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ther 용법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either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either는 우리에게 익숙한 단어입니다. 아마 중학교 때부터 시험을 위해 ‘too, either' 구별을 공부했던 기억이 있을 겁니다. 사실 시험에 나왔던 either의 용법은 중요합니다. 기본적인 용법이고 사람들이 자주 혼동하는 것이니까요.


문제는 시험만을 위한 영어 공부가 지식의 편식을 가중시킨다는 것입니다. 시험을 위해서 ‘too, either 구별 위주’로만 공부하다보니 다른 용법들을 무시하게 되는 것이죠. 그 결과 실제로 영어를 말하거나 쓰는데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이번 시간에는 활용위주로 either의 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시험용 문법책에서는 잘 다루지 않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생소할 수 있지만 영어를 말하거나 쓸 때 꼭 필요한 것들이므로 잘 공부해 두시길 바랍니다.



내용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 처음은 either의 기본적인 용법을 정리하고, 두 번째는 활용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Part 1. either의 기본적인 용법


either에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용법이 있습니다.

1. (부정문에서) ‘~도 아니다.

2. (둘 중에서) 어느 한 쪽

3. (두 개) 각각이나 양쪽의

4. either A or B



1. (부정문에서) ~도 아니다.

either는 부정문에서 부사로 사용되어 ‘~도 또한 아니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1) If you don't go, I won't go, either.

    (만약 당신이 가지 않는다면, 나또한 가지 않겠다)

(1)번에서 either 앞에는 쉼표(,)를 쓸 수도 있고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사용된 either는 긍정문에 쓰인 too에 대응됩니다.

(2) If you go, I will go, too.



2. (둘 중에서) 어느 한 쪽

either는 한정사나 대명사로 사용되어 ‘둘 중에 어느 한 쪽’을 의미합니다.

(1) 한정사

주로 side, end 등과 함께 사용됩니다.

ex) You can park on either side of the street.

     (당신은 주차할 수 있다/ 거리의 어느 한 쪽에)

(2) 대명사

ex) Have either of your friends lied?

(친구 중 한명이 거짓말 했니?)



3. (두 개) 각각이나 양쪽의

either ‘각각’이나 ‘양쪽’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either는 both나 each와 같은 의미를 같습니다.

ex) There were flowers either side of the road. (단수명사 side)

 = There were flowers both sides of the road. (복수명사 sides)

    (꽃들이 있다/ 길 양쪽에)

either 다음에는 단수명사가 오고 both 다음에는 복수명사가 온다는 것에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내용상 '양쪽‘을 의미하지만 'either'는 기본적으로 ’둘 중에 어느 한 쪽‘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4. either A or B

either는 or와 짝을 이루어 상관접속사로 사용됩니다. either A or B 구문이 주어 자리에 올 때는 뒤에 오는 B에 동사를 일치시켜야 합니다.


(1) Either he or I AM mistaken. (뒤에 오는 I에 동사를 일치시킴)

     (그 또는 내가 실수했다)

(2) Either I or HE IS mistaken. (뒤에 오는 He에 동사를 일치시킴)

 


Part 2. either의 활용


1. either, either of

either + 단수명사, either of + 복수명사

either 다음에는 단수명사가 오고 ‘either of’ 다음에는 복수가 옵니다.


(1) Either answer is correct.

    (두 답이 모두 맞다)

(2) Either of the answers is correct.

either 다음에 복수명사가 바로 올 수는 없습니다.

(1-1) Either answers is correct. (x)


either는 내용상 ‘하나’를 의미하기 때문에 단수가 원칙입니다. 그렇지만 격식을 갖추지 않은 말에서는, ‘either of 복수명사’를 복수취급하기도 합니다.

(2-1) Either of the answers ARE correct.



2. either의 위치

(1) not ~ either

부정문에서 부정어와 either를 붙여 쓰면 안 됩니다. 부정문에서 either는 문장의 끝에 써야 합니다.


(1) My wife doesn't like vegetables. My son doesn't like it EITHER.

(1-1) My wife doesn't like vegetables. My son doesn't EITHER like it. (x)


(2) either A or B 구문에서 either 위치

either A or b는 두 가지 대안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때 사용합니다. 여기서 either는 첫 번째 대안 앞에 오고 or는 두 번째 대안 앞에 와야 합니다.

① I'll visit you either today or tomorrow.

   (나는 너를 방문할 것이다/ 오늘 아니면 내일)

② He will be either promoted or fired.

    (그는 승진되거나 해고당할 것이다)


회화에서는 either를 흔히 본동사(main verb) 앞에 쓰기도 합니다.

③ I'll go either by bus or by train.

 = I'll either go by bus or by train.


인터넷이나 회화에서는 either를 본동사 앞에 사용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그러나 글을 쓰거나 격식을 갖춘 상황에서라면 either를 본동사 앞에서 사용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either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상호대명사 (each other, one another)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상호대명사를 공부하겠습니다.



말이 어렵지만 상호대명사(reciprocal pronoun)는 별 것 아닙니다. 우리가 자주 보아왔던 'each other, one another'가 상호대명사입니다. 상호(相互)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이들 대명사는 두 사람 이상의 감정이나 행동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다음은 간단한 상호대명사의 정리입니다.


상호대명사

두 명 이상의 사람들이 똑 같은 방식으로 어떤 감정이나 행동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대명사.




each other, one another


영어에서 대표적인 상호대명사는 'each other, one another'가 있습니다. 이들은 둘 다 ‘서로’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보통 'each other'는 둘 이상 사이, ‘one another'은 셋 이상 사이에 서로를 표현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엄격하게 격식을 따지지 않는 상황이라면 'each other, one another'를 서로 구별하지는 않습니다. 쓰임을 살펴보면 ‘서로’를 표현할 때는 ‘one another'보다는 ’each other'를 더 많이 사용합니다. 특히 ‘둘 사이의 서로’일 경우에는 ‘each other'를 훨씬 더 많이 사용합니다.


상호대명사 ‘each other, one another'를 사용할 때는 ’사람 수‘보다 ’품사‘에 더 신경을 써야 합니다. 이름(대명사)에서 알 수 있듯이 'each other, one another'는 엄연한 ’대명사‘입니다.




1. 목적어로 사용되는 상호대명사


상호대명사는 대명사이므로, 문장에서 간접목적어나 직접목적어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each other, one another는 주어로 쓰이지 않습니다)

(1) They help each other. (직접목적어)

(2) We brought each other gifts. (간접 목적어)

 


2. 전치사를 써야하는 상호대명사


’서로‘라는 우리 말 때문에 ’each other, one another'를 부사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이 잘못된 문장들을 사용하게 됩니다.


(1) We like to talk each other. (x)

(우리는 좋아 한다/ 서로 이야기하는 것을)


(1)번은 잘못된 문장이지만 틀린 곳을 찾는 것이 그렇게 쉽지 않습니다. 다음 문장과 비교해 봅시다.


(2) I like to talk him. (x)

(2-1) I like to talk to him. (o)


(2)번 문장에서 틀린 것을 찾기는 쉽습니다. 'talk' 다음에 사람이 올 때는 전치사 ‘to'를 써야하기 때문입니다. (2)번 문장은 (2-1)번과 같이 고쳐야 합니다.


(1)번도 마찬가지입니다. ‘each other’는 대명사이기 때문에 talk 다음에 쓸 때 전치사가 필요합니다. 다음과 같이 고쳐야 합니다.

(1-1) We like to talk to each other. (o)

 

'one another'도 마찬가지입니다.

(3) They shook hands one another. (x)

(3-1) They shook hands with one another. (o)


어려워 보이지만 인칭대명사로 바꾸어 보면 쉽게 잘못된 부분을 알 수 있습니다.


(4) She shook hands him. (x)

(4-1) She shook hands with him. (o)


‘(어떤 사람과)악수하다’라는 표현에는 자연스럽게 전치사 with를 씁니다. 그런데 'one another' 앞에는 전치사를 쓰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one another'가 부사라고 생각해서입니다. 그렇지만 앞에서 말했듯이 ’one another'는 대명사이므로 전치사가 필요하면 반드시 써야 합니다.


즉, 인칭대명사 ‘him, her, us' 등에 전치사를 써야 한다면, 'each other, one another' 앞에도 마찬가지로 전치사를 써 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3. 상호대명사는 언제나 단수


상호대명사에는 복수형태가 없습니다. 'each others, one anothers' 같이 복수형으로 쓸 수 없습니다.


(1) We are made for each others. (x)

(2) We are made for each other. (o)



지금까지 상호대명사를 공부해 보았습니다. 단순한 의미보다는 실제 문장에서 사용할 때 틀리기 쉬운 부분을 정리해 놓았으니 잘 이해하셔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이상으로 상호대명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귀대명사 (reflexive pronoun)  (9) 2014.01.09
either 용법정리  (6) 2014.01.08
neither 용법 정리  (4) 2014.01.06
but, however 의미차이  (8) 2014.01.04
부정대명사 (indefinite pronouns)  (4) 2014.01.03

neither 용법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neither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neither는 영어를 공부하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표현입니다. 자주 봐 왔고, 여타 시험에도 자주 나오는 것들이라서 익숙한 것들입니다. 그렇지만 실제로 쓰려고 하면 망설이게 되는 것들입니다. 잘 익혀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1. 한정사, 대명사 neither

2. neither A nor B

3. 접속부사로 쓰이는 neither

4. Me neither

5. 연습문제 다운로드 

 

1. 한정사, 대명사 neither

한정사 neither : (둘 중에서) 어느 것도 ~아니다.

두 사람이나 두 사물에 대해 부정적인 진술을 할 때 한정사 neither를 사용합니다. 이 때 neither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형태로 사용됩니다.

(1) neither + 단수명사

   ex) Neither answer was correct.

       (어느 답도 옳지 않았다)

(2) neither of + 복수대명사

   ex) Neither of them was correct.

       (그 들 중 어느 것도 맞지 않았다)

(3) neither of + 한정사 + 복수명사

    (neither of + the·these·those·소유격 + 복수명사)

   ex) Neither of the answers was correct.

