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venient, comfortable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convenient, comfortable을 공부하겠습니다.



이 단어들은 모두 ‘편한’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그렇지만 쓰임이 다릅니다. 두 단어의 의미를 정리해 봅시다.



1. convenient : (사용하기에) 편리한


convenient는 ‘사용하기 쉬워서 편리한 것'을 말합니다. 

편의점 간판에는 CVS라는 말이 적혀 있습니다. 이는 'Convenient Store'의 약자입니다. 편의점은 24시간 영업을 하니 편리합니다. 그래서 'Convenient Store(편의점)‘이라고 합니다.


예문을 봅시다.

(1) E-mail is very convenient.

    (E-mail은 아주 편리하다)


(2) If you live close to the station, that's very convenient.

    (당신이 역 근처에 산다면, 그것은 매우 편리하다)


(3) When is it convenient for you to come?

    (언제가 편리합니까/ 당신이 오기에?)



2. comfortable (걱정 없이) 편안한


comfortable은 '걱정할 것이 없어서 몸과 마음이 편안한 것'입니다.

(1) My house is warm and comfortable.

    (내 집은 따뜻하고 편안하다)


(2) I had a comfortable evening at home.

    (나는 편안한 저녁을 보냈다/ 집에서)


(3) I had a comfortable salary to live.

    (나는 만족할 봉급을 받는다/ 생활하기에)

 

주의

문맥에 따라서, 같은 대상에 convenient, comfortable을 쓸 수도 있습니다.

ex) This armchair is convenient. I can use it as a comfortable bed.

     (이 안락의자는 편리하다. 나는 이것을 편안한 침대로 사용할 수 있다)


안락의자가 침대로도 사용되니까 사용하기 편합니다. 그래서 convenient를 썼습니다. 또한 침대로 썼을 때는 안락하고 편안하므로 ‘comfortable'을 썼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convenient, comfortable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would you mind ~, Do you mind ~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mind ~ing를 공부하겠습니다.



mind ~ing 


‘mind ~ing’는 자주 쓰이는 표현입니다. mind ~ing가 들어간 표현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해도 될까요?

= Would you mind ~ing

= Do you mind ~ing

= May I ~

= Would you please?



1. 정중한 부탁


mind가 동사로 쓰일 때는 ‘~을 꺼려하다’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mind ~ing'는 ’~해도 될까요‘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을까요? 그 이유는 'mind ~ing'가 ’거절하면 싸가지 없는 부탁‘에 쓰이기 때문입니다.



다음 상황을 봅시다.



(1) A: Would mind opening the widow? (꺼려하십니까/ 창문을 여는 것을?)

    B: Certainly not. (전혀 아닙니다)


A가 한 말을 직역하면 ‘창문을 여는 것을 꺼려하십니까?’입니다. 이것은 상대의 입장을 고려한 예의바른 부탁입니다. 창문 좀 열어도 될까요?’라고 하면 대부분 동의합니다. 이 상황에서 거절하면 사회성에 문제 있는 것입니다. 'mind ~ing'는 위와 같이, 사소한 부탁을 정중하게 할 때 사용됩니다.


(1)번은, 정중한 어감을 살려, 'May'를 써서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1-1) Would you mind opening the window?

     = May I open the window?

 


2. 부정으로 대답


'would you mind ~ing?‘로 물어보면, 부정어를 써서 대답해야 합니다. 


다음 예문을 봅시다.


A: Would you mind my asking a question? (질문해도 꺼려하지 않으시겠어요?)

B: Not at all. (전혀요)

   = Sure.

   = Go ahead.


동사 mind는 ‘~을 꺼려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would you mind ~ing'를 직역하면 '~하는 것을 꺼려하십니까’라는 뜻이 됩니다. 이 상황에서 'yes'라고 하면 ‘예, 꺼려합니다’라는 굉장히 뻘쭘한 답이 되어 버립니다. 부정어를 써야만 ‘꺼려하지 않습니다’, 즉 ‘괜찮습니다’는 의미를 갖게 됩니다.


