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cause, for, since, as 구별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사들을 보겠습니다.



의미정리


영어에서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사들은 'because(for), since, as'등이 있습니다. 이들 단어들은 모두 ‘~이기 때문에’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그렇지만 철자가 다르듯이, 비슷한 것 같지만 다른 의미와 용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먼저 간단하게 이들의 의미를 정리해보겠습니다.


1. because : 왜냐하면, ~ 때문에 (원인·이유를 나타내는 가장 강한 단어)

2. since : ~ 때문에, ~ 이므로 (상대가 알만한 뻔한 원인·이유)

3. as : ~이므로, ~ 때문에 (부수적·우연적인 원인이나 이유)

4. for : because와 같은 의미 (문어적 표현)


정리는 해 보았지만 의미가 명확하게 이해되지는 않습니다. 그저 개략적일 뿐이지요.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원인·이유’의 강도에 따라 도식화 해 보았습니다 .


because(=for) > since > as


도식에서 보듯이, because가 가장 강한직접적인 이유를 나타내고, as는 간접적이이고 부수적인 이유를 나타냅니다.


각 단어별로 자세히 살펴 보겠습니다.


 

1. because


because  왜냐하면, ~ 때문에 (직접적인 이유)


because는 이유·원인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접속사로서 문장 첫머리나 중간에 올 수 있습니다. because가 이끄는 절은 ‘직접적인 원인’을 나타내며 보통, 청자나 독자가 알지 못하는 새로운 정보를 제공합니다.


(1) I did it because she told me to.

    (=Because she told me to I did it.)

     (나는 그렇게 했다/ 왜냐하면 그녀가 그렇게 하라고 했기 때문에)


(1)번에서 보듯이 because가 이끄는 절은 주절의 앞뒤에 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예문에서 보듯이 ‘그렇게 하게 된 직접적인 원인’을 나타냅니다.


(2) He couldn't go to the work because he was ill.

    (그는 출근을 못했다/ 아팠기 때문에)

(2)번 역시 because가 이끄는 절은 출근하지 못한 ‘직접적인 원인’을 나타냅니다.


‘원인’을 특별히 강조하고 싶을 때는 because 절을 문미에 위치시킬 수 있습니다.

(3) I quit because I hate you.

    (내가 그만두는 것은 당신이 싫어서야)


because를 사용할 때 주의할 것은 두 가지입니다.

첫째, because는 직접적인 이유나 원인을 나타낸다.

둘째, because절은 문두에 올 수 있다.

 


2. for


for  왜냐하면, ~ 때문에 (직접적인 이유)


for는 종속접속사인 because와 달리 ‘등위접속사’입니다. 등위접속사 for는 because와 의미가 같지만 ‘문어체’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그리고 for가 이끄는 절은 문장 첫머리에 올 수 없으며 반드시 주절 뒤, 문장 끝에 위치해야 합니다. 또한 for는 등위접속사이므로 그 앞에 ‘,’를 써 주어야 합니다.


(1) We believed him, for he would never lied to us.

    (우리는 그를 믿었다, 왜냐하면 그는 결코 우리에게 거짓말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for절이 문장 뒤에 끝에 왔고 ‘,’아 함께 사용한다는 것에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또한, for 절은, because와 같은 의미를 지니지만 생략해도 의미전달에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for는 because와 의미가 중복되기 때문에 점차 사용이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3. since


since  ~ 때문에, ~ 이므로 (상대가 알만한 뻔한 이유)


since가 이끄는 이유·원인 절은 문장에서 핵심이 아닙니다. 상대방도 방도 뻔히 아는 이유이므로 이유는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since절은 이렇게 ‘별로 중요하지 않은 이유’를 나타내면 보통 문장 첫머리에 옵니다. (물론 since가 문장 끝에 올 수도 있습니다)


(1) Since it's raining outside, we should stay home.

    (비가 오기 때문에, 우리는 집에 있어야 한다)


(2) Since our home is near highway, the noise is terrible.

    (우리 집이 고속도로 근처이기 때문에, 소음이 끔찍하다)


(1)번과 (2)번에서 보듯이 since는 ‘because’로 바꾸어 쓸 수도 있습니다. 사실 명확성을 위해서는 애매한 since보다는 because를 쓰는 것이 더 좋습니다. 의미가 분명하니까요. 그렇지만 이 부분은 엄격한 문법이라기보다는, 발음이나 스타일과 관계된 개인적인 취향에 더 가깝습니다. (because는 어쨌든 뜻이 너무 강하니까요)

 


4. as


as  ~ 때문에, ~이므로 (이유나 원인의 의미가 가장 약함)


as는 이유·원인을 나타내는 단어들 중에서 의미가 가장 약합니다. 주로, 상대방도 이미 알고 있는, 부수적이고 우연적인 이유를 나타냅니다. as는 since와 별 의미차이가 없습니다.


그리고 as란 단어 자체가 워낙 뜻이 많기 때문에 as를 잘못 쓰면 상당히 의미가 불명확한 문장이 되어버리고 맙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유를 나타낼 경우에는, 관용적이거나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as를 쓰지 않는 것이 더 낫습니다.


(1) As it was getting dark, we should go home.

    (= Since it was getting dark, we should go home)

    (어두워지고 있어서, 우리는 집에 가야한다)


(2) As it was raining outside, we can't get out.

    (= Since it was raining outside, we can't get out)

    (밖에 비가 오고 있어서, 우리는 나갈 수가 없다)


예문을 보면 알겠지만 as가 이끄는 이유절을 생략해도 주절의 내용에는 별 영향이 없습니다. 즉, 별로 중요하지 않은 정보가 담겨있다는 말이지요. 이렇게 as가 이끄는 절은 직접적인 원인보다는 별로 중요하지 않은, 부수적인 이유를 나타냅니다. 이 경우 as는 예문에서 보듯이 since와 바꾸어 쓸 수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사들을 공부해 보았습니다. 그 말이 그 말 같아서 무척 혼동되실 겁니다. 그렇지만 그렇게 고민할 필요는 없습니다. 웬만하면 because나 since를 쓰면 되니까요.

 

그럼 이상으로 because, for, since, as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접의문문  (32) 2013.12.05
부가의문문 (1부)  (9) 2013.12.02
접속사 (when, while, as 구별)  (10) 2013.11.26
ever 용법 (1부)  (2) 2013.11.26
전치사 + 관계대명사  (22) 2013.11.22

티스토리 초대장 배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초대장 배포합니다.




초대장 배포합니다.


티스토리를 운영하다보니 초대장 배포도 큰 일이군요. (^ ^)

초대장 구하려고 전전긍긍 했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요. ㅎ

 

 

 

아무튼, 티스토리 초대장을 배포합니다.

초대장은 15매입니다.

 

초대장이 필요하신 분은 다음 사항을 간략하게, 비밀 댓글로 달아 주시길 바랍니다.

 

1. 살아있는 이메일 주소

2. 초대장이 필요한 이유



초대장을 보내 드린분께는 답글을 달겠습니다.

접속사 (when, while, as 구별)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when, while, as를 보겠습니다.



when, while, as


when, while, as는 모두 시간을 나타내는 접속사들로서 ‘~할 때’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의미가 살짝(?) 다릅니다. 영어를 읽기만 하는 초급 단계라면 크게 문제될 것이 없지만, 말하고 쓰는 중·고급 단계가 되면 아주 까다로운 것이 when·while·as입니다.


이 세 단어들에 관련된 주된 문제는 과연 이것들을 서로 바꾸어 쓸 수 있는가 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정확하게 답할 수 있는 사람은 아마 없다고 생각합니다. 설명을 하고 있는 저도 100% 알지는 못합니다. 단지 10개가 넘는 사전을 뒤져서 비교한 후에 정리한 것일 뿐입니다.


여기서 다룰 내용은 영어 native 들도 헷갈려 하는 것들입니다. 무조건 외우려고 하지 말고 의미를 정확하게 정의한 다음 예문을 통해 익히길 바랍니다. 그럼 시간을 나타내는 when, while, as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1. when : ~할 때 (한 점에서 발생하는 동작이나 사건)

2. while : ~하는 동안에 (동시에 발생하는 서로 다른 동작이나 사건)

3. as : ~하는 동안에 (긴 시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동작이나 사건)


중요한 포인트는 시간의 지속(duration)성 여부입니다. 시간의 지속성을 기준으로 설명해 보면 when은 순간적인 점, while은 when보다는 길고 as보다는 작거나 같은 시간을 나타냅니다. 시간의 길이를 기준으로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when 〈 while ≦ as



예문을 보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1. when


when : ~할 때

         (한 순간을 나타낸다. 지속성의 의미가 없다)

when은 시간의 흐름 상 어느 한 점을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지속적으로 계속되는 사건과는 쓸 수가 없습니다.


(1) I was reading a book when he called.

    (나는 책을 읽고 있었다/ 그가 전화했을 때)


(1)번에서 when은 while이나 as로 바꿀 수 없습니다. ‘전화를 했을 때’라는 것은 지속성의 의미가 없는 ‘한 순간’의 동작이기 때문입니다.

 

예문을 조금 더 봅시다.

 

(2) When he was 40, he became silent.

    (그가 마흔이 되었을 때, 그는 조용해 졌다)

    (마흔살이 된 순간의 변화를 말하고 있습니다)


(3) As he was 40, he became silent.

    (그가 마흔이 되면서, 그는 조용해 졌다)

    (마흔살이 되기전부터 마흔살이 되기까지 지속적인 변화를 말하고 있습니다)


(2)번과 (3)번에서 보듯이 when과 as를 바꾸어 버리면 의미가 달라집니다. (2)번은 ‘마흔살’이라는 나이만을 기준으로 한 것입니다. 이에 대하여 (3)번은 마흔이 되기전부터 마흔까지의 지속적인 시간을 나타냅니다.


위에서 보았듯이 when은 지속적이지 않은 순간의 사건이나 동작을 포현합니다.

 


2. while


while : ~하는 동안에

         (별개의 두 사건이 동시에 발생)


앞에서 정리했듯이 while은 ‘서로 관련없는 두 개의 사건이 동시에 발생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1) Mom cooked while I was sleeping.

    (엄마는 요리했다/ 내가 자는 동안에)


(1)번에서는 ‘엄마가 요리했다’라는 동작과 ‘내가 자고 있었다’라는 동작이 동시에 발생했습니다. 이 경우에는 while 대신에 when을 쓸 수 있습니다. 특별히 지속성이 없는 동작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while을 as로 바꿀 수는 없습니다. as는 ‘두 사건이 서로 관련이 있을 경우’에 사용해야 합니다.


(2) She was beautiful while the love lasted.

    (그녀는 아름다웠다/ 사랑이 지속되는 동안)


(2)번에서 while은 ‘순간을 나타내는 when’으로 바꿀 수 없습니다. 밑줄 친 while이하의 문장이 지속성의 의미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지속적인 사건이므로 while을 as로 바꾸어 쓸수는 있습니다. (소리내서 발음해 보았을 때 while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정리해 보면 while은 두 개의 사건이나 동작이 지속적이면서도 별개로 발생했을 때 사용합니다.