       (답들 중에 어떤 것도 옳지 않았다)

 

Neither는 기본적으로 단수 취급이 원칙입니다. 그러나 'neither of' 다음에 복수 명사가 올 때는 복수 취급하기도 합니다. (주로 회화에서)

ex) Neither of the answers was(were) correct.

 

neither 다음에 복수명사를 쓸 때는 다음 두 가지에 주의해야 합니다.

첫째, 복수 명사 앞에 of 없이 바로 Neither를 쓸 수 없습니다.

   ex) Neither answers was correct. (x)

둘째, neither 다음에는 부정부사 not을 쓸 수 없습니다.

   ex) Neither answer was not correct. (x)

 

대명사 neither : 둘 다 ~ 아니다

Neither는 격식을 차린 문장에서 대명사로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ex) A: Did they come?

        (그들 왔어?)

B: Neither came.

       (둘 다 안 왔어)

 

2. neither A nor B : A도 아니고 B도 아니다

neither에서 가장 잘 알려진 용법입니다. 두 사람이나 사물에 대해 부정적인 진술을 할 때 사용됩니다. 이 표현은 주로 글이나 격식을 차린 말에서 사용됩니다.

 

(1) Neither my son nor my daughter came.

    (아들도 딸도 안 왔다)

(2) My son eats neither ice cream nor hot dogs.

    (내 아들은 아이스크림도 핫도그도 먹지 않는다)

 

선택의 의미가 있지만 neither 다음에는 or를 쓸 수 없습니다. Neither가 부정이기 때문에 반드시 nor를 써야 합니다. 다음과 같이 쓰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1-1) Neither my son or my daughter came. (x)

 

neither A nor B는 격식을 차린 딱딱한 표현이기 때문에 일상적인 회화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1)번을 일상적인 표현으로 바꾸면 다음과 같습니다.

(1-2) My son didn't come and NEITHER DID my daughter.

 

또한 neither A nor B에서 neither는 nor 다음에 있는 B와 문법적으로 같은 형태를 취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이 쓰면 안 됩니다.

(2-1) My son neither eats ice cream nor hot dogs. (x)

nor 다음에 명사인 ‘hot dogs'가 왔으므로 neither 다음에도 명사인 ’ice cream'이 와야 합니다. 그런데 neither 다음에 동사인 eat가 왔으므로 틀린 문장입니다. neither A nor B에서 A, B는 형태가 같아야 합니다.

 

3. 접속부사로 쓰이는 neither

앞 문장이 부정일 때 ‘~도 역시 아니다’라는 의미로 neither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He can't swim. Neither can I.

    (그는 수영을 못해. 나도 못해)

 

여기서 주의할 것은 두 가지입니다.

첫째, neither 다음에는 도치가 일어나 어순이 ‘동사 + 주어’로 된다. 다음은 잘못된 문장입니다.

(1-1) He can't swim. Neither I can. (x)

접속부사로 쓰일 때 neither 다음에는 반드시 도치가 일어나야 합니다.

 

둘째, neither 다음에는 부정어를 쓸 수 없습니다.

(1-2) He can't swim. Neither can't I. (x)

Neither는 부정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neither 다음에 부정어를 쓸 필요가 없습니다.

 

4. Me neither (Me neither, Me either)

다음 대화를 봅시다.

A: I haven't been Paris.

   (나는 파리에 가본 적이 없어)

B: Me either. (Me neither)

   (나도 못 가봤어)

 

이 대화에서 B는 문맥을 고려한다면 원래 다음과 같습니다.

(B-1) I haven't been Paris, either. (not ~ either로 표현)

(B-2) Neither have I. (Neither 동사 주어로 표현)

그렇지만 구어에서는 B와 같이 사용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문법만을 생각한다면 'Me neither'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I haven't been Paris, neither.’가 되어 버리기 때문입니다. ‘I haven't been Paris, either'에서 나온 ’Me either'가 맞는 표현입니다. 그러나 'Me, neither.‘도 영어 회화에서 많이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표현을 비문법적이라고 해서 틀리다고 말하는 것은 명백히 잘못된 말입니다. 언어는 살아서 변화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공부해야 합니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위에서 설명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입니다.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시기 바랍니다.

neither 연습문제.pdf
0.29MB
neither 연습문제 정답.pdf
0.33MB

 

 

지금까지 neither에 대하여 길게 설명을 했습니다. 다른 문법책에서는 볼 수 없는 내용들이라 생소하겠지만 잘 익혀 두시길 바랍니다. 문법 지식만을 암기하고 활용하지 못하는 것은 ‘죽은 지식’이기 때문입니다.

 

그럼 이상으로 neither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either 용법정리  (6) 2014.01.08
상호대명사 (each other, one another)  (0) 2014.01.07
but, however 의미차이  (8) 2014.01.04
부정대명사 (indefinite pronouns)  (4) 2014.01.03
지시대명사  (1) 2014.01.02

disinterested, uninterested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disinterested를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disinterested에 대한 간단한 정리입니다.



disinterested


disinterested (형)

   사심이 없는, 객관적인

   (=impartial, objective, unbiased)


파생어

명사형: disinterestedness (사심 없음, 청렴함)

부사형: disinterestedly (사심없이, 청렴하게)




disinterested, uninterested


disinterested는 interest 때문에 혼동을 초래하는 단어입니다. disinterested를 어근으로 분석하면 ‘dis + interested’가 됩니다. ‘dis'는 부정을 뜻하는 접두어로서 ’거리가 먼(away)'이나 ‘~이 아닌(not)'을 의미합니다. interest는 잘 아시다시피 ’관심, 흥미‘라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자연스럽게 'disinterested'가 흥미가 없는, 관심이 없는‘이라는 뜻이라고 추측합니다.


상당히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추측이지만 'disinterested'는 ‘무관심한(not interested)’으로는 잘 쓰이질 않습니다. 'disinterested'를 의미에 맞게 분석해 보면 ‘이익(interest)과 거리가 먼(away)’가 됩니다. ‘이익과 거리가 먼’에서 ‘사심이 없는, 객관적인’이라는 의미가 나옵니다.


disinterested, uninterested(not interested)의 의미를 비교해 봅시다.

1. disinterested (사심이 없는, 객관적인)

   ex) make a disinterested judgement

       (사심없는 판단을 내리다)

   ex) If you are disinterested, you are unbiased.

       (당신이 사심이 없다면, 당신은 공평한 것이다)


2. uninterested(not interested) (흥미가 없는, 무관심한)

   ex) I'm uninterested in Math.

       (나는 수학에 흥미가 없다)


위에서 보듯이 interested(흥미있는)의 반대는 disinterested가 아니라 uninterested 또는 not interested입니다. 그리고 disinterested는 개인적인 감정이 개입되지 않아 공평한 것을 의미할 때 사용합니다.

 

참고

Webster 사전에는 disinterested가 ‘무관심한’이라는 뜻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나와 있습니다. 권위있는 Webster 사전이니 만큼 믿고 사용해도 되겠지만 그 외 대부분의 사전에서는 disinterested를 ‘사심이 없는’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우리들도 disinterested를 ‘사심없는, 객관적인’으로 알아두면 충분할 것 같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disinterested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but, however 의미차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but, however를 공부해 보겠습니다.


 

but, however


영어를 공부하다 보면 같은 의미의 다른 표현들을 자주 만나게 됩니다. 처음에는 동의어라고 외우면 되지만 나중에는 의미차이를 구별할 필요가 생깁니다. 어느 언어나 철자가 다르면 의미도 다른 것이 원칙입니다. 그렇지만, 네이티브가 아닌 이상 그 차이를 감으로 이해한다는 것은 힘든 일입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할 but, however도 그러한 동의어들 중에 하나입니다. 둘 다 ‘앞에서 서술한 사실과 반대되거나 그와 일치하지 않는 사실’을 말할 때 사용합니다. 그러나 두 단어의 정확한 의미차이를 말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실제로, 영어권 네이티브들에게도 두 단어의 차이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힘든 일입니다.


이렇게 의미가 혼동되는 단어를 만났을 경우에는 사전이 가장 큰 도움이 되지만 but, however는 사전마저 별로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여러 사전을 조사해 봐도 명확한 설명은 찾기 힘듭니다.


결론을 말하자면 but, however는 큰 의미차이가 없습니다. 단지 두 단어는 품사가 다르기 때 문장에서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합니다. 



다음에서 간단하게 but, however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but, however 용법 정리


1. but

품사: 접속사

의미: 그러나, 그렇지만 (놀람이나 반대의견을 덧붙일 때 쓴다)


2. however

품사: 부사

의미: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놀람이나 반대 의견을 덧붙일 때 쓴다)

       (=nevertheless)


위에서 정리한 것처럼 but, however는 크게 의미차이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의미차이 보다는 사용법에 초점을 맞춰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일단 but은 접속사이고 however는 부사입니다. but은 접속사이기 때문에 문장과 문장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however는 부사이기 때문에 두 문장을 연결할 수는 없지만, 문장 안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예문을 보면서 살펴봅시다.


(사전과 개인에 따라 but, however를 엄격하게 구별하기도 하지만 같은 의미로 사용해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1. I don't like him, but I like his songs.

2. I don't like him; however, I like his songs.

3. I don't like him. However, I like his songs.

4. I don't like him. I, however, like his songs.

5. I don't like him. I like his songs, however.


각 예문별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1번에서 but은 등위접속사입니다. 그러므로 서로 다른 두 문장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등위접속사로 사용된 but 앞에는 쉼표(,)를 써야 합니다.


※ 2~5번은 의미가 같습니다.

2번에서 however는 부사이므로 두 문장을 연결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세미콜론(;)을 사용했습니다.


3번에서 however는 문장 첫 머리에 위치해서 두 문장을 논리적으로 연결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 서로 다른 별개의 문장이므로 However와 같이 첫 글자를 대문자로 써야 합니다. 그리고 However 다음에는 쉼표(,)를 써야 합니다.


4번에서처럼 however를 문장 중간에 위치시킬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두 개의 쉼표를 사용해서 however를 문장과 분리해 줍니다.


5번에서는 however를 문장 마지막에 놓았습니다. 이 경우에는 however 앞에 쉼표를 써야 합니다.