그렇지만 구어에서는 위 예문에서 보는 것처럼 'sure, go ahead'를 쓸 수도 있습니다. ‘Would you mind ~ing'라는 표현 자체가, ’꺼려하다‘는 의미는 없어지고, 정중한 부탁만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동사 mind는 ‘~을 꺼려하다’는 의미이다.

2. 동사 mind 다음에는 ‘~ing'가 온다.

3. 'Would you mind ~?'는 ‘~해 주시겠습니까’라는 정중한 부탁이다.

4. 'Would you mind ~?'로 물어보면 부정어로 답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럼 안녕 ~

appointment, promise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약속’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공부할 내용입니다.


1. appointment, promise 의미 차이

2. 얼굴 한 번 볼까?


appointment, promise는 둘 다 ‘약속’이라고 해석됩니다. 그렇지만 속뜻이 다릅니다. 



차례로 살펴봅시다.



1. appointment, promise 의미 차이


(1) appointment: (시간) 약속

    appointment는 ‘시간 약속’으로, ‘(시간)예약’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주로 일과 관련된 시간 약속을 나타냅니다.

① I have an appointment with a dentist this morning.

    (나는 치과 예약이 있다/ 오늘 아침에)


② 비서 : Do you have an appointment?

    방문자 : Yes, he is expecting me.


비서: (시간) 약속 되어 있나요?

방문자: 예. 나를 기다리고 있을 겁니다.


(2) promise : (행동) 약속

    promise는 ‘특정한 행동을 하겠다는 약속’입니다.

① He promised not to lie.

    (그는 약속했다/ 거짓말 안 하기로)

 

② He kept his promise to stop smoking.

    (그는 약속을 지켰다/ 금연하기로 한)


간단히 정리해 봅시다.

일과 관련한 ‘(시간)예약’이면 appointment를, ‘행동에 대한 약속’이면 promise를 씁니다.




2. 얼굴 한 번 볼까?


그렇다면 ‘일상적으로 만나기로 하는 약속’은 어떻게 표현할까요? 이 경우에는 정해진 표현이 없습니다. 각 상황에 맞게 쓰면 됩니다.


(1) 얼굴 보는 것

   → see, meet를 씁니다.

① We will see tomorrow.

    (우리는 내일 볼 거야)

② I'll meet her at Time Square.

    (나는 그녀를 ‘Time Square'에서 만날 거야)


(2) 데이트

   → date를 씁니다.

ex) He has a big date with his love tomorrow.

     (그는 사랑하는 사람과 데이트 약속이 있다/ 내일)


(3) 시간 약속

   → 사적인 시간 약속에도 appointment를 쓸 수 있습니다.

ex) She has an appointment with her classmates at 3 o'clock.

    (그녀는 반 친구들과 약속이 있다/ 3시에)


일상적으로 누군가를 만날 때는 (1)번, ‘see·meet'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그럼 이상으로 약속에 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be sure to, be sure of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be sure to / of를 보겠습니다.



be sure to / be sure of는 무척 헷갈립니다. 둘 다 ‘확신하다’라는 뜻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두 표현은 ‘확신의 주체’가 다릅니다. 구별해 봅시다.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1. S be sure to 동사원형

2. S be sure of 명사(동명사)



1. S be sure to 동사원형

               = I am sure that S will 동사 원형


'S be sure to' 구문에서는 확신하는 주체가 언제나 ‘I'입니다. ’S(주어)‘는 ’to 동사원형‘의 주체입니다. 그리고 ’be sure to' 구문에서 to는 ‘to 부정사’이므로, to 다음에는 ‘동사원형’을 써야 합니다.


예문을 봅시다.


(1) Tom is sure to pass the test.