3. as


as : ~하는 동안에, ~하면서

     서로 관련된 사건이 동시에 발생하거나 긴 시간에 걸쳐 발생.


as는 의미가 아주 많지만 여기서는 ‘시간’에만 초점을 맞추겠습니다. as는 while과 같은 의미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as는 주로, while보다 훨씬 긴 시간에 걸친 사건이나 동작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그리고 as로 연결되는 동작은 while에서와는 달리, 서로 관련이 있습니다.


(1) She sat admiring her as he was cooking.

    (그녀는 앉아서 감탄하고 있었다/ 그가 요리하는 동안에)


여기서 ‘그녀가 감탄하는 것’은 ‘그가 요리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요리하는 모습을 보고 감탄하고 있으니까요. 이렇게 두 개의 사건이 연관이 있을 경우 as를 씁니다. (물론 while과 when으로 바꾸어 써도 크게 의미차이가 나지는 않습니다)


(2) As time goes by, I love you more.

    (시간이 갈수록, 나는 너를 더 사랑한다)

 

이 문장에서는 as만 써야하며, when·while로 바꾸어 쓸 수 없습니다. 이렇게 긴 시간에 걸쳐서 발생하는 사건이나 동작은 as를 써서 나타냅니다.

 


정리


지금까지 시간을 나타내는 when, while, as를 자세하게 살펴 보았습니다. 서로 겹치는 부분 때문에 상당히 혼동이 될 겁니다. 그렇지만 너무 세부적인 차이에 집착하지 마시고 다음과 같은 정도로 정리해 두시면 충분합니다.


1. when : 한 순간에 발생한 사건이나 동작

2. while : 동시에 발생한 서로 다른 두 사건이나 동작

3. as : 긴 시간에 걸쳐서 발생하는 사건이나 동작


이렇게 정리하면 사용하는데 특별한 문제는 없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when, while, as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가의문문 (1부)  (9) 2013.12.02
because, for, since, as 구별  (7) 2013.11.27
ever 용법 (1부)  (2) 2013.11.26
전치사 + 관계대명사  (22) 2013.11.22
이중부정 (double negation)  (5) 2013.11.19

ever 용법 (1부)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ever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ever는 자주 보는 흔한 말이지만 정확하게 알고 있는 분들이 별로 없습니다. 원래 기본단어의 의미가 문맥에 따라 바뀌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더욱이 현재완료에서 ‘경험’을 나타낸다고 외우는 바람에 다른 의미라고는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 물론 ever는 ‘경험’을 나타내서 '한 적이 있다‘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그렇지만 이것은 ’ever'가 쓰인 문장 속에서 추론할 수 있는 의미일 뿐입니다.


ever는 부사로서 ‘언제나(at any time)'라는 기본적인 의미를 가집니다. 그리고 의문문, 부정문, 비교급, if절 등에서 사용됩니다.


각 쓰임별로 ever의 뜻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ever 의미

기본적으로는 ‘언제나’라는 의미에서,  

1. 의문문에서 : 지금까지

2. 부정문에서 : 전혀 ~않다

3. 비교급, 최상급에서 : 이제까지

4. if절에서 : 언젠가

5. 관용표현 : as ever, Did you ever ~?, ever after, ever again, ever since 등


보시는 대로 ever는 의미가 문맥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렇게 많은 의미를 암기하려고 해서는 안 됩니다. 기본의미 ‘언제나‘만 기억해 두고 파생의미들은 예문을 통해서 익혀야 합니다. 




그럼 각 항목별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ever 용법 정리

기본 의미는 ‘언제나(at any time)'



1. 의문문에서 ever


의문문에서 ever : 지금까지 (~한 적이 있다)

(1) Have you ever seen a ghost?

    (유령을 본 적이 있습니까?)


(2) Did you ever see him while you are in Seoul?

    (그를 만난 적이 있습니까/ 서울에 있는 동안?)


(3) Do you ever call your parents?

   (부모님께 전화 드릴 때는 있니?)


(1)번에서 ever는 현재완료와 함께 쓰입니다. 직역하면 ‘지금까지 유령을 본 적이 있습니까?’라는 의미입니다. 이 문장이 가진 경험의 의미를 살린 것이 ‘유령을 본 적이 있습니까?’입니다. 우리가 현재완료의 경험이라고 해석하는 문장이죠.


(2)번은 ever가 과거형에 쓰였습니다. 직역하면 원래 의미는, ‘지금까지 그를 만났습니까’가 됩니다. 이것을 조금 더 자연스럽게 옮긴 것이 ‘그를 만났던 적이 있습니까?’입니다.


(3)번은 ever가 현재형에 쓰였습니다. 직역하면 ‘언젠가 전화는 드리니?’라는 말입니다. 역시 이해하기 쉽게 의역한 것이 ‘전화 드릴 때는 있니’입니다.


위에서 보았듯이 ‘~한 적이 있다’는 것은 ‘언젠가’라는 ever의 원래 의미를 문맥에 맞춰서 의역한 것일 뿐입니다. 이러한 의역은 어떻게 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영어와 우리말이 다른 이상 100% 완벽한 번역이란 것은 있을 수 없기 때문이죠. 번역과 의역의 괴리는 어려운 단어보다는 기본단어에서 더 심해집니다. 이러한 이유로 단어의 의역을 모두 외우려는 것은 부질 없는 짓입니다.

 


‘기본 의미를 외우고 예문을 통해서 공부한다’가 정답입니다.

 


2. 부정문에서 ever


부정문에서 ever : 전혀 ~않다

ever는 부정어와 함께 쓰일 수 있습니다.

(1) I don't ever want to do it again.

    (= I never want to do it again)

    (나는 결코 그 일을 다시 하고 싶지 않아)


(2) Nobody ever calls me.

    (≠ Anybody never calls me)

    (누구도 내게 전화하지 않는다)


(3) He hardly talks to his parents.

    (그는 거의 이야기하지 않는다/ 그의 부모님들에게)


(4) I'll stop my son ever doing the game.

    (나는 내 아들이 절대 그 게임을 못하게 막을 거야)


(1)∼(4)에서 보듯이 ever는 부정어 함께 쓰여서 ‘결코 ~하지 않는다’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각 번호별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번에서 ever는 부정어 not과 함께 사용되었습니다. ‘not ~ ever'는 'never'와 의미가 같습니다. 그리고 특별한 이유가 없으면 'not ~ ever'보다는 ’ever'를 쓰는 것이 더 좋습니다. 의미가 같은 간결한 표현을 놔두고 다른 것을 쓸 이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not ~ ever'도 문법적으로는 전혀 하자가 없습니다.


(2)번에서 ever는 부정대명사와 함께 쓰였습니다. ‘부정대명사 ~ ever'역시 (1)번과 같이 ’결코 ~않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그렇지만 주의할 것은, ever가 부정대명사와 함께 사용될 경우에는 never를 사용한 문장으로 고치면 어색해 진다는 것입니다. 즉, 'Anybody never calls me'는 문법적로는 틀린 부분이 없는 것 같지만, 쓰이지 않는 문장입니다.


(3)번은 부정의 의미를 가진 부사 hardly가 ever와 함께 쓰였습니다. ever가 부정부사들'hardly, scarcely, without' 등과 같이 쓰일 경우에는 다음에 ‘never'를 쓸 수 없습니다. 이중부정이 허용되지 않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4)번은 동사 stop과 함께 쓰였습니다. stop은 ‘~을 막다’라는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stop ~ ever' 역시 ’절대 ~을 못하게 하다‘라는 부정적인 의미를 가집니다. 이 경우에도 ever를 never로 바꿀 수 없습니다.


정리하면, 부정문에서 ‘결코 ~하지 않을’이라는 의미를 가진 ‘부정어 + ever'는, not ever를 ‘never’로 바꾸는 것을 제외하고는, ever를 그대로 써주어야 합니다. 부정어와 함께 쓰이는 ever의 고유용법이라고 알아 두셔도 될 것 같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ever 용법 정리 1부를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cause, for, since, as 구별  (7) 2013.11.27
접속사 (when, while, as 구별)  (10) 2013.11.26
전치사 + 관계대명사  (22) 2013.11.22
이중부정 (double negation)  (5) 2013.11.19
접속사 as, than  (4) 2013.11.17

beat, win, defeat 의미 차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beat, win, defeat를 공부해 보겠습니다.


 

beat와 win은 둘 다 ‘이기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용법이 다릅니다. 두 단어의 의미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1. win : (vt). 이기다, 획득하다.

2. beat : (vt). 상대를 꺾다.

 


1. win


(1) 경쟁이나 논쟁에서 이기다.

wine 다음에 게임, 경주, 경기, 논쟁, 선거, 전투 등의 단어가 와서 ‘(승부에) 이기다’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① I won at cards.

    (나는 이겼다/ 카드게임에서)

② Democratic Party win the next election.

    (민주당이 이길 것이다/ 다음 선거에서)

③ He won the marathon race easily.

    (그는 우승했다/ 마라톤 경주에서 쉽게)

④ She likes to win an argument.

    (그녀는 좋아한다/ 논쟁에서 이기는 것을)


위의 내용을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2) (사람이나 사물을) 얻다

win은 ‘노력을 통해서 사람이나 사물을 얻다’라는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우리말로 옮기면 ‘이겨서 따다’ 쯤 됩니다. 그렇지만 win 다음에 사람이 왔을 때는 ‘어떤 사람의 마음을 얻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사람을 판돈처럼 딸 수는 없으니까요.


다음은 win이 ‘얻다, 획득하다, 따다’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예문들입니다. 이 경우의 win의 기본 의미는 ‘get(얻다)’입니다.


① He won a gold medal at Olympics.

    (그는 금메달을 땄다/ 올림픽에서)

② She won the first prize.

    (그녀는 받았다/ 일등상을)

③ I won Lotto.

    (나는 로또를 탔다)

④ He tried to win my support.

    (그는 얻으려고 노력했다/ 나의 지지를)


win 다음에 사람이 올 경우에는 ‘그 사람의 마음을 얻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⑤ I won her.

   (= I won her heart)

    (나는 얻었다/ 그녀의 마음을)



2. beat


beat: (상대방을) 꺾다

beat를 ‘이기다’라고 알고 있으면 win과 혼동하기 쉽습니다. beat는 다음에 ‘상대방’이 와서 ‘그 상대방을 꺾다’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① I beat him at cards.

    (나는 그를 이겼다/ 카드에서)

② Democratic part will beat Conservative Party.

    (민주당이 이길 것이다/ 보수당을)

③ He beat his rival in the marathon race.

    (그는 꺾었다/ 그의 라이벌을/ 마라톤 경주에서)

④ She tries to beat me at the argument.

    (그녀는 나를 이기려 했다/ 그 논쟁에서)


①~④에서 보듯이, beat 다음에는 상대방이 옵니다. 다음과 같은 문장은 잘못된 것입니다.