 

‘but, however’의 의미차이를 엄격하게 구별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1~5처럼 사용해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두 단어의 의미차이를 억지로 구별하는 것보다는 위 예문에서처럼 문장에서 실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참고로, 2번과 같이 세미콜론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3~5번과 같이 쓰는 것이 더 좋습니다. 세미콜론을 정확하게 사용하는 것이 만만치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세미콜론을 쓰는 것보다는 문장으로 분리해서 사용하는 것이 더 의미가 분명한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but, however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호대명사 (each other, one another)  (0) 2014.01.07
neither 용법 정리  (4) 2014.01.06
부정대명사 (indefinite pronouns)  (4) 2014.01.03
지시대명사  (1) 2014.01.02
후방조응 (cataphora)  (0) 2013.12.31

부정대명사 (indefinite pronouns)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부정대명사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부정대명사를 개괄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부정대명사란?


말하거나 글을 쓸 때, 지칭하는 대상을 명확히 밝힐 수 없거나 밝히고 싶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부정대명사입니다. 여기서 부정이라는 것은 ‘정해져 있지 않은’이라는 의미입니다. (긍정, 부정의 부정이 아닙니다)


상당수의 부정대명사는 수량을 나타내는 말과 ‘-body, -one, -thing'이 결합되어 만들어 졌습니다. 그래서 부정대명사는, 수량을 나타내는 말에 따라, ’전체를 나타내는 것‘부터 ’아무 것도 없는 것‘까지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1) 전체를 나타내는 부정대명사

   ex) Everyone has a right to happy.

       (모든 사람이 행복할 권리가 있다)


(2) 존재를 나타내는 부정대명사

    ex) Somebody called my name.

         Anyone can do that.


(3) 아무 것도 없는 것을 나타내는 부정대명사

    ex) Nobody came.

 


2. 부정대명사의 분류


다음은 수량을 나타내는 말에 따라 분류한 영어의 부정대명사들입니다. 주의할 것은, 'no one'을 제외한 모든 부정대명사들은 한 단어라는 것입니다.


any group :      anybody, anyone, anything

every group :   everybody, everyone, everything

no group :       nobody, no one, none, nothing

some group :    somebody, someone, something

기타 : one, another, others, each, every, all, both, some, any, either, neither...


위에서 보듯이 상당수의 부정대명사는 모두 ‘-body, -one, -thing'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one, -body'로 이루어진 부정대명사 사이에 의미 차이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somebody, someone' 사이에 의미차이는 없습니다. 


단지 ‘-one'으로 끝나는 말은 글에서 더 많이 쓰이고, ’-body'로 끝나는 말은 ‘회화’에서 더 많이 쓰일 뿐입니다. 또한 영국영어보다는 구어에 더 가까운 미국영어에서 ‘-body'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부정대명사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 시간부터 각 부정대명사를 자세히 공부해 보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ither 용법 정리  (4) 2014.01.06
but, however 의미차이  (8) 2014.01.04
지시대명사  (1) 2014.01.02
후방조응 (cataphora)  (0) 2013.12.31
대명사와 격  (0) 2013.12.29

지시대명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지시대명사를 공부하겠습니다.



영어에 지시대명사는 this(these), that(those)가 있습니다. 지시(demonstrative)란 어떤 대상을 가리킨다는 말입니다. 보통 this는 ‘가까운 대상’을, that은 ‘상대적으로 먼’ 대상을 가리킵니다. 주의할 것은 this·that이 물리적 거리뿐만 아니라 시간적·심리적 거리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입니다.


this·that이 명사 없이 단독으로 쓰이는 것을 지시대명사라고 합니다. 그리고 this·that이 명사와 함께 사용되는 것을 한정사(지시형용사)라고 합니다. 지시대명사와 한정사는, 명칭은 다르지만 용법은 같으므로 다음 글에서는 지시대명사로 칭하겠습니다.



(1) 공간적 거리


this는 화자에게서 가까운 거리에 있는 대상을, that은 화자에게서 거리가 먼 대상을 가리킵니다.


this / these (가까운 거리)

① This is my friend Alex.

② These apples taste good.


that / those (먼 거리)

① Do you know that person?

② Those apples looks tasty.




(2) 시간적 거리


this(these)·that(those)는 시간을 지칭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this(these)는 현재와 가까운 시간을, that(those)는 현재에서 거리가 먼 시간을 나타냅니다.


this / these (현재에서 가까운 시간)

① What are going to do this afternoon?

    (오늘 오후에 뭐 할래?)

② These days economy isn't good.

    (요즘 경기가 좋지 않아)


this / those (현재에서 거리가 먼 시간)

① What did you do that day?

    (너 그 날 뭐 했니?)

② We were good those days.

    (우리 좋았어/ 그 시절에는)


시간과 함께 사용될 때, 지시대명사 that은 주로 과거를 나타내지만 미래를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③ When is our next exam?

    That will be Tuesday.



(3) 심리적 거리


this(that)은 화자와 가까운 심리적 거리를, that(those)는 화자와 먼 심리적 거리를 나타냅니다.


this / those (가까운 심리적 거리)

① This is my love, Kate.

② These are my favorites.


that / those (먼 심리적 거리)

① That man is a real scoundrel.

    (저 남자 진짜 비열한 녀석이야)

② Those are lazy bones.

    (저 녀석들 정말 게을러)


심리적 거리를 나타내는 this·that은 상식적으로 설명이 가능합니다. 우리에게는, 애정을 가지는 대상을 가까이 두려하고, 싫어하는 대상을 멀리 두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4) 전자, 후자


문장이나 글에서 두 개의 대상이 언급될 때 앞에 나온 것(전자)는 that(those)으로, 뒤에 나온 것(후자)는 this(these)로 지칭합니다. 멀리 있는 것을 가리키는 that은 먼저 나온 것, 가까운 것을 가리키는 this는 나중에 나온 것을 지칭하기 때문입니다.


ex) Both a book and food are necessary to us; These are for the body and those are for the mind.

    (책과 음식은 우리에게 필요하다; 후자는 우리의 몸을 위해서, 전자는 우리의 마음을 위해서)


이 경우 의미를 분명하게 밝히기 위하여 these는 'the latter(후자)‘, those는 ’the former(전자)‘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this·that은 here·there와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화자에게서 가까운 대상을 나타내는 this는 here와, 먼 대상을 나타내는 that은 there와 비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 이상으로 지시대명사 this·that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but, however 의미차이  (8) 2014.01.04
부정대명사 (indefinite pronouns)  (4) 2014.01.03
후방조응 (cataphora)  (0) 2013.12.31
대명사와 격  (0) 2013.12.29
인칭대명사 사용법  (2) 2013.12.27

후방조응 (cataphora)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대명사를 앞에 쓰는 경우(후방조응)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영어를 공부하다보면,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규칙과는 전혀 다른 규칙이 있어서 놀라는 때가 있습니다. 대명사를 생각해 봅시다. 대명사는 보통 ‘앞에 나온 말(선행사)을 대신하는 말’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보통 대명사라는 것은, 앞에 나온 어떤 말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 대명사인 것입니다.

 

앞에 있는 말을 가리키는 대명사


다음은 대명사가 앞에 나온 말을 대신하는 문장들입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예들입니다.


대명사가 앞에 나온 말을 대신하는 경우

a. My daughter dropped the vase. It shattered into pieces.

   (the vase = it)

b. She was pleased, and so was I.

    (pleased = so)

c. My friend was late again, and that upset me.

    (My friend was late again = that)

d. If she goes there, I will do it as well.

    (If she goes there = it)


위에 있는 예문들에서 대명사는 모두 앞에 있는 말을 대신하여 사용되었습니다.



뒤에 있는 말을 가리키는 대명사


그런데 대명사를 먼저 쓰고 그 대명사가 대신하는 말을 뒤에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음 예들을 봅시다. 


a. Because he was very old, my grandfather wears a hearing-aid.

   (he = my grandfather)

b. His wife criticized John for lying.

    (his = john)

c. Although most kids might do so, my son will not buy a phone.

   (so = buy a phone)

d. In his free time, my son plays games.

    (his = my son)


위에 나오는 문장들은 우리가 흔하게 볼 수 있는 것들입니다. 단지 대명사가 가르키는 말이 뒤에 온다고 생각하지 못했던 것뿐입니다.




이렇게 대명사가 가르키는 말을 뒤에 놓는 이유는 주로 간결함이나 긴장감을 주기 위해서 입니다. 조금 더 예를 보면서 살펴봅시다.



대명사의 후방조응


1. 간결함을 위한 것

(1) I should have known it: He was such a play boy.

(2) Listen to this: I won a lottery!

(3) This is what I believe: that all men were created equal.


2. 긴장감을 주기 위한 것

She's the most fearsome. She's really arrogant. She's so cruel. She's my Little daughter.


이렇게 대명사를 앞에 쓰고, 대명사가 가리키는 말을 뒤에 쓰는 것을 후방조응(Cataphora)이라고 합니다. 용어는 어려우니 몰라도 되지만 내용만은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대명사가 앞에 있는 말만을 가리킨다는 우리의 고정 관념이 어긋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그럼 이상으로 대명사를 앞에 쓰는 경우(후방조응)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정대명사 (indefinite pronouns)  (4) 2014.01.03
지시대명사  (1) 2014.01.02
대명사와 격  (0) 2013.12.29
인칭대명사 사용법  (2) 2013.12.27
이중소유격  (5) 2013.12.26

대명사와 격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인칭대명사의 격에 대해 공부하겠습니다.



인칭대명사의 격변화


옛날(?)에 중학교에 입학할 때는 영어 알파벳을 외웠습니다. 요즘에 중학교 입학생들은 인칭대명사의 격변화를 외웁니다. 그만큼 영어공부가 대중화 되어있고 영어를 잘하는 사람들도 많아졌습니다.


인칭대명사의 격변화를 외우는 것은 특별하게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실제로 영어를 공부하는 거의 모든 사람들이 외우고 있을 정도니까요. 네이티브들은 10여년간 영어를 말하고 쓰면서 인칭대명사와 격변화를 체득합니다. 외국인 영어학습자인 우리들은 여건상 인칭대명사의 격변화를 외울 수 밖에 없습니다.