     (Tom은 확실히 시험을 통과한다)

(1)번 문장에서는 ‘확신하는 사람’과 ‘시험에 통과하는 사람’이 다릅니다. 해석을 보면 확신하는 사람은, 명시되지는 않았지만 ‘I(나)’입니다. 그리고 ‘시험에 통과하는 사람’은 'Tom'이 됩니다.


(1)번의 'be sure to' 구문은, 다음과 같이 ‘that절’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1)-1. I am sure that Tom will pass the test.

        (나는 확신한다/ Tom이 시험을 통과할 것이라고)

(1)-2. It is certain that Tom will pass the test.

        (그것은 확실하다/ Tom이 시험을 통과할 것은)


예문을 하나 더 보겠습니다.


(1) You are sure to find your love.

     (당신은 확실히 찾을 것이다/ 당신의 사랑을)

(2)번에서도 확신하는 주체는, 생략되어 있지만 ‘I(나)’입니다. 그리고 you는 ‘find(찾다)’의 주체가 됩니다.


(2)번을 ‘that’절로 바꾸어 써 보겠습니다.


(2)-1. I am sure that you will find your love.

       (나는 확신한다/ 당신이 당신의 사랑을 찾을 거라고)

(2)-2. It is certain that you will find your love.

        (그것은 확실하다/ 당신이 당신의 사랑을 찾을 것이)



2. S be sure of 명사(동명사)


‘S be sure of' 구문에서는 ’S(주어)‘가 확신의 주체입니다. 그리고 of가 전치사이기 때문에 of 다음에는 ’명사나 동명사‘가 와야 합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1) Tom is sure of her passing the test.

     (Tom은 확신한다/ 그녀가 시험에 통과할 것을)

(1)번에서는 'Tom‘이 확신을 합니다. 그리고 시험에 통과하는 사람은 'her(그녀)’입니다. 여기서 'her'는 동명사 passing의 의미상 주어입니다.


(1)번을 절로 바꾸어 써 보겠습니다.

(1)-1. Tom is sure that she will pass the test.

        (Tom은 확신한다/ 그녀가 시험에 통과할 것을)


주의

그렇지만 passing 앞에 her가 없을 때는, 문장의 주어인 Tom이 동명사의 의미상 주어가 됩니다.

(1)-2. Tom is sure of passing the test.

     = Tom is sure that he(Tom) will pass the test.

        (Tom은 확신한다/ 자신이 시험을 통과할 것이라고)

(1)-2에서는 확신하는 사람과 passing(통과)하는 사람이 같습니다. 의미상의 주어가 생략되었기 때문에 문장의 주어인 Tom이 passing의 주어가 됩니다.


'be sure of' 예문을 하나 더 보겠습니다.

 

(2) I am sure of his coming tomorrow.

    (나는 확신한다/ 그가 내일 올 것이라고)

역시 확신의 주체와 coming의 주체가 다릅니다.


(2)번을 절로 바꾸어 쓰면 다음과 같습니다.

(2)-1. I am sure that he will come tomorrow.

       (나는 확신한다/ 그가 내일 올 것이라고)



지금까지 공부했던 것을 간단히 정리하겠습니다.

'S be sure to'는 '내‘가 확신하는 것입니다.

'S be sure of'는 ‘주어’가 확신하는 것입니다.



그럼 이상으로 be sure to, be sure of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Curiosity killed the cat.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호기심’에 대한 속담을 공부하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속담입니다.


Curiosity killed the cat.

(직역 : 호기심은 고양이도 죽였다)

(의역 : 알면 다쳐!)





1. 의미 설명


이 속담은 ‘Curiosity kills the cat'으로도 사용됩니다. 직역을 하면 ’호기심은 고양이를 죽인다‘입니다. 의역을 하면 ’알면 다쳐!‘ 쯤 되겠습니다. 직역만 가지고는 의역을 하기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도대체 호기심과 고양이의 죽음이 무슨 관계가 있을까요?