⑤ I beat the game. (X)

    (나는 꺾었다/ 게임을(?))


beat 다음에 'game'을 쓸 경우, ‘게임을 꺾다’라는 이상한 말이 되어 버립니다. 게임은 상대가 될 수 없으니까요. ⑤번 문장을 ‘나는 그 게임에서 이겼다’라고 해석하면 안 됩니다. beat 다음에는 반드시 상대방이 와야 합니다.



3. beat, defeat


beat가 ‘상대를 꺾다’라는 의미를 가질 경우는 'defeat(패배시키다)'와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두 단어는 별 의미차이 없이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차이가 있다면 단지 beat는 격식을 갖추지 않은 일상적인 상황에 쓰이고 심각하고 격식을 갖춘 상황에서는 defeat를 쓴다는 정도입니다. 둘 중에 고민이 되면 defeat를 쓰면 됩니다. 격식을 갖춘 말을 한다고 해서 나무랄 사람은 없으니까요. 단지 조금 ‘고지식하고, 잘난척한다’라는 인상을 줄 수는 있습니다.


① Our team defeated the opponent. (defeat = beat)

    (우리 팀이 패배시켰다/ 상대팀을)

② Our enemy defeated the enemy. (defeat ≠ beat)

    (우리 군대가 패배시켰다/ 적을)


①번같이 일상적인 상황에서라면 defeat는 beat와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②번은 전쟁이라는 심각한 상황에서 beat를 쓰면 너무 가벼운 느낌을 줍니다. ②번에서는 defeat를 써야 합니다.


※ 참고

beat, defeat에는 재미있는 표현이 있습니다. 예문을 봅시다.

① The math question defeated me.

  (= The math question beat me)

    (나는 그 수학 문제를 못 풀었다)


①번을 직역하면 ‘그 수학 문제가 나를 패배시켰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말을 약간 바꾸어, ‘내가 그 수학 문제를 이길 수 없었다’로 고쳐봅시다. 이 말의 의미는 결국 ‘내가 그 수학문제를 풀 수 없었다’가 됩니다.


재미있는 표현이니 자주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이상으로 beat, win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단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단어의 기원 (lustrum)  (0) 2013.11.30
all, whole, every 정리  (3) 2013.11.29
above, over 의미 차이  (5) 2013.11.22
very, too 의미 차이  (0) 2013.11.21
percent, percentage 용법 정리  (10) 2013.11.20

영어 격언 (거짓말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거짓말에 대한 영어 격언들을 보겠습니다.



우리들은 거짓말의 안개 속에서 진실을 찾으려하고 있습니다. 아니, 거짓말의 안개로 진실을 감춘다고나 할까요? 다이아몬드가 가치있는 것은 그 희귀성 때문입니다. 진실이 가치있는 것도 희귀성 때문이겠죠. 살짝 슬퍼지지만 현실을 보면 그렇게 인정하지 않을 수 없군요.



다음은 거짓말과 관련된 영어격언들입니다.



about lies


1. A liar needs a good memory.

해석: 거짓말쟁이는 기억력이 좋아야 한다.

해설: 문어발 데이트를 한다고 생각해 보세요. 들키지 않으려면 비상한 기억력을 가져야 합니다. 거짓말도 마찬가지입니다.



2. “Lies require commitment.”

해석: 거짓말은 헌신을 요구한다.

해설: 거짓말에는 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말입니다. 창의력과 뻔뻔한 연기, 그리고 타이밍. 훌륭한(?) 거짓말은 가히 예술작품 창조와 맞먹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3. If you tell the truth, you don't have to remember anything.

-Mark Twain-

해석: 만약 진실을 말한다면, 어느 것도 기억할 필요가 없다.

해설: 거짓말은 부풀리거나 사실을 조작하기 마련입니다. 그러다 보니 당연히 현실과 어긋나게 됩니다. 사실이라는 땅 속에 거짓말이라는 지뢰가 매장되어 있는 것이죠. 지뢰를 밟지 않으려면 그 위치를 잘 기억해야 합니다. 즉, 어떤 거짓말을 했는지 알고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만 진실만을 말한다면, 지뢰에 신경 쓸 일이 없습니다. 그냥 걸어가면 되니까요.



4. “I'm not upset that you lied to me, I'm upset that from now on I can't believe you.”

― Friedrich Nietzsche

해석: 나는 당신이 나에게 거짓말해서 화난 것이 아니라네.

내가 화난 것은, 이제부터 자네를 믿을 수 없기 때문이네.

해설: 거짓말의 부작용입니다. 사소한 거짓말이라도 한 번 들켜 버리면 신뢰를 잃을 수밖에 없습니다.

 


5. “I lie to myself all the time. But I never believe me.”

― S.E. Hinton, The Outsiders

해석: 나 자신에게 항상 거짓말을 하다보니, 나도 못 믿게 되었어.

해설: 남이 자신을 못 믿는 것은 그나마 나은데, 자신이 자신을 못 믿게 되면 심각합니다. 거짓말의 해악이 정신분열증 수준입니다.



6. “There are three types of lies -- lies, damn lies, and statistics.”

― Benjamin Disraeli

해석: 세 가지 유형의 거짓말이 있다 -- 거짓말, 빌어먹을 거짓말, 그리고 통계‘

해설: 통계는 새빨간 거짓말이라는 의미입니다. ‘빌어먹을 거짓말’ 다음에 세 번째이자 마지막에 오는 것을 보니 통계가, 거짓말 중에서도 악질 거짓말이라는 의미입니다. 아이들이나 머리 나쁜 어른들이 자주하는 우발적인 거짓말은 사실 큰 해악을 끼치지는 않습니다. 어떤 이익을 취하려하기 보다는 상황을 모면하기 위한 순간적 현실도피니까요.

그렇지만 통계, 특히 사기성 통계는 죄질이 나쁩니다. 수학적 정확성을 앞에 네세우고 노골적으로 속이려 하니까요.



7. One lie makes many.

해석: 하나의 거짓말이 여러 개를 낳는다.

해설: 거짓말 하나를 감추려고 하다가 자꾸자꾸 거짓말을 하게 된다는 말입니다.

 


8. “When truth is replaced by silence, the silence is a lie.”

― Yevgeny Yevtushenko

해석: 진실이 침묵으로 대체된다면, 그 침묵은 거짓말이 되어 버린다.

해설: 진실을 말해야할 상황에서 침묵해 버리면 그것은 거짓말과 같다. 진실을 알고도 말하지 않으면 거짓말을 하는 것과 같다는 말입니다.



9. “If you tell a big enough lie and tell it frequently enough, it will be believed.”

― Adolf Hitler

해석: 충분히 큰 거짓말을 여러 번 한다면, 그것은 통한다.

해설: 히틀러는 요즘에 광고대행업자를 해도 크게 성공했을 겁니다. 대부분의 광고는 ‘커다란 거짓말을 여러 번 반복하는 것’입니다. 그 결과, 사람들은 그 광고를 믿고 그 물건을 구매하게 됩니다. 히틀러가 광고계에 투신했으면 2차 대전은 없었을까요?



10. “Ask me no questions, and I'll tell you no lies.”

― Oliver Goldsmith

해석: 나에게 질문을 하지 마라, 그러면 거짓말도 없을 것이다.

해설: 정확한 답은 없다는 말입니다. 사람이 하는 모두 거짓이라는 뉘앙스군요. 어쩐지 이분, 선생님이나 연인으로부터 거짓말 때문에 심각한 정신적 트라우마를 받은 모양입니다.



11. Humans need fantasies to make life bearable."

― Terry Pratchett, Hogfather

해석: 인간들은 살아가기 위해서 환상이 필요하다.

해설: 현실이 너무 힘들어서 환상(거짓)으로 가려야 된다는 말입니다.



12. I have a higher and grander standard of principle than George Washington. He could not lie; I can, but I won't.”

― Mark Twain

해석: 나는 George Washington보다 더 숭고하고 고상한 원칙을 가지고 있다. 그는 거짓말을 할 수 없었다; 나는 할 수 있지만 안 한다.

해설: 미국 초대 대통령 George Washington은 고집불통이었지만 거짓말만은 하지 않는 고결한 인품을 가졌다고 합니다. 그런데 우리의 Twain 선생은 자신이 Washington보다 더 고상한 인품을 가졌다고 주장하는데, 그 근거가 ‘자신이 거짓말을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풍자의 대가 Twain 선생의 말은 이런 뜻입니다. Washington이 거짓말을 안하는 것도 훌륭한 일이지만, 그것은 그가 ‘거짓말을 할 수 없는 성격을 가졌기’ 때문이라서 그리 대단한 것아니다. ‘거짓말을 할 수 있는 자신이 거짓말을 안 하는것’이 정말 대단한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만큼 거짓말을 안하기가 힘들다는 말이죠.



13. Lies and secrets are like a cancer in the soul.

― Cassandra Clare, Clockwork Prince

해석: 거짓말과 비밀은 영혼의 암과 같다.

해설: 거짓말을 하고 비밀을 가지면 가질수록, 암이 육체를 갉아 먹는 것처럼, 영혼이 병든다는 말입니다.

 


그럼 이상으로 거짓말과 관련된 영어 격언들이었습니다.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관용구 및 표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full of beans  (1) 2014.07.13
in the doldrums  (0) 2014.07.10
영어 속담 정리 (1-20)  (0) 2014.05.25
Curiosity killed the cat.  (0) 2014.04.28
every dog has his day  (16) 2013.06.06

pun (언어 유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pun’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pun'이란 다의어나 동음이의어를 이용한 재미있는 말 장난입니다. 영문 위키피디아에 있는 예문을 하나 보겠습니다.



Let's pun!


레스토랑에서 손님이 샐러드를 주문하고 있습니다.


Customer: "I'd like a Caesar salad."

             ('씨-저‘ 샐러드로 주시오)

Waiter: “Scissor salad? You'll cut your mouth!"

          (씨저 샐러드라고요? 입 잘릴려고 그래요!)


이 상황에서 pun(언어유희)은 ‘Caesar'와 ’Scissor'가 발음이 거의 비슷해서 발생합니다. 로마의 제왕 ‘씨-저’와는 아무 관련없는 샌드위치 'Caesar'는 발음에 장모음이 들어가 있어서 ‘씨-저’라고 읽어야 합니다. 그런데 ‘Caesar’에서 장모음을 짧게 발음하는 바람에 ‘씨저(Scissor: 가위)’가 되어 버렸습니다. 가위가 들어간 샐러드를 달라고 하니 웨이터가 기겁을 할 수 밖에요. 불가사리도 아니고...



재미있는 pun 몇 가지를 보겠습니다. 

농담을 설명하면 썰렁해 지겠지만 이해해 주시길 바랍니다.



Let's have more pun!

1. Pun is fun

해석: pun은 재미있다.

해설: pun과 fun이 비슷하게 발음되는 것을 이용한 pun입니다.



2. Enegizer bunny arrested. Charged with battery.

해석: Enegizer bunny가 체포되었다. 구타 혐의를 받고 있다.