인칭대명사 자체는 그렇게 어려운 것들이 아닙니다. 단어들도 쉬워서 특별하게 여러 가지 의미가 있는 것도 아닙니다. 문제는 인칭대명사는 영어에서 가장 많이 -특히 회화에서- 사용되는 말이라는 것입니다. 그렇다보니 정확하게 사용하지 못하면 상대방에게 부정적인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이번 시간에는 실제 사용이라는 측면에서 인칭대명사의 격변화를 설명해 보겠습니다.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인칭대명사의 격변화

2. 인칭대명사의 격변화에서 주의할 점




1. 인칭대명사의 격변화



격이란?


영어에서 ‘격’이란 ‘어떤 말이 문장에서 하는 역할’을 의미합니다. 즉, 주어나 주격보어 역할을 하면 하면 주격, 목적어 역할을 하면 목적격, 소유의 의미가 있으면 소유격이 됩니다.


(1) 주격, 목적격, 소유격

주어나 주격보어 자리에는 원칙적으로 주격을 사용합니다.

① SHE loves ME.

② HE deceived THEM.

③ This is MY book.

①,②번에서, 주어자리에 있으면 주격을, 목적어 자리에 있으면 목적격을 썼습니다. ③번에서는 소유의 의미가 있기 때문에 소유격 ‘MY'를 썼습니다. 문장에서 하는 역할에 따라 격을 써주면 되기 때문에 별로 어려울 것이 없어 보입니다.


(2) 주격 보어의 격

주격보어자리에는 원칙적으로 다음과 같이 주격을 써 주어야 합니다.

① It was I.    (주격보어 I) (지나치게 격식을 차린 표현)

② If I were HE, I wouldn't go there.    (주격보어 HE) (지나치게 격식을 차린 표현)

①번에서 I, ②번에서 HE는 주격보어 자리에 있기 때문에 주격을 썼습니다. 이 두 문장은 원칙적으로는 맞습니다. 문제는, 현대영어에서는 이러한 형태가, 지나치게 원칙적(구식?)이라는 이유로 잘 쓰이지 않고 있다는 것입니다.


현대영어에서 ①번과 ②번은 주로 다음과 같이 쓰입니다.

①-1. It was ME.

②-1. If I were HIM, I wouldn't go there.

위 예문들에서 보듯이, 주격보어 자리에 있지만 주격대신 목적격을 훨씬 더 자주 쓰는 추세입니다.


'It is(was)' 다음에 관계사절도 주격대신 목적격을 쓰는 추세입니다.

③ It was SHE that married him. (지나치게 격식을 차린 표현)

④ It was HER that married him.

③번에서 SHE는 was 다음에서 주격보어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that절에서 주어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주격 SHE를 쓰는 것이 당연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④번과 같이 목적격을 쓰는 경우도 많습니다. 굳이 수치화하자면 50/50의 비율로 사용됩니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be동사 다음의 보어의 격은 목적격을 주로 쓴다.

(be동사 다음의 보어 자리에 주격을 쓰는 것은 지나치게 격식을 차린 표현이다)

 


(2) as, than, but, except의 경우


주격보어자리에 있는 경우에도 목적격을 사용하는 추세이지만, 명백히 주어 자리에 있음에도 목적격을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as의 경우

① I am as tall as HIM. (O)

    ⇒ I am as tall as HE. (X)

② I am as tall as he is tall.

①번에서 as는 문장을 연결하는 접속사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s 다음에는 주격 ‘he’가 아닌 목적격 ‘HIM'을 썼습니다. as 다음에 주격만을 쓰면 오히려 잘못된 문장이 되고 맙니다.

②번은 ①번을 풀어써 놓은 문장입니다. ②번과 같이 주어와 동사가 있을 경우에는 ’주격‘을 써야 합니다. 주의할 것은, ②번과 같이 풀어쓰는 것은 지나치게 딱딱한 문장이 될뿐더러 일상적인 대화에서는 피한다는 것입니다.


than의 경우

as뿐만 아니라 than에도 같은 규칙이 적용됩니다.

③ She is taller than ME. (O)

⇒ She is taller than I. (X)

④ She is taller than I am tall.


but, except의 경우

but은 접속사와 전치사의 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but 다음에는 주격이 올 수도 있고 목적격이 올 수도 있습니다.

① Everyone but (he / him) came.

①번에서는 주격인 he와 목적격인 him이 둘 다 쓰일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but이 전치사이므로 him을 쓰는 것을 추천합니다)

 

② Everyone except HIM came.

except가 '~을 제외하고‘ 일 때는 ’but'과 의미가 같습니다. 그렇지만 except는 전치사로만 사용되기 때문에 다음에 주격이 올 수 없습니다. ②번과 같이 목적격만을 써야 합니다.

 

(3) Between you and ME, Between you and I


'between A and B' 구문에서 between은 전치사입니다. 그리고 and라는 등위접속사로 연결되었기 때문에 A,B는 형태가 같아야 합니다.


① Between you and ME, there is no secret.

   (너와 나 사이에는 비밀이 없다)

①번에서 and 다음에 목적격 ME를 쓰는 것이 관습적입니다. 그러나 현대영어에서는 목적격 ME 대신에 주격 I를 쓰기도 합니다. (워낙 'you and I'라는 구문이 일반화된 까닭도 있습니다)

② Between you and I, there is no secret.


글이나 격식을 차린 상황에서는 ①번을 더 많이 쓰지만 비격식적인 상황에서는 ②번도 많이 사용됩니다.

 

(4) 의미상 주어

to 부정사나 동명사의 의미상 주어 자리에 목적격을 사용합니다.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에는 목적격을 사용합니다. 의미상 주어라도 주어 자리이지만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자리에는 주격이 올 수 없습니다.

① It is necessary for him to go there.

    ⇒ It is necessary for he to go there. (X)

    (그것은 필요하다/ 그가 거기에 가는 것이)

①번에서 'for him'은 'to go'의 의미상 주어입니다. 주어 자리에 있음에도 목적격 ‘him'을 썼습니다. (이 현상은 전치사 for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도 있습니다. 전치사 for 다음에는 목적격이 와야하기 때문입니다)


동명사의 의미상 주어

동영사의 의미상 주어 자리에는 소유격을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렇지만 현대영어에서는 목적격을 자주 사용합니다.


① Would you mind MY opening the window?

    = Would you mind ME opening the window?

①번에서 보는 것처럼 opening이라는 동명사의 의미상 주어 자리에는 소유격과 목적격을 둘 다 쓸 수 있습니다. 주의할 것은 글이나 격식이 필요한 자리에는 동명사의 의미상 주어로 소유격을 쓰는 것이 더 낫다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인칭대명사의 격에서 주의할 사항을 살펴 보았습니다. 실제 문장에서 사용할 때 쉽지않은 부분이므로 잘 공부해 두시길 바랍니다.



그럼 이상으로 인칭대명사의 격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시대명사  (1) 2014.01.02
후방조응 (cataphora)  (0) 2013.12.31
인칭대명사 사용법  (2) 2013.12.27
이중소유격  (5) 2013.12.26
독립소유격  (0) 2013.12.25

인칭대명사 사용법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부터 대명사를 공부하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인칭대명사의 연결

2. 중립적 표현


영어를 말하거나 쓸 때 가장 많이 접하는 것들 중에 하나가 인칭대명사입니다. 워낙 많이 쓰일뿐더러 단어자체도 쉽기 때문에 인칭대명사를 어렵게 생각하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 그러나 다른 단어들과는 달리 사람을 직접 지칭하기 때문에 인칭대명사를 잘못사용하면 자칫 감정을 상하게 됩니다. 그러한 이유로 대명사에 대한 본격적인 학습에 앞서 인칭대명사를 사용할 때 주의할 사항을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1. 인칭대명사의 연결


영어의 인칭대명사(personal pronoun)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인칭 : I, we

2인칭 : you

3인칭 : he, she, it, they


문제는, 이러한 인칭대명사를 쓸 때 어떤 인칭을 먼저 쓸까하는 것입니다. 어떤 인칭을 먼저쓰는가 하는 것은 표기법뿐만 아니라 예의상의 문제이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정확하게, 알맞은 순서대로 써야 합니다. 생각없이 인칭대명사를 쓰면 듣는 사람의 감정을 상하게 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1) 인칭대명사의 연결

    인칭대명사가 여러 개 연결되어 있을 때,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1인칭은 가장 뒤에 쓴다.

2. 2인칭을 먼저 써준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① You and I are good friends.

② You and he are good friends.

③ You, he, and I are good friends.

④ You, Jimmy, and I go to the same school.


위 예문에서 보듯이 2인칭 you를 가장 먼저 써줍니다. 이야기를 듣고 있는 상대방을 먼저 배려한다는 차원입니다. 그리고 ②,③번에서 보듯이 2인칭 다음에 다른 인칭이 올 때도 1인칭은 가장 나중에 씁니다. 역시 상대방을 배려한다는 의미입니다.


(2) 3인칭의 연결

    3인칭들이 연결될 때는 어떻게 할 까요?


3인칭이 연결될 때는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릅니다.

1. 남성을 나타내는 대명사를 여성을 나타내는 대명사보다 먼저 써준다.

2. 대명사를 명사(구)보다 먼저 쓴다.


다음 예문을 봅시다.


He and she have two children.

She and her friends went to the party.


④번에서 남성을 나타내는 he가 여성을 나타내는 she보다 먼저 왔습니다. 영어권에서 흔한

‘lady first' 정신과는 거리가 먼 표현입니다. ⑤번에서 보듯이 인칭대명사는 명사(구)보다 먼저 써 줍니다.


이렇게 길게 설명해 놓으니 어려운 것 같지만 별 것 없습니다. 한 마디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남을 먼저’

 

이런 순서를 무시하고 ‘나(I)'를 먼저 쓰면 예의없고 자기중심적이라는 말을 들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2. 중립적 표현


이번에 공부할 중립적 표현은 대명사의 순서보다 더 신경써야 할 문제입니다. 성적 민감성(sexual sensitivity)에 관한 것이라 자칫하면 오해를 불러일으키기 때문입니다. 한 번 봅시다.


