어 비참한 취급을 받습니다.


영어속담 'Every dog has his day'는 이렇게 비천한 개도 한 번쯤은 자신만의 날(전성기)를 가진다는 말입니다.


'Every dog has his day'와 비슷한 우리말 속담은 ‘쥐 구멍에도 볕들날 있다’입니다. 송대관씨 노래를 빌리자면 ‘쨍하고 해뜰날’이 온다는 것입니다.




3. 예문


(1) Let Hercules himself do what he may.

    The cat will mew, and dog will have his day.  (Hamlet 중에서)

    (헤라클레스에게 그의 일을 하게 하자)

    (고양이가 야옹하고 울듯이 개에게도 전성기가 올 것이다.)


(2) Keep your chin up!!

    You will win next day.

    Every dog has his day.

   (기운내! 다음엔 이길거야. 쥐구멍에도 볕들날 있을 거야)




Thanks for watching!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관용구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full of beans  (1) 2014.07.13
in the doldrums  (0) 2014.07.10
영어 속담 정리 (1-20)  (0) 2014.05.25
Curiosity killed the cat.  (0) 2014.04.28
영어 격언 (거짓말에 대하여)  (0) 2013.11.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