해설: 'Enegizer bunny'는 유명한 건전지 ‘에너자이저’의 광고모델로 활약하는 ‘토끼(bunny)'입니다. 그 bunny가 ’구타 혐의로‘ 체포되었다고 하는군요. 여기서 pun은 'Enegizer'가 건전지라는 것과 charge가 ’충전하다, 고발하다‘, 그리고 battery가 ’전지, 구타‘라는 뜻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토끼가 건전지를 충전했다‘, ’구타혐의로 고발당했다‘는 이중의 해석이 웃음을 만들어 냅니다.



3. How does Moses make his tea?

   Hebrews it.

해석: 어떻게 모세는 차를 만들지?

       히브루 시켜서 만들어.

해설: 여기서 pun은 'Hebrews'를 ‘He brews'로 해석하면서 발생합니다. 십계명을 인간계로 들여온 모세는 ’Hebrew'사람입니다. 그리고 Hebrews'는 ‘He brews(차를 끓이다)’와 발음이 같습니다. ‘Hebrew'사람인 모세가 차를 ’He brews'한다는 많이 썰렁한 pun입니다.



4. A horse is a very stable animal.

해석: (1) 말은 매우 안정적인 동물이다.

       (2) 말은 마굿간에서 사는 동물이다.

해설: stable은 형용사로 쓰일 때는 ‘안정적인’이지만, 명사로 쓰일 때는 ‘마굿간’으로도 쓰입니다. stable은 형용사로 사용하면 (1)과 같은 해석을, 명사로 사용하면 (2)와 같은 해석을 할 수 있습니다.



5. When you get a bladder infection, urine trouble.

해석: (1) 당신이 방광에 감염이 있으면, 소변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2) 당신이 방광에 감염이 있으면, 당신은 큰 일난 것이다.

해석: urine은 ‘소변의’라는 형용사입니다. 그런데 ‘you are in'을 축약해서 읽으면 ’U'r in',빨리 읽으면 ‘urin'이 됩니다. 이것은 ’urine'와 발음이 같습니다. ‘You are in.'과 ’urine'의 발음이 같은 것을 이용한 pun입니다.



6. How do you make holy water?

   Boil the hell out of it.

해석: 어떻게 성수를 만들지?

       끓여서 지옥을 없애버려야지.

해설: 성수는 ‘성스러운 물입니다’. 'Boil the hell out of it'에서 'hell'은 지옥이라는 뜻이 아니라 ‘very very very(완전히)'쯤 됩니다. 강조하는 말이죠. 이 문장은 hell이 지닌 이중적 의미 때문에 ’펄펄 끓인다‘와 ’끓여서 지옥을 없앤다‘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7. I'm glad I know sign language, it's pretty handy.

해석: 나는 ‘점자’를 알아서 기뻐, 매우 편하던데.

해석: 점자는 눈이 안 보이는 사람들이 손으로 만져가며 의미를 파악하는 언어체계입니다. ‘handy'는 ’유용한, 편리한‘이라는 가지고 있는데, ’hand + y'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handy'에 ‘손(hand)'이 들어있기 때문에, ’sign language'가 편하다는 뜻과, ‘손으로 만진다’라는 중의적 의미의 pun이 발생합니다.



8. I used to have a fear of hurdles, but I got over it.

해석: 나는 허들을 무서워하곤 했지, 그렇지만 이제는 극복했어.

해설: 'get over'는 어떤 장애물을 ‘넘다’와 문제를 ‘극복하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get over'가 가진 중의적 이미 때문에 ‘get over it'은 ’허들은 넘을 수 있어‘로, 또는 ’허들 문제는 극복했어‘라고도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pun이 발생합니다.



9. I'm reading a book about anti-gravity.

It's impossible to put down.

해석: 나는 책을 한 권 읽고 있는데, 반중력에 관한 것이야.

       정말 내려 놓을 수가 없어. (정말 재미있어)

해석: ‘반중력’이므로 중력의 작용을 받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떠 있을 수 있습니다. ‘It's impossible to put down.'은 말 그대로 ’내려 놓을 수가 없어‘라는 직설적인 문장입니다. ’anti-gravity(반중력)'와 ‘put down(내려 놓다)'이라는 표현은 ’중력‘이라는 단어를 매개로 의미가 연결됩니다. 어떤 물체를 내려 놓는 것이 가능한 것은 중력 때문이니까요.

'put down'은 내려 놓을 수 없다‘라는 의미인데 여기서는 ’책이 재미있기 때문에 손에서 놓을 수 없다‘라는 말입니다. 재미 있어서 책을 내려놓을 수 없는데, ’anti-gravity(반중력) 때문에 내려놓을 수 없다‘라고도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pun'이 만들어 집니다.



영어에는 pun한 표현들이 많습니다. 영어 공부가 힘들어 질 때 pun을 읽으면 ‘fun할 수 있습니다.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독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빈칸 변형문제 (인터넷 수능)  (0) 2014.05.20
우정에 관하여 (on friendship)  (2) 2014.02.03
영어 독해 공부법  (0) 2013.09.29
주장, 주제 문제  (2) 2013.09.23
영어 끊어읽기  (0) 2013.09.23

전치사 + 관계대명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전치사 + 관계대명사를 공부하겠습니다.

어려운 부분이라 설명이 아주 깁~니다. (^ ^)




계대명사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 ‘전치사 + 관계대명사’입니다. ‘전치사 + 관계대명사’에서 어려운 점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1. ‘전치사 + 관계대명사’ 해석

2. ‘전치사 + 관계대명사’에서 전치사 결정


‘전치사 + 관계대명사’는 상당히 ‘문어적’인 표현이라 일상적인 대화보다는 글에서 더 많이 사용됩니다. 그럼 ‘전치사 + 관계대명사’의 해석부터 보기로 하겠습니다.



1. ‘전치사 + 관계대명사’ 해석


‘전치사 + 관계대명사’를 해석할 때는 전치사의 의미 그대로 관계대명사 해석과 연결시키면 됩니다.


예문을 보면서 해석해 봅시다.


(1) Praise god/ from whom all blessings flow.


밑줄 친 부분을 우리말로 옮기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Praise god: 신을 칭송하라.

② all blessings flow: 모든 축복이 흘러나온다.


(1)번에서 관계대명사 whom은 선행사 god와 같은 말입니다. 그러므로 'from whom‘은 ’신으로부터‘가 됩니다. 전치사 from의 의미를 살려서 (1)번을 해석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관계대명사의 해석이 익숙하지 않으면 ’그런데 그 선행사는‘이라고 하면 됩니다.


(1-1) Praise god from whom all blessings flow.

       (신을 숭배하라/ 그런데 그 신으로부터 모든 축복이 흐른다)


예문을 더 보면서 연습해 보겠습니다.


(2) He is the man /with whom she is engaged.

    (그는 남자이다/ 그런데 그와 그녀는 약혼했다)


(3) It was the party at which I met her.

    (그것은 그 파티였다/ 그런데 그 곳에서 나는 그녀를 만났다)


(4) They are the tools with which we should work.

   (그들은 도구들이다/ 그런데 그 도구들을 가지고 우리는 일해야 한다)


(5) I have met the lady for whom I will devote my life.

    (나는 그 여자를 만났다/ 그런데 그녀를 위해서 나는 내 인생을 바칠 것이다)


(6) I have a daughter /of whom I should take care.

    (나는 딸이 있다/ 그런데 그녀를 나는 돌봐야 한다)


(7) The girl /to whom you are talking //is my daughter.

    (그 소녀는/ - 그런데 그녀에게 당신이 이야기하고 있는/ 내 딸이다)


(8) There are things /about which I can't speak.

(일들이 있다/ 그런데 그것들에 대하여 나는 말할 수 없다)


(9) This is the house /in which I was born.

(이것은 집이다/ 그런데 이 집에서 나는 태어났다)


지금까지 보았듯이 ‘전치사 + 관계대명사’를 해석할 때는 전치사의 의미를 살려 선행사와 연결하면 됩니다. 그리고 약간 어색하더라도 거꾸로 해석하지 말고 영어가 쓰인 순서대로 이해하는 것이 실력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2. ‘전치사 + 관계대명사’에서 전치사 결정


‘전치사 + 관계대명사’를 해석하는 것이 영어를 읽고 쓰는데 도움이 된다면, ‘전치사 + 관계대명사’에서 전치사를 찾아내는 것은 시험에 도움이 됩니다. ‘전치사 + 관계대명사’는 꽤 어려운 문법이기 때문에 고급 영어 시험에서 자주 출제됩니다. 이 구문에서 전치사를 찾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숙어로 전치사 찾기


관계대명사절 뒤에서 숙어를 찾는다. 그리고 그 숙어를 구성하는 전치사를 쓴다.


※ 다음 빈 칸에 알맞은 전치사를 쓰시오.

① I have a daughter ( ) whom I should take care.


①번 문장의 관계 대명사 절에는 'take care'가 있습니다. 잘 아시는 것처럼 ‘take care'는 전치사 'of'와 함께 숙어를 구성합니다. ’take care of‘는 ’돌보다‘라는 뜻이죠. 그럼 빈 칸에는 전치사 (of)가 들어가겠군요. ’of를 넣어서 해석해 봅시다.


①-1. I have a daughter (of) whom I should take care.

       (나는 딸이 있다/ 내가 돌봐야하는)

‘take care of’로 해석하니 말이 됩니다. 그래서 'take care' 와 숙어를 이룰 수 있는 'of‘가 답이 됩니다.


하나 더 봅시다.


② This is the book (  ) which I am interested.

which 이하를 보면 'am interested'가 눈에 띕니다. 여기서 'be interested'와 숙어를 이룰 수 있는 전치사는 ‘in’입니다. ‘be interested in(~에 흥미를 느끼다)’라는 뜻이죠.


해석해 보면,

②-1. This is the book (in) which I am interested.

       (이것은 책이다/ 내가 흥미 있어 하는)

전치사 in을 빈칸에 넣고 해석하면 말이 됩니다.


지금까지 보았듯이 ‘전치사 + 관계대명사’절에서 전치사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관계대명사절에 있는 숙어를 찾으면 됩니다.



(2) 의미로 전치사 찾기


‘전치사 + 관계대명사’에서 전치사를 결정하기 어려운 경우는, 관계대명사 절에 숙어가 없을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는 방법이 없습니다. 해석해 가면서 선행사에 어울리는 전치사를 찾아야 합니다.


※ 다음 빈 칸에 알맞은 전치사를 쓰시오.

① Praise god ( ) whom all blessings flow.

   (신을 칭송하라/ ( ) 모든 축복이 흘러 나온다)


② They are the tools ( ) which we should work.

    (그들은 도구들이다 ( ) 우리가 일해야 하는)


①번은, ‘신으로부터 축복이 흘러 나오는 것’이 말이 됩니다. 그러므로 전치사 from을 씁니다. ②번은 ‘도구를 가지고 일하다’가 말이 됩니다. 그러므로 전치사 with가 어울립니다.