※ 다음 괄호 안에 알맞은 말을 고르시오.

(1) A successful person manages (his, her) time well.

    (성공한 사람은 자신의 시간을 잘 관리한다)

(1)번에서 person은 양쪽 성에 다 쓰일 수 있는 ‘통성명사’입니다. 그럼 괄호 안에는 무엇을 써야 할 까요?


과거에는, 문맥 안에서 성을 결정하기 힘들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남성을 선택했습니다.

(2) A successful person manages his time well.


그렇지만 지금 이런 문장을 쓰면 여성 전체에 대한 심각한 인격모독이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왜 성공을 남자만 하는가’라는 당연한 질문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러한 오해를 피하고자 다음과 같이 쓰기도 합니다.


(3) A successful person manages his or her time well.


(3)번과 같이 써 놓으면 성차별에 문제는 사라지지만 문장이 매끄럽지 않습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수의 일치’라는 규칙을 깨고 다음과 같은 문장도 허용이 됩니다.

 

(4) A successful person manages their time well.

‘a successful person'은 단수이지만 이것을 지칭하는 인칭대명사는 복수인 ’their'를 썼습니다. 분명히 수의 일치를 벗어난 표현이지만 이 문장은 현재 문법적으로 옳은 문장으로 취급됩니다.


언어적 남녀평등이 실현되어가는 바람직한 과정이니만큼 약간의 혼란은 감수하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어떻습니까?

어렵지 않게 생각했던 인칭대명사였지만 상당히 심오한 내용이 많지 않습니까?


중요한 내용이니 잘 익혀두고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이상으로 인칭대명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방조응 (cataphora)  (0) 2013.12.31
대명사와 격  (0) 2013.12.29
이중소유격  (5) 2013.12.26
독립소유격  (0) 2013.12.25
소유격 의미정리  (5) 2013.12.24

이중소유격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이중소유격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1. 이중소유격


용어가 어렵지만, 이중소유격은 ‘소유격이 두 개’라는 의미입니다. 예를 봅시다.


ex) a book of my friend's.

     a friend of my father's

위 예에서 ‘my friend’는 소유격 어미(‘s)가 붙어 있으며 소유를 나타내는 전치사 of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두 개의 소유격이 쓰였으므로 ’이중소유격‘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이중소유격은 위 예에서처럼 주로 부정관사(a, an)와 함께 쓰입니다. 그렇지만 때로는 다음과 같은 한정사들과도 자주 사용됩니다.


a(n), this, that, some, any, no 등

ex) this car of my wife's

     that toy of my daughter's


한정사 which, what 등도 가끔 이중소유격에 사용됩니다.

ex) Which painting of your friend's was sold?

     (네 친구 그림 중에서 어느 것이 팔렸니?)


이러한 한정사들은 소유격과 연속해서 쓸 수 없으므로 반드시 이중소유격의 형태를 취해야 합니다.


ex) a my friends' book (x)

     my friend's a book (x)

     a book of my friends (o)


이중 소유격을 쓸 경우 of 다음에는 사람의 소유격이 오며, 인칭대명사만 쓸 경우에는 소유대명사를 써야 합니다.

ex) this car of my wife's (my wife's → 사람의 소유격)

     that toy of my daughter's (my daughter's → 사람의 소유격)

     a friend of mine (mine → 소유대명사)

 



2. 이중소유격의 의미

(1) 이중소유격의 의미

   a painting of my friend's는 다음 두 가지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① 내 친구가 가진 그림 (소유)

② 내 친구가 그린 그림 (주격)

   그렇지만 일반소유격과는 달리 목적격의 의미를 가질 수는 없습니다.

③ 내 친구를 그린 그림 (목적격 X)


(2) my friend, a friend of mine

소유격 ‘my friend’와 이중소유격 ‘a friend of mine'은 의미가 다릅니다. 

   예문을 봅시다.

① He is my friend. (전체 친구 수는 알 수 없음)

② He is a friend of mine. (여러 명의 친구 중에 한 명)


'my friend'를 쓴 ①번 문장은 친구 수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습니다. 그저 ‘그가 나의 친구다’라는 사실만을 전달해 줍니다. 이에 대하여 ②번은 여러 명의 친구 중 한명이고, 청자는 화제가 된 친구를 모른다는 뉘앙스를 전하고 있습니다.


①,②번은 의미가 약간은 다르지만 서로 바꾸어 쓸 수도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소유격과 이중소유격의 의미차이는 그렇게 크지 않다는 말입니다.

 


그럼 이상으로 이중소유격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명사와 격  (0) 2013.12.29
인칭대명사 사용법  (2) 2013.12.27
독립소유격  (0) 2013.12.25
소유격 의미정리  (5) 2013.12.24
소유격의 형태  (0) 2013.12.23

독립소유격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독립소유격을 공부하겠습니다.



독립소유격


소유격은 일반적으로, 's나 전치사 of를 써서 명사들 사이의 소유관계를 나타냅니다. 그리고 's 다음이나 of 앞에는 소유의 대상인 명사가 오는 것이 보통입니다.


a. my friend's car

b. the ears of a rabbit


그런데 다음과 같이 소유격 다음에 명사를 생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c. My memory is better than Tom's. (Tom's memory에서 memory 생략)

   (내 기억력은 탐보다 낫다)

위 문장에서 Tom's 다음에는 memory가 생략되었습니다. 이렇게 소유격 다음에 명사를 생략하고 소유격만 쓰는 것을 독립소유격(independent genitives)이라고 합니다.


독립소유격을 쓰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소유격 다음에 있는 명사가 앞에서 언급되었거나, 굳이 말하지 않아도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문들을 보면서 살펴봅시다.



1. 독립소유격 - 앞에 나온 명사의 생략


앞에 나온 명사 소유격 다음에서 반복되는 경우에는 그 명사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1) That is not my car. It's my wife's. (소유격 다음에 car 생략)

    (그것은 내 차가 아니야. 내 아내 차야)

(2) My glass is empty. So is my friend‘s. (소유격 다음에 glass 생략)

    (내 잔이 비었다. 내 친구 잔도 비었고)

(3) She has a wonderful voice like her mother's. (소유격 다음에 voice 생략)

    (그녀는 멋진 목소리를 가졌다/ 그녀의 엄마처럼)



2. 독립소유격 - house, store, business 등이 생략


명사가 앞에 나오지 않더라도 소유격 다음에 ‘house, store, business' 등의 말은 생략할 수 있습니다.

(1) I visited my uncle's during the vacation. (← uncle's house)

    (나는 삼촌을 방문했다/ 방학 동안)

(2) I have been to barber's to cut my hair. (← barber's shop)

    (나는 이발소에 갔다 왔다/ 머리를 자르려고)


(1)번에서 다른 언급은 없지만 uncle's 다음에는 'store'가 아닌 'house'가 생략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방학동안 삼촌 집을 방문하는 것이 더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2)번에서는 소유격 다음에 ‘shop'이 생략되었습니다. 이발을 하는 곳이므로 house보다는 shop이 문맥에 맞습니다.



위에서 보듯이 독립소유격은 특별한 언급이 없어도 화자나 청자가 알고 있는 대상을 언급할 때 사용됩니다. 말하지 않아도 알고 있으므로 특별히 쓸 필요가 없어서 생략하는 것입니다.

 

그럼 이상으로 독립소유격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칭대명사 사용법  (2) 2013.12.27
이중소유격  (5) 2013.12.26
소유격 의미정리  (5) 2013.12.24
소유격의 형태  (0) 2013.12.23
복수어미 생략  (1) 2013.12.20

소유격 의미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소유격의 의미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형태는 단순하지만 소유격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은 그렇게 만만하지 않습니다. 상황과 문맥에 따라 소유격의 의미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의미위주로 소유격을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1. 특정과 불특정

2. 소유격의 다양한 의미

 


1. 특정과 불특정


소유격의 의미는 ‘특정성’을 기준으로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첫째, 구체적이고 특정한 대상과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둘째, 일반적이고 불특정한 대상과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예를 보면서 공부해 봅시다.


(1) Marry's clothes. (Marry의 옷, 특정)

(2) women's clothes. (여자들의 옷, 불특정)


똑 같은 소유격(‘s)이지만 (1)번과 (2)번은 의미가 다릅니다. (1)번에서 소유격은 ’Marry라는 특정한 여자‘가 소유한 옷을 나타냅니다. 이에 대하여 (2)번은 ’불특정한 여자들을 위한 옷‘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전치사를 이용해서 (1),(2)번을 다시 써보면 의미가 더 분명해 집니다.


(1-1) the clothes of Marry

(2-1) clothes for women


‘특정 소유격’은 (1-1)번처럼 소유를 나타내는 전치사 ‘of'를 이용해 다시 쓸 수 있습니다. 그리고 ’불특정 소유격‘은 용도나 목적을 나타내는 ’for'를 이용해 다시 쓸 수 있습니다.


위의 경우는 특정과 불특정의 구별이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조금 더 구별이 어려운 예를 살펴봅시다.


(3) That girl's school is famous. (특정)

    (그 소녀의 학교는 유명하다)

(4) She goes to girls' school. (불특정)

    (그녀는 여학교에 다닌다)


girl의 소유격 girl's와 girls'는 형태는 비슷하지만 의미가 전혀 다릅니다. 예문에서 girl's는 특정한 소녀 한 사람의 학교를 가르킵니다. 그러나 girls'는 불특정한 소녀들의 학교를 가르킵니다. 역시 전치사를 이용해 두 문장을 다시 쓸 수 있습니다.


(3-1) the school of that girl

(4-1) the school for girls


지금까지 보았듯이 소유격에는 특정과 불특정의 의미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 두 가지 의미가 분명히 드러나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습니다. 그러므로 소유격을 쓸 때는 문장 안에서 특정, 불특정의 의미가 정확하게 드러나도록 해야 합니다.