앞에서도 말했지만 ‘전치사 + 관계대명사’는 상당히 문어적인 표현입니다. 즉, 천천히 생각할 수 있는 글에서나 쓰일 수 있는 표현들입니다. 너무 무리 하지 말고 이해 위주로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이상으로 ‘전치사 + 관계대명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속사 (when, while, as 구별)  (10) 2013.11.26
ever 용법 (1부)  (2) 2013.11.26
이중부정 (double negation)  (5) 2013.11.19
접속사 as, than  (4) 2013.11.17
that의 용법  (12) 2013.11.15

above, over 의미 차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above, over에 대해 공부하겠습니다.


 

above, over 정리


above, over는 전치사로서 둘 다 ‘~위에’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비슷한 것 같지만 용법이 서로 다르니 주의해야 합니다. 그럼 두 단어의 의미와 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above (전치사)

~ 위에 (물리적으로)

~ 위에 (위치나 지위 등에서 어떤 것보다 위에)

~ 을 넘는 (수·나이 등이)

 

2. over (전치사)

~ 위로 (꼭대기를 넘어서)

~ 위에 (사람·사물이 닿지않고 덮이도록)

~ 위에 (사람·사물이 닿으면서 덮이도록)

~ 을 넘는 (시간이나 비용 또는 양)

 


1. above


(1) 물리적으로 위에

above는 물리적·비유적으로 ‘~의 수직으로 위에’ 있는 것을 말하며 주로 ‘정지된 상태’를 나타냅니다.

① He is floating above the cloud.

    (그는 떠 있다/ 구름 위에)


(2) 비유적으로 위에

above는 비유적으로 '~의 위에‘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over에는 이러한 의미가 없습니다.

① My wife is above me at work.

    (내 아내가 나보다 (지위가) 높다/ 직장에서)

② His ability is above mine.

    (그의 능력이 위다/ 나보다)


(3) ~ 을 넘는 (수·나이 등이)

이 경우 above 다음에는 숫자가 와서, 수나 나이가 ‘~을 넘는’ 것을 표현합니다. 보통 온도나 높이 등의 수치나 와서 ‘수준이나 수준’을 나타냅니다. 단순하게 ‘`을 넘는’이라는 사실을 나타냅니다.

① The temperature is above 35°C.

    (온도가 35도를 넘는다)

② Inflation is above 5%.

    (인플레이션이 5%를 넘는다)

③ My IQ is above average.

    (내 지능은 보통은 넘어)


①②③에서 숫자와 함께 쓰인 'above‘는 감정이 들어가지 않은 객관적인 사실을 묘사합니다.

 


위에서 보았듯이 above는 물리적이나 비유적으로 ‘~의 위에’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 때 above는 ‘정지해 있다’는 의미가 강하며 단지 ‘위치상으로 수직 위’에 있다는 것을 표현합니다.



2. over


(1) ~의 위로 (꼭대기를 넘어서)

over는 ‘~의 꼭대기를 위로 넘어서’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above가 움직임이 없는 정적인 상태인데 대하여 over는 ‘가로 질러 넘어가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물리적인 공간을 가로지를 때나 추상적으로 뭔가를 건너 뛸 때도 쓰입니다.


① The cat is jumping over the fence.

    (그 고양이는 뛰어 넘었다/ 담장 위를)

② The sun is rising over the horizon.

    (태양이 떠오르고 있다/ 수평선을 가로질러)

③ I skipped over a few difficult questions.

    (나는 건너 뛰었다/ 몇 어려운 문제들을)



(2) ~ 위에 (사람·사물이 닿지않고 덮이도록)

over는 공간상으로 뭔가를 덮을 정도로 위에 있을 경우에 사용됩니다. (완전히 다 덮을 필요는 없습니다)

① I held a large umbrella over her.

    (나는 커다란 우산을 씌어 주었다/ 그녀 위로)

② A huge dome is over the stadium.

    (거대한 돔이 경기장을 덮고 있다)



(3) ~ 위에 (사람·사물이 닿으면서 덮이도록)

over는 사람과 사물이 닿도록 위에 덮을 때로 사용됩니다.

① I put on a coat over the shirt.

    (나는 코트를 입었다/ 셔츠 위에)

② She put a blanket over the sleeping baby.

    (그녀는 담요를 덮어 주었다/ 자고 있는 아기에게)



(4) ~ 을 넘는 (시간이나 비용 또는 양)

over 다음에 숫자가 오면 ‘~이상’을 표현합니다.

① His book was sold over 1 millon copies.

    (그의 책은 팔렸다/ 백만부 이상)

② You have to be over 18 to vote.

    (너는 18살 이상이 되어야 한다/ 투표하려면)

③ My IQ is over average.

    (내 지능은 보통은 넘어)

    (내 지능은 보통이 아니라니까)

 

①②③에서 ‘over'는 ’~이상‘이라는 의미를 표현합니다. 단순하게 ‘~을 넘는 수’를 표현하는 above와 비교해서 익혀두시길 바랍니다.



 그럼 이상으로 above, over 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단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l, whole, every 정리  (3) 2013.11.29
beat, win, defeat 의미 차이  (0) 2013.11.24
very, too 의미 차이  (0) 2013.11.21
percent, percentage 용법 정리  (10) 2013.11.20
ability, capability, capacity 의미 차이  (0) 2013.11.20

very, too 의미 차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very, too를 공부해 보겠습니다.


 

very와 too는 의미가 비슷해 보이지만 다르니 주의해야 합니다. 

두 단어의 의미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1. very : (부사) 매우, 몹시

2. too : (부사) 너무

 

위에서 보듯이, very와 too은 둘 다, ‘보통 정도보다 더 ~한’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very가 긍정적이지도 부정적이지도 않는 ‘중립적(neutral)’인 의미를 가지는데 반하여 too는 ‘부정적’인 뉘앙스를 가집니다. 


더 자세히 공부해 봅시다.

 


very


1. very     (부사)

             매우 (보통 정도보다 훨씬 더)

             형용사나 부사를 수식


very는 부사로서 형용사나 부사를 수식합니다. ‘매우’라는 뜻을 가지며 ‘보통 정도보다 훨씬 더’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1) He is very kind.

    (그는 매우 친절하다)

(2) She is very beautiful.

    (그녀는 매우 아름답다)

(3) They travel abroad very often.

    (그들은 해외로 여행을 간다/ 매우 자주)

 

(1)·(2)번에서 very는 형용사를 수식하여 의미를 강조합니다. (1)번의 경우 ‘보통보다 훨씬 더 친절하다’는 의미이고, (2)번은 ‘보통보다 훨씬 아름답다’라는 의미입니다.

 

(3)번에서는 often이라는 부사를 수식하여 마찬가지로 의미를 강조합니다. 역시 ‘보통보다 훨씬 더 자주’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very에는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뉘앙스가 없습니다. 그저 중립적으로 ‘보통 정도보다 훨씬 더 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too


2. too     (부사)

            너무, 지나치게 (일정한 정도나 한계를 넘어 지나치게)

            형용사나 부사를 수식

 

too 역시 부사로서 형용사나 부사를 수식합니다. 어떤 정도가 넘어섬을 나타내는 것은 very와 같으나 부정적인 뉘앙스로 사용됩니다. 주로 ‘일정한 정도나 한계를 넘어 지나침’을 나타냅니다.

 

예문을 봅시다.


(1) She is very tall.

    (그녀는 매우 크다)

    (아주 크다는 사실만 묘사)

(2) She is too tall.

    (그녀는 너무 크다)

    (너무 커서 문제가 있다는 뉘앙스)

 

very가 쓰인 (1)번 문장은 ‘그녀의 키가 아주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키가 커서 좋은지 나쁜지는 드러나 있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2)번 문장은 '키가 너무 커서 문제‘라는 의미입니다. 부정적인 뉘앙스죠. 


이렇게 too가 ‘너무 ~한’이라는 부정적 의미를 나타냅니다.

 

예문을 조금 더 보겠습니다.

 

(3) He is too kind.

    (그녀는 너무 친절하다)

    (친절해서 문제가 된다는 뜻입니다)

(4) The boy acts too smartly.

    (그 소년은 너무 영리하게 행동한다)

    (잔머리를 심하게 굴려 보기 않좋다는 뜻입니다)

(5) She speaks too smoothly.

    (그녀는 너무 부드럽게 말한다)

    (웬지 아부한다는 느낌이 들정도라는 말입니다)

 

예문들에서 보는 것처럼, too는 부정적인 뉘앙스를 가지고 있다는 것에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이상으로 very와 too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Casanova (1725-1798)


18세기 베네치아의 모험가이자 사상 최고의 바람둥이. 생애 자체가 불멸의 걸작이 되어 버린 유일한 인물. 인류 최고의 천재들이 창조한 극중 인물도 실제 인물인 카사노바에게는 미치지 못한다.

 

인류사의 모든 뛰어난 천재들은, 일상의 쾌락을 포기한 채, 자신의 모든 재능을 걸고, 자신들의 작품 속에 찬란한 한 순간을 그리려고, 좁은 방에 쳐박혀 인생을 바칩니다. 그런데 카사노바는, 그러한 삶을 일생에 걸쳐 몸으로 살아낸, 인생을 예술로 만들어 버린 사랑의 천재였습니다. 그리고 그는 죽음을 앞두고 쓴 뻔뻔스러운 자서전으로 불멸의 신전에 헌납되었습니다. 


우리 인류의 역사가 기록되는 한 카사노바는, 모험을 갈구하고 사랑에 목숨거는 이들의 영원한 경배를 받을 것입니다. 

 

I have lived as a philosopher.

(나는 철학자로서 인생을 살았다)

(아, 이 놀라운 뻔뻔스러움이여...)

 

- Memoirs of J. Casanova de Seingalt -

 


1. 카사노바 자서전 원문


My success and my misfortunes, the bright and the dark days I have gone through, everything has proved to me /that in this world, either physical or moral, good comes out of evil /just as well as evil comes out of good. 


My errors will point to thinking men the various roads, and will teach them the great art /of treading on the brink of the precipice without falling into it. It is only necessary to have courage, for strength without self-confidence is useless. 


I have often met with happiness after some imprudent step /which ought to have brought ruin upon me, and although passing a vote of censure upon myself /I would thank God for his mercy. But, by way of compensation, dire misfortune has befallen me /in consequence of actions prompted by the most cautious wisdom. 


This would humble me; yet conscious that I had acted rightly I would easily derive comfort /from that conviction.


카사노바 자서전 중에서...

 


2. 카사노바 자서전 해석


나의 성공과 불운들, 밝고 어두웠던 내가 겪어온 날들, 이 모든 것들이 나에게 증명해 주고 있다/ 이 세상에서는, 육체적이든 도덕적이든, 선(善)은 악으로부터 온다는 것을/ 악이 선으로부터 나오는 것과 마찬가지로. 


내가 저질렀던 잘못들은 생각있는 사람들에게 다양한 길을 보여줄 것이다, 그리고 그들에게 위대한 기술을 가르쳐줄 것이다/ 절벽의 가장자리에서 떨어지지않고 걷을 수 있는. 오직 필요한 것은 용기뿐이다/ 왜냐하면 자신감 없는 힘이란 쓸모없기 때문이다. 


나는 행복을 만나왔다/ 경솔한 발걸음을 내딛은 후에도/ 그것들은 나에게 파멸을 가져올 수도 있었다, 그리고 비록 내 자신을 비난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나는 신의 자비에 대해 감사한다. 그렇지만, 그 결과로서, 처참한 불운이 나에게 닥쳐왔다/ 그것은 아주 주의하고 지혜로운 행동들이 초래한 것이었다. 


이러한 사실이 나를 겸손케한다; 그러나 내가 옳게 행동했음을 알기 때문에 나는 쉽게 편안해질 수 있다/ 그러한 확신으로부터.

 


늙은 바람둥이의 참회라고 생각됩니까?

몸은 늙었지만 마음 만은 청춘인 늑대의 자기 합리화 같은데요. (^ ^)

카사노바의 후손들은 지금도 스크린과 책 속에서 종횡무진 여심을 훔치고 있습니다. 

턱시도 속에 권총을 감추고 한 손에 든 마티니를 홀짝거리면서 이렇게 말합니다.

본드, 제임스 본드


percent, percentage 용법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percent, percentage를 공부해 보겠습니다.

 


percent, percentage 정리


이 단어들은 철자에서 보듯이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용법은 확실히 구별됩니다. 두 단어의 의미를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1. percent (=%)

백분

백 중에서

(셀 수 없는 명사) 숫자와 함께 사용된다.

 

2. percentage

비율

전체를 백으로 봤을 때 차지하는 크기

숫자와 함께 사용될 수 없다.

 


1. percent


percent는 '백 중에서(in the hundred)‘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불가산 명사이기 때문에 percent 다음에 복수형 어미 ’-s'를 붙일 수 없고 항상 ‘percent' 그대로 써야 합니다. 또한 percent(=%)는 언제나 숫자와 함께 사용됩니다.

 

(1) three percent = 3%

(2) Fifteen percent of the people agree the law.

    (50%의 사람들이 찬성한다/ 그 법에)

 

위 에문에서 보듯이, percent를 사용할 때 중요한 것은 두 가지입니다.


첫째, 항상 숫자와 함께 쓴다.

둘째, percent 자체에는 복수형 어미(-s)를 붙일 수 없다.

 


2. percentage


percentage는 percent에서 나온 단어지만 의미는 다릅니다. percent가 ‘백 개중에서 몇 개인가’를 나타낸다면, percentage는 ‘전체를 백으로 봤을 때 차지하는 비율(백분율)’입니다. percentage는 one을 제외한 숫자와는 함께 사용될 수 없으며, 복수형 어미 '-s'를 붙일 수도 없습니다.

 

(1) one percentage of participants.

    (1% 비율의 참가자들)

(2) He took a large percentage of profit.

    (그가 차지했다/ 이익의 대부분 비율을)

 

percent와 percentage를 정확하게 의미로 구별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쉽게 기억하는 방법은 percent는 숫자와 함께 쓰일 수 있지만, percentage는 숫자와 함께 쓰일 수 없다는 것입니다.

 


3. percent, percentage 수 일치


percent나 percentage가 주어 자리에 있을 때는 동사의 단수·복수에 주의해야 합니다. 비율을 나타내는 말들이라서 뒤에 오는 말에 따라 동사의 단수·복수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1) the percentage

'the percentage'는 ‘항상 단수’로 사용됩니다. ‘the percentage’는 ‘비율’이라는 의미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비율들’이라는 말을 있을 수 없습니다.

 

ex) The percentage of college dropouts IS increasing.

    (대학 중퇴자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the percentage'가 '비율‘이라는 뜻이므로 단수 동사 ’is'를 썼습니다.

 

(2) percent of 명사, percentage of 명사

소위 말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percent나 percentage가 ‘of 명사’와 함께 사용될 경우에는 ‘of 뒤에 있는 명사’가 동사의 수를 결정합니다. ‘of 뒤에 있는 명사’가 단수라면 단수 동사를 쓰고, 복수라면 복수동사를 쓰면 됩니다 .

 

① Sixty percent of the water IS polluted.

    (물의 60%가 오염되었다)

 

② Sixty percent of the apples ARE spoiled.

    (사과 60%가 상했다)

 

똑 같이 'sixty percent'가 왔지만 'of 뒤에 있는 명사‘에 따라서 동사의 수가 달라집니다. ①번에서는 of 다음에 단수 명사과 왔기 때문에 단수동사를 썼습니다. ②번에서는 of 다음에 복수명사가 왔기 때문에 복수 동사를 썼습니다.

 

③ Three percentage of my homework IS finished.

    (내 과제의 1%가 완료 되었다)

 

④ Three percentage of reports ARE finished.

    (리포트들의 3%가 끝났다)

 

③번에서는 of 다음에 단수명사가 왔기 때문에 단수동사를 썼습니다. ④번에서는 of 다음에 복수명사가 왔기 때문에 복수동사를 썼습니다.



지금까지 percent, percentage에 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막상 쓰려고 하면 쉽지 않을 것들이므로 잘 정리해 두시길 바랍니다.

 

그럼 안녕히...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ability, capability, capacity 의미 차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ability, capacity, capability를 보겠습니다.


 

이 단어들은 셋 다 ‘능력’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의미가 다르니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각 단어의 의미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ability       능력 

  (정신적이던 육체적이든, 선천적이던 후천적이던, 뭔가를 실제로 할 수 있는 기술)


capability  능력 

              (ability 보다 구체적, 특정한 목적에 알맞은 능력)


capacity    소질, 자질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잠재력, 주로 정신적으로 타고난 것)



1. ability 능력


ability는 뭔가를 지금 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1) He has the ability to play many musical instruments.

    (그는 연주할 수 있다/ 많은 악기를)


(2) He lacks the managerial ability.

    (그는 부족하다/ 관리 능력이)


(3) Messi is a player with a remarkable soccer ability.

    (메시는 선수이다/ 놀라운 축구 실력을 가진)


(4) Music has the ability to change mood.

    (음악은 바꿀 수 있다/ 기분을)


ability는 사람은 물론 사물에도 쓰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위에 있는 모든 예문들에서 ability는 capability로 바꾸어 쓸 수도 있습니다.

 


2. capability 특정한 능력


capability는 ability와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보다 더 구체적인 능력을 나타냅니다. 

또한 사물의 가능성을 나타낼 때는 capability를 쓰는 것이 더 낫습니다.


(1) He lacks the managerial capability to be a CEO.

    (그는 관리 능력이 부족하다/ 최고 경영자가 되기에는)

    (경영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구체적인 능력)


(2) Most of the phones have MP3 capability now. (사물의 능력)

    (대부분의 전화기들은 MP3 기능이 있다)


ability와 capability는 대부분의 상황에서 서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1)번과 같이 ‘특정한 목적을 위한 구체적인 능력’을 나타내는 경우나, ‘사물의 능력’을 나타낼 경우에는 ‘capability'를 쓰는 것이 더 낫습니다.

 


3. capacity 잠재력, 소질


capacity는 (주로 정신적으로) 뭔가를 익힐 수 있는 잠재적인 능력을 말합니다.


(1) He has the capacity to play many musical instruments.

    But he doesn't practice enough.

    (그는 소질이 있다/ 많은 악기를 연주할 수 있는)

    (그렇지만 그는 연습을 충분히 하지 않는다)


(2) He has the capacity to learn English.

    (그는 잠재력이 있다/ 영어를 배울)


(1)번과 (2)번에서 보듯이 capacity는 ‘뭔가를 배울 수 있는 능력, 즉 잠재력’을 말합니다. 현재 기술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할 수 있는 가능성’입니다. 그리고 capacity 육체적이라기 보다는 정신적 잠재력을 나타냅니다.

 


4. 예문

ability, capability, capacity를 사용한 예문을 보면서 마치겠습니다.

 

A: It seems that I have the capacity to speak English, but I lack the ability to use.

B: Oh. You can distinguish the meaning of capacity and ability.

   You already have the enough capability to speak.


A: 나는 소질이 영어를 말할 소질은 있는 것 같아, 그렇지만 쓸 수는 없어.

B: 넌 구별할 수도 있잖아/ capacity와 ability의 의미를.

    넌 이미 충분한 능력이 있어/ 영어를 말할 수 있는.

 


그럼 이상으로 ability, capability, capacity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단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very, too 의미 차이  (0) 2013.11.21
percent, percentage 용법 정리  (10) 2013.11.20
단어의 유래 (immolation, 희생)  (0) 2013.11.19
modern, current, present 의미 차이  (0) 2013.11.18
half 용법  (1) 2013.11.18

단어의 유래 (immolation, 희생)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단어 immolation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먼저 immolation의 사전적 정의입니다.


immolation      (명) 제물, 희생

immolate         (동) 제물로 바치다, 희생시키다. (=sacrifice)

ex) When some disaster was befalling the city, the immolation was demanded.

     (재앙이 도시에 닥칠 때면, 희생이 요구되었다)



희생과 어금니


'immolation'은 sacrifice(희생)과 같은 뜻을 지닌 단어입니다. 보시다시피 자주 보기도 힘든, 상당히 어려운 단어입니다. 이렇게 어려운 단어를 공부할 때 어근과 어원은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어근과 어원이 가진 역사적 기원을 공부하다보면 교양과 지식도 얻을 수 있으니 참으로 일석이조입니다.


immolation이라는 어려운 단어를 쉽게 기억하는 요령은 ‘어금니’입니다. 아니 ‘희생’과 ‘어금니’가 무슨 관계가 있다는 말입니까? 놀랍게도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한 번 봅시다.


어금니의 역할을 잘 알고 계실겁니다. 넓적한 표면으로 음식물을 씹고 갈아서 잘게 부수는 것이죠. 어금니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는 ‘molar'입니다. 그런데 'molar'라는 단어와 ’immolation'은 같은 어근이 보입니다. 바로 ‘mol'이죠.


어근 ‘mol'은 어금니의 기능을 생각해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어금니(molar)는 음식물을 ’가는‘용도로 쓰입니다. 그러므로 어금니에 포함된 어근 'mol' 역시 ’갈다‘라는 의미라고 유추할 수 있습니다.


어근 ‘mol'은 ’갈다(grind)'라는 의미를 가진 라틴말입니다. 이 ‘mol'과 같은 어원을 가진 단어가 ’mill(방앗간, 제분소)‘입니다. 방앗간 역시 맷돌로 곡식을 갈아서 잘게 부수는 곳이니까요.