 


2. 소유격의 다양한 의미


‘소유’란 ‘어떤 대상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소유격(genitives) 역시 기본적으로는 ‘어떤 대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표현합니다. 그러나 소유격이라는 명칭이 다른 의미가 있다는 것을 생각지 못하게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실제로 소유격은 ‘소유’ 외에도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음은 소유격이 가진 다양한 의미를 정리해 놓은 것입니다. 주의할 것은 아래에 있는 용법을 다 외우려고 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소유’로 해석해도 웬만한 것은 거의 다 이해가 됩니다. 그러니, 문법공부라기 보다는 독해공부라고 생각하시고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그럼 예문을 보면서 살펴보겠습니다.


(1) 소유관계

① My wife's car (⇒ My wife has the car)

② The secret of life (⇒ Life has a secret)

위 예문과 같이, 소유격이 소유를 나타낼 때는 ‘has'의 의미를 가집니다.


(2) 의미상 주어

① My son's success (⇒ My son succeed)

② The fall of Roman Empire (⇒ The Roman Empire fell)

    (로마 제국의 몰락)

success나 fall(몰락)은 인간의 행위를 나타내는 것들입니다. 이러한 말들이 소유격과 결합할 때는 의미상으로 주어·술어 관계가 성립합니다.


(3) 의미상 목적어

① My son's education (⇒ (I) educate my son)

② The assassination of the king (⇒ ∼ assassinated the king)

①번은 다음 두 가지로 써 볼 수 있습니다.

①-1. My son educates ∼.

       (내 아들이 교육시킨다)

①-2. (I) educate my son.

       (내 아들을 교육시킨다)

위 두 문장을 보면, 아들을 목적어로 쓴 두 번째 문장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②번도 마찬가지입니다. ‘왕이 암살했다’보다는 ‘왕을 암살했다’가 더 자연스럽습니다. 이렇게 소유격과 명사가 의미상으로 목적어 관계를 갖는 경우도 있습니다.


(4)~(7)까지는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의미파악만으로 충분할 뿐만 아니라 다른 용법으로 해석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4) 수식·설명

불특정한 대상을 가리키는 소유격은 명사를 수식하거나 설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① baby's foods (⇒ The food are made for babies)

② The dictionary of English (⇒ The dictionary is about English words)

 

(5) 속성·성질

소유격은 어떤 대상의 속성이나 성질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① Her remarkable beauty

    (⇒ She is remarkably beautiful)

    (⇒ She has remarkable beauty)

② the exceptional courage of the soldier

    (⇒ The soldier is exceptionally courageous)

    (⇒ The soldier has the exceptional courage)


(6) 기원·출처

① Shakespeare's novels

    (⇒ The novels written by Shakespeare)

    (⇒ Shakespeare wrote the novels)

② the whisky of Scotland.

    (⇒ The whisky is produced in Scotland)

    (⇒ Scotland produces the whisky)

위에서 보듯이 기원·출처를 나타내는 소유격은 주술 관계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 용법 암기보다는 의미를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7) 단위·척도

소유격은 시간, 거리(길이), 가치 등과 함께 쓰여 단위나 척도를 나타냅니다.

① 시간

an hour's speech (한 시간의 여행)

twelve hours' journey (12시간의 여행)


② 거리나 길이

a stone's throw (돌 던지면 닿는 거리, 가까운 거리)

arm's length (팔 길이)


③ 가치

a dollar's worth (1달러 가치)

four pounds' worth (4파운드 가치)


간단하게 생각했던 소유격이지만 의외로 복잡하고 어렵습니다. 그렇다고 대충 공부해서는 안 됩니다. 이해하지 못하고 규칙만 외우는 것은 앵무새가 인간의 말을 흉내내는 것과 별로 다를 것이 없거든요. (^ ^)

 

그럼 이상으로 소유격의 의미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중소유격  (5) 2013.12.26
독립소유격  (0) 2013.12.25
소유격의 형태  (0) 2013.12.23
복수어미 생략  (1) 2013.12.20
상호복수  (0) 2013.12.19

소유격의 형태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소유격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어려운 소유격


영어를 공부하면 할수록 자주 보아왔던 것들이 어렵게 느껴집니다. 관사, 전치사, 자동사... 자주 접하기 때문에 안다고 생각하는 것들이지만 막상 활용하려면 무척 어려운 것들입니다. 오늘 공부할 소유격도 마찬가지입니다. 시험을 위한 규칙을 공부하는 정도라면 소유격은 어려울 것이 없습니다. 그저 외우는 것이 귀찮고 시간이 걸릴 뿐입니다. 그렇지만 단순한 규칙암기가 아니라 소유격이 포함된 문장을 말하고 쓰는 것은 만만치 않게 어렵습니다 소유격의 형태는 단순하지만 다양한 의미와 용법이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소유격에 대하여 자세히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1. 소유격의 형태

2. 소유격의 의미

3. 's 소유격, of 소유격

3. 이중소유격

4. 독립소유격



 소유격의 형태


명사의 소유격을 표현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s를 쓰는 것과 전치사 ’of'를 쓰는 것입니다. 'of 소유격‘은 특별한 것이 없으므로 -'s 소유격만 설명하겠습니다.


소유격은 일반적으로 명사에 ‘s를 붙여서 만듭니다. -s로 끝나는 말은 ’(apostrophe)만 붙여서 소유격을 만듭니다.


(1) 's 소유격

명사에 ‘-s'를 붙여서 만듭니다. 사람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명사에 (apostrophe)를 붙여서 소유격을 만들 수 있습니다.


주의할 것은 's는 사람에만 붙이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명사에는 ‘s를 붙여서 소유격을 만들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것은 3번, 's 소유격·of 소유격에서 설명하겠습니다.


the girl's book (그 소녀의 책)

the children's clothes (아이들의 옷)

the rabbit's ears (그 토끼의 귀들)

today's paper (오늘의 신문)

an hour's service (한 시간의 서비스)

a winter's snow (겨울의 눈)

a dollar's worth (1달러의 가치)


관용적으로 's를 붙일 수도 있습니다.

harm's way (해로움)

ex) Don't get yourself into harm's way.

(스스로 해로움을 자초하지 마라)

 


(2) ‘(apostrophe)만 있는 소유격

‘-s'로 끝나는 말에는 ‘(apostrophe)만 붙여서 소유격을 만듭니다.


① 's'로 끝나는 복수명사

‘s'로 끝나는 복수명사의 소유격을 만들 때는 ‘(apostrophe)만 붙입니다.

a girls' high school (여자 고등학교)

two weeks' holiday (2주간의 휴가)

dogs' fight (개 싸움)

 

② '-s'로 끝나는 고유명사 에는 보통 ‘(apostrophe)만 붙여서 소유격으로 표현합니다. 주로 영어권 밖에서 온 이름들에 이 규칙이 적용됩니다.

Socrates' last words (소크라테스의 마지막 말)

Moses' Ten Commandments (모세의 십계명)


영어권 이름에는 '-s'로 끝난 고유명사는 소유격을 만들 때 s를 쓸 수도 있고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Dickens' novels (디킨즈의 소설들)

Dickens's novels (디킨즈의 소설들)


③ 단어의 발음이 /s/로 끝날 때는 ‘(apostrophe)만 붙입니다.

the prince' wedding (왕자의 결혼)

The mice's greed (생쥐들의 탐욕)



그럼 이상으로 소유격의 형태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립소유격  (0) 2013.12.25
소유격 의미정리  (5) 2013.12.24
복수어미 생략  (1) 2013.12.20
상호복수  (0) 2013.12.19
상시복수 (절대복수)  (1) 2013.12.18

복수어미 생략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복수어미 생략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영어에서는, 셀 수 있는 명사의 복수형에 ‘-(e)s'를 붙이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렇지만 복수형임에도 불구하고 ’-(e)s'를 붙이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1. 하이픈 형용사 복수 생략


하이픈으로 연결된 명사에는 복수형 어미를 붙이지 않습니다. 


예문을 봅시다.


(1) My daughter is four years old.

(2) I have a four-year-old daughter.

 

(1)번과 (2)번에서 명사 year 앞에는 복수를 나타내는 ‘four’가 왔습니다. (1)번에서는 four가 복수이므로 당연히 복수명사 ‘years'를 썼습니다. 문제는 (2)번입니다. 앞에 복수를 나타내는 'four'가 왔지만 ’year'에 복수형 어미 ‘-s'를 붙이지 않았습니다. 왜 그럴까요?

 

그 이유는 ‘하이픈(hyphen)’ 때문입니다. ‘하이픈(-)’으로 연결된 말이 명사 앞에 올 경우에는 그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단수·복수라는 개념은 명사에만 적용되는 것입니다. 형용사에는 단수·복수라는 개념이 없습니다.

 

하이픈으로 연결되어 복수어미를 붙이지 않는 예들입니다.

 

a two-word verb (두 단어 동사)

a three-act play (3막짜리 연극)

a four-year plan (4개년 계획)

a five-step process (5단계 과정)

 


2. 복합명사의 단수


두 개의 명사가 하나의 명사를 이루는 경우는 앞에 명사는 일반적으로 단수형을 씁니다.

a man hunter (O)     a men hunter (X)

an eye opener (O)    an eyes opener (X)

 


3. dozen, score, hundred, thousand, million 등


dozen(12), score(20), hundred(백), thousand(천), million(백만) 등은 자체로 복수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구체적인 수사와 함께 사용되면 이들 단어에는 복수형 어미 ‘-(e)s'를 붙이지 않습니다. 복수의미가 중복되기 때문입니다.

 

(1) 구체적인 숫자 - 복수형 어미 생략

two dozen roses

three score years

four hundred dollar

five thousand e-mails

six million people

 

그렇지만 막연한 수를 나타낼 때는 복수형 어미를 붙일 수 있습니다. 보통 이 경우에는 전치사 'of'와 함께 사용됩니다.


(2) 막연한 수를 나타낼 때

dozens of pencils : 연필 여러 다스

scores of people : 수 십명의 사람들

hundreds of scientists : 수 십명의 과학자들

thousands of mice : 수 천 마리의 쥐들

millions of dollars : 수 백만 달러

 


그럼 이상으로 복수어미 생략에 대한 글을 마치겠습니다.