그런데 ‘immolation(희생)’과 ‘가는것(mol)'이 무슨 상관이 있을까요?



im molo


때는 로마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는 번개를 열받은 제우스가 던진 창쯤으로 해석하던 과학적 원리에 무지한 시기였습니다. 모든 자연재해는 신들의 분노라고 생각하고 두려워하던 순진한 때였죠. 그러니 사람들은, 커다란 자연재해가 발생하면 신을 달래려고 제물을 바치곤 했습니다. 초기에는 사람(주로 힘없는 여자나 어린애들)을 바쳤지만 신에게 바치는 제물은, 사람들의 의식이 깨어남에 따라서, 짐승이나 귀금속으로 대체되었습니다. 신에게 바치는 제물이니만큼 자신들은 먹을 엄두도 못내던 극상품이었음은 두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로마인들은, 이렇게 준비한 성스러운 제물로 신에게 제사를 지내면서 ‘잘게 간 곡물과 가루 소금’을 함께 뿌렸습니다. ‘곡물과 소금’은 당시 농경사회였던 로마인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겼던 것들입니다. 자신들에게 가장 소중한 것을 바치는 행위였기 때문에 ‘희생’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었던 것입니다. 이렇게 제물에 잘게 간 곡물 알갱이와 소금을 뿌리는 행위를 ‘immolo'라고 했습니다.


라틴어 ‘immolo'를 현대 영어로 옮겨보면 ’i sacrifice'가 됩니다. 

‘나는 희생한다’라는 의미죠.


로마인들은 점차 ‘immolo(나는 잘게 부순다)’라는 말을 ‘나는 희생한다’이라는 의미로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로마인들이 Britain을 정복했을 때 이 단어가 영어에 들어오게 된 것입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어근 ‘immolation'은 ’희생‘이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어떻습니까?

무식하게 반복해서 철자만 외우는 것보다는 훨씬 재미있지 않습니까?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단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percent, percentage 용법 정리  (10) 2013.11.20
ability, capability, capacity 의미 차이  (0) 2013.11.20
modern, current, present 의미 차이  (0) 2013.11.18
half 용법  (1) 2013.11.18
only 위치  (0) 2013.11.17

이중부정 (Double Negation)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이중부정(Double Negation)을 공부하겠습니다.


영어에서는 같은 문장에서 부정어를 두 번 쓸 수 없다고 말을 합니다. 즉, 이중부정은 불가능하다는 말이죠. 그렇지만 영어에서도 이중부정은 분명히 가능합니다.



부정어를 두 번 써서 긍정의 의미를 강조할 때 이중부정을 쓸 수 있습니다.

 


1. 우리 말의 이중부정


중요한 것은 이중부정을 쓰면 ‘긍정’의 뜻이 된다는 것입니다. 우리 말에서도 이중부정을 하면 ‘긍정’이 되어 버리는 것과 같습니다.


(1) 사람이라면 진실을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사람이라면 진실을 말해야 한다)


위 문장에서 밑줄 친 부분은 이중부정입니다. ‘않을’과 ‘없다’라는 부정어가 같은 문장에서 두 번쓰였기 때문입니다. 부정어가 두 번 쓰였기 때문에 예문은 부정의 의미는 없어지고 ‘긍정’의 뜻을 가지게 됩니다.


우리 말에서 이중부정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강한 긍정’을 나타내기 위해서입니다. ‘진실을 말해야 한다’보다는 ‘진실을 말하지 않을 수 없다’가 ‘진실을 말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강하게 담고 있습니다.

 


2. 영어의 이중부정


영어에서도 우리 말과 같이 ‘강조를 위해서’ 이중부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부정을 나타내는 문장에서도 이중부정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구어와 속어에서 이러한 경향은 두드러집니다.


예문을 봅시다.


이중부정

(2) I don't mean no harm.

    (나는 해를 끼치고 싶지 않아)

Justin Timberlake의 곡 ‘Rock Your Body’에 나오는 문장입니다. 의미상으로는 명백하게 부정이지만 긍정을 썼습니다. 이 문장을 옳게 고치면 다음과 같습니다.


corrected

(2-1) I don't mean any harm.


이렇게, 부정의 의미를 가진 문장에서 이중부정을 사용하는 경향은 ‘미드’에서 절정을 이룹니다. 특히 껄렁한 ‘흑형’이나 ‘백인 양아치’들은 대부분 비문법적인 이중부정을 사용합니다. 다음은 너무나 유명한 문장입니다.


이중부정

(3) I ain't saying nothing.

    (나는 어떤 말도 않겠어)


형사물이나 범죄물 미드를 보면 거의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말입니다. 비문법적인 ‘슬랭’이지만 너무나 많이 사용되다 보니 이것을 틀린 문장이라고 보아야 하나라는 생각까지 들 정도입니다. 어쨌든, 이 문장을 문법에 맞게 고치면 다음과 같습니다.


corrected

(3-1) I am not saying anything.


문제는 (3-1)과 같이 고쳐버리면 원래 문장의 맛깔스러움이 없어져 버린다는 것입니다. 마치완전살균해버린 다이어트 콜라 먹는 기분이랄까요? 지금은 어엿한 음악장르로 대접받는 ‘랩 음악’도 따지고 보면 흑형들의 슬랭이었음을 생각하면, 이러한 ‘슬랭’도 시간이 지나면 점차 주류 언어 안으로 들어오게 될 것이라 추측해 봅니다.

 


3. 이중부정의 예

어쨌든 ‘부정의 의미를 가지는 이중부정’은 비문적이니 한 번 정리해 보겠습니다. 다음은 흔히 잘못 쓰이는 이중부정 문장들입니다.


(1) 잘못 사용된 이중부정

이중부정      He didn't say nothing. (그는 어떤 말도 안했다)

corrected     He said nothing.

                 He didn't say anything.


이중부정      I didn't like it, neither.

corrected     I didn't like it, either.


이중부정 규칙은, 명백한 부정부사 ‘not'이나 ’never‘뿐만 아니라 부정의 의미를 가진 부사들 'barely, hardly, scarcely' 등에서도 적용됩니다.


이중부정    I can't hardly wait more.

corrected   I can hardly wait more.

 


(2) 강조를 위해 사용되는 이중부정

다음에 사용되는 이중부정 문장들을 문법적으로 옳습니다. 이 경우에는 보통 부정의 의미는 없어지고 ‘긍정’을 나타냅니다. 강조를 위한 목적으로 이중부정을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이중부정    I am not unhappy.

   (=I am quite happy)


이중부정    He acts not carelessly.

   (=He acts quite carefully)


조동사와 동사를 이중부정할 수도 있습니다.

이중부정    She can't not forgive him.

               (그녀는 그를 용서하지 않을 수 없었다)


부정의 의미를 지닌 두 개의 단어들이 이중부정을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이중부정    There is no rule without exception.

(예외없는 규칙은 없다)

                (모든 규칙은 예외가 있다)


 

그럼 이상으로 이중부정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ever 용법 (1부)  (2) 2013.11.26
전치사 + 관계대명사  (22) 2013.11.22
접속사 as, than  (4) 2013.11.17
that의 용법  (12) 2013.11.15
동명사 총정리 (1부)  (2) 2013.11.14

modern, current, present 의미 차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modern, current, present를 보겠습니다.


modern, current, present는 셋 다 ‘현재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뉘앙스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우선 각 단어의 사전적 정의를 보겠습니다.

1. modern : 현대의, 근대의

2. current : 현재의, 지금의

3. present : 현재의


사전에 있는 정의지만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군요. 

조금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1. modern : 현재의 (현대의)


‘역사상에서 우리가 살고 있는 시기를 표현할 때’ 사용하는 말입니다. 고대, 중세, 현대라고 할 때 그 현대입니다. ‘상당히 긴 시간’을 나타내는 데 쓰입니다.


(1) Computers are essential in modern life.

    (컴퓨터들은 필수적이다/ 현대 삶에서)

(2) Modern English is different from medieval one.

    (현대 영어는 다르다/ 중세 영어와)

(3) He wears his clothes in a modern look.

    (그가 입는 옷은 현대풍이다)


modern은 '현대적인'이라는 의미를 같습니다. 역사상에서 현재를 지칭하는 표현입니다. 당연히 '아주 긴 기간(long period)'을 나타냅니다. 



2. current : 현재의 (최근의)


‘지금 일어나고 있거나 존재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오래 가지 못할 것 같다’라는 뉘앙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1) He isn't likely to last long with his current girlfriend.

    (그는 오래가지 않을 것 같다/ 현재의 여자 친구와)

(2) She is my current boss.

    (그녀가 나의 현재 상사야)

(3) You need to know the current affairs.

    (당신은 알 필요가 있다/ 현재의 문제들을) 


current 역시 '현재의'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current'는 'modern'보다는 '훨씬 짧은' 시간을 나타내는데 사용합니다. '현재의'라는 의미보다는 '최근에(recent)'라고 알아 두는 것이 이해에 더 도움이 됩니다. 



위에서 보았듯이, modern은 ‘현대의’라는 뜻으로 ‘역사상 현재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이에 대하여 current는 ‘지금 일어나고 있거나 존재하는 하는 사건’을 나타냅니다.



3. present : 현재의 (지금 당장)


present 역시 ‘현재의’라는 뜻을 가집니다. 하지만 ‘지금 이 순간에(at the moment)'이라는 의미가 강합니다. 이에 대하여 current는 ’최근의(recent)'라는 뉘앙스로 사용됩니다. 예문을 보면서 공부해 봅시다.


1. No information is available at present.

    (이용할 수 있는 정보가 없다/ 지금 현재는)

2. Divorce rate has increased in the current trend.

    (이혼율이 높아졌다/ 최근 추세로는)

 

1번에서 present는 ‘지금 당장’ 이용할 수 있는 정보가 없음을 나타냅니다. 이 경우 present는 ‘at the moment(지금 당장)’을 나타냅니다. 2번에서 current은 최근이라는 의미입니다. 2번 current와 동의어는 ‘recent'가 됩니다.


present는 '지금 당장 (at the moment, now)'라는 의미로 '현재의 이 순간'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지금까지 보아 왔듯이 modern, current, present는 모두, 표면적으로는 ‘현재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시간의 지속성(시간의 길이)가 다릅니다. 각 단어를 시간의 길이이에 따라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modern > current > present

(현대의)    (최근의)   (현재의)


그럼 이상으로 modern, current, present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half 용법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half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half는 다 아시는 것처럼 ‘절반’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기본 단어이지만 용법이 그렇게 만만치는 않습니다. 특히 관사와 복수형을 쓰기가 쉽지 않으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half 용법에서 설명할 사항들입니다.

1. half +명사, half + of the 명사

2. and a half



1. half + 명사, half + of the 명사


half의 가장 기본적인 용법은 ‘~의 절반’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의 절반’을 표현할 때는 'half +명사‘나 ’half of the 명사‘로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절반 가격‘을 표현할 때는 ’half the price'나 ‘half of the price'라고 합니다.


ex) 절반 가격

(1) half the price (O)

(2) half of the price (O)


주의할 것은 두 가지입니다.

첫째, half만 쓸 경우, 정관사는 half 앞에 쓸 수 없습니다. 반드시 ‘half 뒤에’ 정관사를 써야 합니다.

둘째, ‘half of 다음에는 반드시 정관사 the’를 써야 합니다. ‘half of 명사’와 같은 형태로는 쓸 수 없습니다.


다음은 잘못된 표현들입니다.

(1-1) half price    (X)  정관사가 없어서 틀렸습니다.

(1-2) the half price    (X)  정관사를 half 앞에 써서 틀렸습니다.

(2-1) half of price    (X)  of 다음에 정관사가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half 앞에는 정관사 the가 올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특정한 시간’을 나타낼 때는 다음과 같이 ‘the half'가 가능합니다.


(3) the second half (O)


‘절 반가격’을 영어로 표현할 때, 우리들은 언어 습관상 '~의 절반‘을 생각합니다. 즉, ’half of the price'를 선호합니다. ‘half the price'는 웬지 어색하게 느껴집니다. 물론 실제 영어에서도 ’half of the price'가 ‘half the price'보다 두 배 정도 더 자주 사용됩니다. 그렇지만 ’half the price'도 완벽하게 ‘옳은’ 표현입니다. (그리고 간결하기 때문에 제 개인적으로는 ‘half the price’를 더 자주 쓰는 편입니다.)



2. 수 and a half


우리 말의 ‘1일하고 절반’, ‘2일하고 절반’을 영어로 표현해 봅시다.


(1) one and a half day.

(2) two and a half days.


이것들이 half에서 가장 헷갈리는 표현들입니다. 이 표현들에서 주의할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반드시 ‘a half'와 같이 쓴다.

② 앞에 있는 수가 2이상이면 half 다음 명사는 복수형으로 표시한다.


(1)번과 (2)번에서 보듯이 half 앞에는 부정관사 ‘a’가 붙어 있습니다. (1)번은 앞에 있는 숫자가 'one'이기 때문에 ‘day'라고 단수형을 썼습니다. 그렇지만 (2)번에서는 ’two'가 앞에 있기 때문에 ‘days'라고 복수형을 썼습니다.


영어를 공부할 수록 기본단어들의 쓰임이 어렵게 느껴집니다. 영어권 네이티브들은 어릴 때부터 무수한 반복을 통해서 입으로 익히는 것을, 우리들은 ‘머리로’ 외우기 때문입니다. ‘half' 역시 뜻은 쉽지만 사용하기에는 만만치 않습니다. 잘 이해하신 다음 정확하게 쓰는 연습을 하셔야 합니다.



그럼 이상으로 half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only 위치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수식어 only의 위치를 공부하겠습니다.


 

영어에서 ‘수식’이라는 것은 ‘동사나 명사를 꾸며서 의미를 분명하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수식의 의미는 이해가 가지만 그렇게 와 닿지는 않습니다. ’only'를 들어서 수식어에 따라 문장의 의미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보기로 하겠습니다.

 

다음 문장은 콜롬비아 대학의 'Ernest Brennecke' 교수가 만들었다고 알려진 것입니다. 'only의 수식 위치에 따라 의미가 8가지로 달라집니다.

 

수식어 only


"I hit him in the eye yesterday"

(나는 그의 눈을 때렸다/ 어제)

 

1. ONLY I hit him in the eye yesterday.

   (‘나 만’ 때렸다, 다른 사람들은 못 때렸고)


2. I ONLY hit him in the eye yesterday.

   (때리기만 했다, 물거나, 찌르거나 하지는 않았고)


3. I hit ONLY him in the eye yesterday.

   (그 만을 때렸다, 다른 사람은 안 때렸다)

 

4. I hit him ONLY in the eye yesterday.

   (눈 안 쪽만 때렸다, 눈 밖은 때리지 않았다)

 

5. I hit him in ONLY the eye yesterday.

   (눈 만 때렸다, 다른 곳은 안 때렸다)

 

6. I hit him in the ONLY eye yesterday.

   (그의 애꾸눈을 때렸다, 그는 눈이 하나였다)

 

7. I hit him in the eye ONLY yesterday.

   (어제서야 때렸다, 참 오래 벼르고 별렀는데...)

 

8. I hit him in the eye yesterday ONLY. (not two days in a row)

   (어제만 때렸다, 설마 오늘도 때렸겠어?, 이틀 연속은 안 때린다고...)


only가 형용사로도 부사로도 쓰일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문장입니다. 재미있으면서도 수식이 무엇인지 아주 잘 보여주는 훌륭한 예문입니다.

 

그럼 안녕...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접속사 as, than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비교 접속사 as, than을 보겠습니다.


 

as, than + 주격


비교를 나타내는 than, as는 접속사로 사용됩니다. 그런데 than, as 다음에 대명사가 올 때, 그 대명사의 격에 주의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as·than은 접속사이기 때문에 다음에 ‘주격’이 옵니다.

 

1. He studies hard as he.   (as 다음의 'he'는 주격)

2. He studies harder than he.   (than 다음의 'he'는 주격)

 

1번과 2번은 동사가 생략된 형태입니다. 원래 문장으로 써보면 왜 주격이 오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1-1. He studies hard as he (does studies hard).

1-2. He studies harder than he (studies).

 

1-1과 1-2 문장에서 반복되는 말들을 생략하고 주어만 남긴 것이 1번과 2번 문장입니다. 그러므로 as와 than 다음에는 주격이 와야합니다.

 


하나만 더 봅시다.


 

 as, than + 목적격(x)


※ 다음 문장에서 잘못된 부분을 고치시오.

3. He is as strong as her.

역시 접속사 as 다음에 생략된 말을 써 넣어 봅시다.

 

3-1. He is as strong as her (is strong).

'her is strong'은 말이 되지 않습니다. 동사 ‘is'의 주어이므로 ’she is strong'으로 바꾸어야 합니다.

 

3-2. He is as strong as she.

 


그렇지만 다음은 어떨까요?


 

as, than 주의할 용법


※ 다음 문장을 우리 말로 옮기시오.

4. I like her more than he.

5. I like her more than him.

 

4번과 5번은 둘 다 어법에 맞는 문장입니다. 4번은 그렇다치고 5번은 어떻게 된 겁니까? ‘than'은 접속사이기 때문에 다음에 ’주격‘이 와야 된다고 했는데요? 실제로 4번과 5번은 상당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지만 둘 다 맞는 문장입니다. 생략되기 이전의 문장으로 고쳐써 봅시다.

 

4-1. I like her more than he (likes her).

4-2. I like her more than (I like) him.

 

위에서 보는 것처럼 he, him은 than 이하 문장에서 하는 역할일 다릅니다. 4-1에서는 주어 역할을 하고, 4-2에서는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둘 다 맞는 문장입니다.

 

문법 규칙은 절대적이지 않습니다. 

문맥에 따라, 쓰임에 따라 유연하게 해석해야 합니다.


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대명사와 격



그럼 이상으로 as, than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치사 + 관계대명사  (22) 2013.11.22
이중부정 (double negation)  (5) 2013.11.19
that의 용법  (12) 2013.11.15
동명사 총정리 (1부)  (2) 2013.11.14
목적격 관계대명사  (14) 2013.11.13

that의 용법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that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지시대명사 that

2. 부사 that

3. 접속사 that

4. 관계대명사 that

 


1. 지시대명사 that


‘that’은 앞에 있는 명사나 문장을 대신하는 대명사 역할을 합니다. 이 때 ‘that’ ‘저 사람·저것’ 또는 ‘그 사람·그것’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ex) I like this more than that.

    (나는 이것이 더 좋아/ 저것보다)

ex) Who's that at the door?

    (문에 있는 그 사람 누구니?)

ex) A: Let's go to Europe.

     B: That's what I think.

        (A: 유럽가자. B: 그것이 내가 생각하고 있는 거야)



2. 부사 that

'that'은 부사로서 형용사나 부사를 수식할 수 있습니다. 해석은 ‘그렇게’로 합니다.


ex) I don't like him that much.

    (나는 그를 그렇게 좋아하지는 않아)

ex) Don't walk that fast.

    (그렇게 빨리 걷지 마)



3. 접속사 that

'that'은 두 문장을 이어주는 접속사 역할을 합니다. 접속사로서 문장을 이끄는 that은 주어·보어·목적어·부사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that'이 접속사로 사용될 경우, 주어절을 이끄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동격으로 쓰이는 that 역시 접속사라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접속사로 쓰인 'that' 다음에는 생략된 말이 없는 완전한 문장이 옵니다.


(1) 주어절을 이끄는 that: 생략 불가

ex) That he is a playboy is well known.

    (그가 바람둥이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2) 보어절을 이끄는 that

ex) The important thing is that you love me.

    (중요한 것은 당신이 나를 사랑한다는 것이다)


(3) 동사의 목적어를 이끄는 that

접속사 'that'은 'believe, hope, know, think, say‘ 등의 동사 다음에서 목적어절을 역할을 합니다. 이 때 that는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ex) She thought. He was cool.

  ⇒ She thought that he was cool.

    (그녀는 생각했다/ 그가 멋지다고)

ex) He hopes. He can be a singer.

   ⇒ He hopes that he can be a singer.

    (그는 희망한다/ 가수가 되기를)


(4) 동격절을 이끄는 that

동격이란 ‘같다’라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동격절이란 ‘같은 문장’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보통 ‘belief, fact, idea, opinion. thought'등의 명사 다음에 'that'절로 설명을 덧붙이는 것을 ’동격의 that'이라고 합니다. 주의할 것은 이 때 'that'은 접속사이므로 다음에 완전한 문장이 온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동격절을 이끄는 'that'은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ex) I have a belief that she loves me.

    (나는 믿음이 있다/ 그녀가 나를 사랑한다는)

ex) Do you know that fact that Japanese eat a horse?

    (너 그 사실을 알고 있니/ 일본인들이 말을 먹는다는?)


(5)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

접속사 that은 보통 ‘so A that B’의 형태로 부사절을 이끌기도 합니다.

ex) She was so beautiful that I can't forget her.

    (그녀는 아주 아름다워서 나는 그녀를 잊을 수 없다)


접속사로 사용된 that 다음에는 생략된 말이 없는 ‘완전한 문장’이 온다는 것을 기억해 둬야 합니다.

 


4. 관계대명사 that


관계대명사로 사용된 that 다음에는 주어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문장이 옵니다.

ex) He is the person that will help you. (주격 관계대명사)

    (그는 사람이다/ 당신을 도울)

    (that 다음에 주어 생략)


ex) She is the best girl that you can have. (목적격 관계대명사)

    (그녀는 최고의 여자이다/ 당신이 가질 수 있는)

    (that 다음에 목적어 생략)


위에서 보는 것처럼 관계대명사 다음에는 주어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문장이 와야 합니다.



그럼 이상으로 that에 대한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중부정 (double negation)  (5) 2013.11.19
접속사 as, than  (4) 2013.11.17
동명사 총정리 (1부)  (2) 2013.11.14
목적격 관계대명사  (14) 2013.11.13
make 목적어 형용사  (7) 2013.11.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