안녕~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유격 의미정리  (5) 2013.12.24
소유격의 형태  (0) 2013.12.23
상호복수  (0) 2013.12.19
상시복수 (절대복수)  (1) 2013.12.18
분화복수 (2부)  (3) 2013.12.16

상호복수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상호복수(plural of reciprocity)를 공부하겠습니다.



상호복수?


앞에서도 말했듯이 문법은 용어가 어렵습니다. 용어 하나에 많은 내용을 담아내려고 하다보니 한자가 들어가서 어려워지는 것입니다. 언뜻 보면 시대착오적인 것 같아도 정성들여 살펴볼 가치가 있는 것이 문법용어입니다. 문법 학자들이 고심해서 만들어 놓은 것이니까요.


오늘 공부할 상호복수라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영어로는 (plural of reciprocity)라고 하지만 구글 검색에도 나오지 않습니다. 즉, 영어권에서는 거의 안 쓰이는 문법용어라는 말입니다. ‘상호복수’라는 것은 문법적인 개념이라기 보다는 ‘상식적인 활용’이기 때문입니다.


상호복수라는 것은, 조금만 생각하면 당연한 것을 문법항목으로 만들어 놓은 것입니다. 그러므로 상호복수와 그 예를 외우려는 식으로 공부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해를 하고 문장에서 활용하면 그것으로 끝입니다. 사실 문법은 사람들이 ‘단어를 사용하는 규칙’을 정리해 놓은 것에 불과하니까요.

 


그럼 상호복수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상호복수


상호(相互)라는 말은 ‘이쪽과 저쪽 모두’라는 의미입니다. 정의에서 알 수 있듯이 상호복수라는 것은 두 대상이 어떤 것을 교환하거나 관계를 맺을 때 사용합니다.


예를 봅시다.


(1) Where should I change trains?

    (어디서 기차를 갈아타야 하지?)

기차를 갈아타려면 상식적으로 기차 두 대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복수형 ‘trains'를 썼습니다.


(2) I want make friends with her.

    (나는 그녀와 친구가 되고 싶어)

친구가 되려면 두 명의 사람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복수형 ‘friends'를 썼습니다.


(1)번과 (2)번은 상호관계나 상호교환을 나타냅니다. 그리고 이러한 행동을 하려면 두 개의 대상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반드시 두 개의 대상이 필요하기 때문에 복수형을 쓰는 것을 ‘상호복수’라고 합니다.


상호복수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be good terms with ~  (좋은 사이다 ⇒ 둘의 사이이므로 복수형 ‘terms')

change cars   (차를 갈아타다 ⇒ 차가 두 대 필요하므로 복수형 ‘cars')

change seats   (자리를 바꾸다 ⇒ 자리가 두 개 필요하므로 복수형 ‘seats')

change partners   (파트너를 바꾸다 ⇒ 파트너가 두 명 필요하므로 복수형 ‘partners')

make friends with   (친구를 사귀다 ⇒ 두 사람이 필요하므로 복수형 ‘friends')

take turns ~ing   (교대하다 ⇒ 두 사람이 필요하므로 복수형 'turns')

shake hands with   (악수하여 ⇒ 손이 두 개 필요하므로 복수형 ‘hands')


보시면 알겠지만 거창하게 문법 규칙이라고 말할 필요도 없습니댜. 그저 상식적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그럼 이상으로 상호복수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유격의 형태  (0) 2013.12.23
복수어미 생략  (1) 2013.12.20
상시복수 (절대복수)  (1) 2013.12.18
분화복수 (2부)  (3) 2013.12.16
분화복수 (1부)  (1) 2013.12.16

상시복수 (절대복수)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상시복수(절대복수)를 공부하겠습니다.

 


상시복수, 절대복수


상시복수는 절대복수(plurale tantum)이라고도 하며, 복수형만 존재하고 단수형은 없는 명사입니다. 상시복수는 분류에 따라 분화복수와 중복되는 부분이 있지만 두 유형을 엄격히 구별할 필요는 없습니다. 또한 모든 절대복수들을 외우려고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저 큰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식적인 수준에서 이해하면 됩니다.


분화복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분화복수 (1부)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분화복수 (2부)



상시복수(절대복수)에서도 중요한 것은 역시 단수 취급하는가 복수 취급하는가 하는 것입니다. 원칙적으로 복수 취급하는 분화복수와는 달리 상시복수는 그룹에 따라 단수·복수가 달라지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편의상 상시복수(절대복수)를 여섯 그룹으로 나누어 보았습니다.



1.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시복수


(1) 상시복수는 일반적으로 복수 형태를 씁니다.

이 그룹에 속하는 상시복수들은 복수형만 존재하고 단수형이 없습니다. 그래서 절대복수나 상시복수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보면, scissors는 있지만 scissor라는 명사는 없습니다. (scissor는 동사이며 ‘자르다’라는 의미입니다)


다음은 두 개(한 쌍)가 모여 한 개체를 이루는 상시복수들입니다.


binoculars(쌍안경), chopsticks(젓가락), glasses(안경), goggles(고글), pajamas(파자마), pants(바지), scissors(가위), shears(정원가위), shorts(반바지), socks(양말), trousers(바지), tweezers(핀셋) 등


이러한 명사들은 쌍(두 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원칙적으로 복수취급 합니다.


ex) These trousers are too long for me.

(이 바지는 너무 길다/ 나에게)

복수 취급하므로 '복수 지시형용사(these)'와 '복수동사(are)'를 썼습니다.


이 그룹에 속하는 상시복수들의 개수는 짝(쌍)을 나타내는 'pair‘를 써서 표현 합니다. 여러 벌일 때는 pair의 복수형 pairs를 씁니다.

ex) a pair of trousers : 바지 한 벌

     two pairs of trousers: 바자 두 벌


(2) 쌍을 나타내는 상시복수를 단수로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쌍을 나타내는 상시복수들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단수 형태로 사용됩니다.


① 합성어에서는 단수를 쓴다.

쌍으로 이루어진 상시복수들이 합성어를 이루게 되면 복수형 어미 ‘-s'를 쓰지 않습니다. 명사가 합성어를 이룰 때는 단수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trouser presses (바지전용 다리미)

trouser suit (여성의) 바지정장

trouser cuffs (바짓단)

a trouser leg (바짓가랑이)

a trouser hanger (바지 걸이)

 

② 제품이나 한 짝만을 나타낼 경우에는 단수로 쓸 수 있다.

제품

ex) Levi's is marketing a new trouser.

(리바이스가 내놓았다/ 새로운 바지를)


한 짝

 ex) a pant (바지 가랑이)

 


2. '-s'로 끝나는 학과명


'-s'로 끝나는 상시복수 학과명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economics(경제학), electronics(전자공학), ethics(윤리학), linguistics(언어학), mathematics(수학), mechanics(역학), optics(광학), politics(정치학), physics(물리학), statistics(통계학)


이들 상시복수가 ‘학과명’을 나타낼 때는 복수형 어미 ‘-s'로 끝나더라도 단수취급 합니다.

ex) Statistics is the science of learning from data.

(통계학은 과학이다/ 자료로부터 배우는)


그렇지만 statistics가 학과명이 아니라 ‘통계수치’를 나타낼 경우에는 복수취급 합니다.

ex) Statistics show the decline of Korean birth rate.

(통계수치는 보여준다/ 한국 출산율의 감소를)

 


3. 복수형태의 국가명


‘-s'로 끝난 국가명 상시복수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The Netherlands, The philippines, the United Nations, the United States


이들 국가명 상시복수들은 복수형 어미 ‘-s'로 끝나지만 한 나라를 의미하므로 항상 단수 취급합니다.

ex) The Netherlands is a geographically low-lying country.

(네덜란드는 지리적으로 낮게 위치한 국가이다)

 


4. '-s'로 끝나는 게임이름


‘-s'로 끝나는 게임이름 상시복수(절대복수)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billiards(당구), checkers(체스), crickets, darts, dominoes, rock-paper-scissors(가위-바위-보)

 

게임이름 상시복수 역시 일반적으로 단수 취급합니다.

ex) Darts is a very common pastime.

(다트는 아주 흔한 오락이다)


그렇지만 게임이름이 합성어를 이룰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단수 형태를 씁니다.

ex) a dart board (다트 판)

 


5. ‘-s'로 끝나는 질병이름


‘-s'로 끝나는 질병이름 상시복수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blues(우울증), measles(홍역), smallpox(천연두) 등


이들 ‘-s'로 끝나는 질병이름은 항상 단수 취급합니다.

ex) Blues spreads like an epidemic.

(우울증은 퍼진다/ 전염병처럼)

 


6. 순수 상시복수


다음 상시복수들은 단수명사가 존재하지 않는 순수한 복수형태의 말들입니다.

aerobics(에어로빅), belongings(소유물), eaves(처마), necessaries(필수품), news, odds(확률), valuables(귀중품), thanks(감사)


이들 상시복수들은 대개 복수 취급합니다.

ex) The odds are definitely not in my favor.

    (확률은 확실히 내 편이 아니다)


그렇지만 aerobics는 운동이름을 나타내므로 항상 단수 취급합니다.

ex) Aerobics is a good way to stay fit.

(에어로빅은 좋은 방법이다/ 몸매를 유지하는)



지금까지 상시복수(절대복수)에 대하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상시복수를 공부할 때는 문법규칙은 물론 활용까지 잘 알아 두어야 합니다. 어렵게 보이지만 자주 쓰이는 것들이기 때문입니다.

 

그럼 이상으로 상시복수(절대복수)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수어미 생략  (1) 2013.12.20
상호복수  (0) 2013.12.19
분화복수 (2부)  (3) 2013.12.16
분화복수 (1부)  (1) 2013.12.16
to one's 추상명사  (1) 2013.12.13

분화복수 (2)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분화복수에서 주의할 사항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분화복수란 복수명사가 되었을 때 단수형과 의미가 달라지는 명사를 말합니다.

자주 쓰이는 분화복수는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분화복수 (1부)



분화복수는 복수 취급


분화복수는 단수명사에 '-s(es)'를 붙여서 만드는 ‘복수명사’입니다. 그러므로 당연히 ‘복수’취급합니다. 영어에서 복수 취급한다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의미입니다.


1. 주어 자리에 있을 경우 복수 동사로 받는다.

2. many, few로 수식한다.

3. much, little로 수식할 수 없다.


복수명사로 만들었다는 것은 그 명사를 ‘셀 수 있다’는 것입니다. ‘셀 수 있다, 셀 수 없다’는 명사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 부분의 정리가 필요하신 분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예문을 보면서 공부해 봅시다.



1. 분화복수  

주어 자리에 있을 경우 복수 동사로 받는다.


(1) Manners ARE important. (O)

    (예의는 중요하다)

(2) Manners IS important. (X)

일반적으로 분화복수는 복수형이기 때문에 (1)번과 같이 복수 동사로 받습니다. (2)번과 같이 단수 동사를 쓰면 틀린 문장이 됩니다. 


그런데 다음 문장들은 주의해야 합니다.

(3) Where ARE manners? (O)

    (예의는 어디 있니?)

(4) Where IS manners? (?)

(3)번은 문법적으로 올바른 문장입니다. 문제는 (4)번입니다. 엄밀히 말하면 manners가 복수형이므로 단수동사 ‘IS’는 쓸 수 없습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4)번 문장은 (3)번 만큼은 아니지만, 자주 쓰이고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물론 문법적으로는 복수 취급하는 것이 옳습니다.



2. 분화복수  

many, few로 수식한다.


분화복수는 복수형이므로 셀 수 있습니다. 셀 수 있는 명사의 복수형은 many, few로 수식합니다. 'much, little'은 쓸 수 없습니다.


(1) How many clothes are enough? (O)

    (얼마나 옷이 많아야 충분한 거니?)

(2) How much clothes are enough? (X)

(1)번에서 복수형 clothes는 셀 수 있는 명사의 복수형을 수식하는 many와 함께 쓰였습니다. 옳은 문장입니다. (2)번에서는 복수형 앞에 셀 수 없는 명사를 수식하는 much를 썼습니다. 잘못된 문장입니다.


(3) He sold a few goods. (O)

    (그는 몇 가지 물건을 팔았다)

(4) He sold a little goods. (X)

goods역시 복수형이므로 few로 수식해야 합니다. 셀 수 없는 명사를 수식하는 little은 goods를 수식할 수 없습니다.



지금까지 공부한 것을 한 문장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분화복수는 복수 취급한다.


그럼 이상으로 분화복수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호복수  (0) 2013.12.19
상시복수 (절대복수)  (1) 2013.12.18
분화복수 (1부)  (1) 2013.12.16
to one's 추상명사  (1) 2013.12.13
have the 추상명사 to do  (0) 2013.12.13

분화복수 (1부)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분화복수(differentiated plural)에 대해 공부하겠습니다.



분화복수란?


영문법을 공부하다보면 어려운 문법 용어 때문에 질려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 배울 분화복수(分化複數)라는 것도 그러한 용어 중에 하나입니다. 알고 나면 별것 없는데 용어 때문에 아주 어려운 것처럼 느끼지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이름과는 달리 별로 어려울 것도 없으니 쫄지말고 공부해 봅시다.


분화복수를 영어로 하면 'differentiated plural'이라고 합니다. 영어로 해도 어렵기는 마찬가지입니다. 구글을 검색해 봐도 ‘differentiated plural’이라는 용어는 영문법과 관련된 ‘책’에서만 나오고 일상적으로는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다시 말하면, 영어권 네이티브들도 일상적으로는 쓰지 않는 개념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니 용어에 부담갖지 말고 가벼운 마음으로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분화복수의 정의는 사실 간단합니다. 단수명사일 때와 복수명사일 때 의미가 달라지는 복수명사들을 분화복수라고 합니다.


manner를 예로 들어 봅시다.

manner - manners


manner의 경우 단수일 때는 '방법‘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그런데 복수형 ’manners‘가 되면 의미가 달라져서 ’예절‘이 되어버립니다. (예의범절이 없는 것을 보고 ’매너없다‘고 말하는데, 정확한 표현은 ’매너스 없다‘가 되는군요)


이렇게 'manner - manners‘와 같이, 복수형일 때 단수명사와 의미가 달라지는 것을 ’분화복수‘라고 합니다.



분화복수는 문법이라기보다는 관용적인 용법이라고 생각하고 익히는 것이 더 좋습니다.  복수형이 단수형과 완전히 다른 의미를 갖기 때문입니다. 다음은 영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분화복수들을 정리한 것입니다.  



자주 쓰이는 분화복수들  


 단수

 분화복수

 단수

 분화복수

 advice : 충고

 advices : 통지

 measure :  양

 measures : 도량법

 air : 공기

 airs : 잘난척하는 태도

 number : 숫자

 numbers : 시구(詩句)

 arm : 팔

 arms : 무기

 pain : 고통

 pains : 노력, 수고

 ash : 재

 ashes : 잿더미, 유골

 paper : 종이

 papers : 논문, 서류

 authority : 권위, 권한

 authorities : 당국

 people : 사람들

 peoples : 민족

 cloth : 천 (옷감)

 clothes : 옷

 premise : 전제

 premises : 부지, 구내

 content : 만족, 내용

 contents : 내용물, 목차

 provision : 준비

 provisions : 식량

 color : 색깔

 colors : 깃발, 기

 quarter : 1/4

 quarters : 숙소

 custom : 관습

 customs : 세관, 세관원

 regard : 관심, 존경

 regards : 안부

 damage : 피해

 damages : 피해액, 배상금

 remain : 나머지

 remains : 유해, 유적

 effect : 효과

 effects : 물건, 물품

 return : 돌아옴, 귀환

 returns : 수익

 force : 힘

 forces : 군대, 군사력

 sand : 모래

 sands : 사막

 good : 피해

 goods : 상품

 saving : 절약

 savings : 저축

 glass : 유리

 glasses : 안경

 spectacle : 광경

 spectacles : 안경

 letter : 문자

 letters : 알파벳, 문서, 문학

 spirit : 정신

 spirits : 주류(증류주)

 look : 눈길, 표정

 looks : 외모

 time : 시간

  times : 시대

 manner : 방법

 manners : 예의

 water : 물

 waters : 바다, 강

 mean : 평균

 means : 수단, 재산

 work : 일

 works : 작품



분화복수 1부에서는, 분화복수의 정의와 그 예들을 살펴보았습니다. 2부에서는 분화복수에서 주의할 사항을 설명하겠습니다. 


그럼 안녕히...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시복수 (절대복수)  (1) 2013.12.18
분화복수 (2부)  (3) 2013.12.16
to one's 추상명사  (1) 2013.12.13
have the 추상명사 to do  (0) 2013.12.13
추상명사의 보통명사화  (0) 2013.12.11

to one's 추상명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to one's 추상명사‘를 공부하겠습니다.

 


to ones' 추상명사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우리들은, 영어를 말하거나 쓸 때, 길게 풀어 놓는 경향이 있습니다. 한국어로 할 말을 먼저 생각해 놓고 그것을 영어로 ‘번역’하는 습관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또한 소수의 영어 패턴만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말이나 글이 단조로워 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중급(영어 활용단계)이상의 영어 실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표현의 간결함과 다양성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가능하면 번역하지 말고 영어를 바로 말하거나 써야하고, 길게 푸는 대신 간결하고 압축적으로 영어를 활용하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오늘 공부할 'to one's 추상명사‘는, 표현의 간결함과 다양성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다 잡을 수 있는 훌륭한 구문입니다.

 

먼저 'to one's 추상명사’에 대하여 간단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to one's (감정)추상명사 : ~하게도

                                (주어의 감정을 표현한다)

 

'to one‘s 추상명사’는 주어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으로 우리말로는 ‘~하게도’가 됩니다. 그리고 ‘one's는 인칭대명사의 소유격입니다.


예문을 봅시다.

 

(1) To my surprise, I won the lottery.

    (놀랍게도, 나는 로또에 당첨되었다)

 = I was surprised to win the lottery.


(2) To his relief, the car was not damaged.

    (다행스럽게도, 그의 차는 손상되지 않았다)

 = He was relieved because the car was not damaged.


(1),(2)에서 보듯이 ‘to one's 추상명사’ 표현은 어떤 사실을 발견하고서 느끼는 주어의 감정을 표현합니다. 물론 예문에서 보는 것처럼 ‘to 부정사’와 ‘접속사’를 이용하여 같은 의미를 지닌 문장으로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렇게 하면 ‘to one's 추상명사’ 구문이 주는 간결함과 품격(?)은 없어지고 맙니다.

 


to one's  추상명사 구문


다음은 흔히 사용되는 to one's 추상명사 구문입니다. 문법이라기보다는 많이 사용하는 표현이라고 생각하시고 자주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to one's 추상명사

 의미

 to one's anger  

 (화나게도)

 to one's amazement

 (놀랍게도)

 to one's annoyance

 (화나게도)

 to one's astonishment

 (놀랍게도)

 to one's chagrin

 (수치스럽게도)

 to one's cost 

 (괴롭게도)

 to one's delight

 (즐겁게도)

 to one's disappointed

 (실망스럽게도)

 to one's dismay

 (경악스럽게도)

 to one's distress

 (괴롭게도)

 to one's disbelief

 (믿기 어렵게도)

 to one's embarrassment

 (당혹스럽게도)

 to one's grief

 (비통하게도)

 to one's happiness

 (행복하게도)

 to one's horror

 (두렵게도)

 to one's joy

 (기쁘게도)

 to one's regret

 (후회스럽게도)

 to one's relief

 (다행스럽게도)

 to one's satisfaction

 (만족스럽게도)

 to one's shame

 (부끄럽게도)

 to one's shock

 (충격적이게도)

 to one's sorrow

 (슬프게도)

 to one's surprise

 (놀랍게도)


 


그럼 이상으로 'to one's 추상명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화복수 (2부)  (3) 2013.12.16
분화복수 (1부)  (1) 2013.12.16
have the 추상명사 to do  (0) 2013.12.13
추상명사의 보통명사화  (0) 2013.12.11
no, none 용법정리  (0) 2013.12.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