먼저 호기심이 가진 파괴적 힘을 봅시다.


호기심은 파멸을 가져오기도 합니다. 호기심에 못 이겨 상자를 열어버린 판도라는 모든 악을 세상에 풀어 놓았습니다. 원자에 대한 호기심이 만들어낸 원자력은 인류의 말살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호기심은 개인은 물론 인류 전체를 파멸에 이르게 할 수 있습니다.


호기심은 왜 ‘고양이도’ 죽였을까요?


영어권 사람들은, 고양이가 아홉 개의 생명(nine lives)을 가졌다고 믿습니다. 그러므로 고양이를 죽이기 위해서는 9번이나 죽여야 합니다. 이 정도면 거의 불사신에 가깝습니다.


고양이가 ‘불사’라는 속성을 갖게 된 이유는 의외로 단순합니다. 고양이는 높은 곳에서 떨어져도 죽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고양이는 30층(100m)에서 떨어져도 살수 있다고 합니다. 인간은 즉사하는 높이입니다. 고양이의 이러한 낙하친화적 속성에서 ‘불사’가 나온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호기심이란 녀석은 불사신 고양이마저도 죽일 수 있습니다. 결국 다음과 같은 3단 논증구조가 성립합니다.


고양이는 (거의) 불사신이다.

호기심은 고양이도 죽인다.

그러므로 호기심은 (거의) 모든 것을 죽일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호기심(curiosity)은 ‘쓸 데 없는 궁리’ 쪽에 더 가깝습니다. 지나친 궁리와 실험 끝에 멀쩡한 돌다리까지 부숴버리는‘ 호기심입니다.


그래서 'Curiosity killed the cat.'을 ‘알면 다친다.’라고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2. 예문


다음은 'Curiosity killed the cat.'이 들어간 예문들입니다.


(1)

A: My teen son drove my car to crash.

    He is in hospital now.

B: What? What happened?

A: I don' know. He just said 'out of curiosity."

B: Oh, boy. Curiosity killed the cat.


A: 내 10대 아들 놈이 차를 몰다가 박았어.

    병원에 입원해 있다네.

B: 뭐라고? 무슨 일인데?

A: 몰라. 그저 ‘호기심 때문에’라고 하더군.

B: 저런, 호기심이 사람 잡았네.


(2)

A: You! What did you run on your credit car?

B: You'd better not know. Curiosity can kill cats.


A: 당신! 카드 뭐에 긁었어?

B: 모르는 게 나아. 알면 다쳐...


조금 더 보고 싶다고요?

"Curiosity can kill the cat."

 

그럼 여기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관용구 및 표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full of beans  (1) 2014.07.13
in the doldrums  (0) 2014.07.10
영어 속담 정리 (1-20)  (0) 2014.05.25
영어 격언 (거짓말에 대하여)  (0) 2013.11.24
every dog has his day  (16) 2013.06.06

have to do with 무슨 의미일까요?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have to do with’를 공부하겠습니다.


 

‘have to do with'는 관용표현으로서, 말이나 글에 자주 쓰입니다. 이 구문은 단어들만 봐서는 의미를 파악할 수 없습니다. 어쩔 수 없이 외워야 하는 것들이죠.


'have to do with‘는 기본형과 확장형이 있습니다. 


차례로 살펴 봅시다.



1. 기본형


have do with ~ : ~과 관련이 있다

                     (= be involved in, be connected with)


have to do with ~는 ~와 관련이 있다라는 뜻입니다.


(1) His ill ness has to do with smoking.

    (그의 병은 흡연과 관련이 있다)


(2) Sally's unhappiness has to do with her husband.

     (Sally의 불행은 관련이 있다/ 그녀의 남편과)



2. 확장형


‘have to do with’ 구문은 다음과 같이 의미가 확장됩니다.


(1) have MUCH to do with ~: ~과 많은 관계가 있다

(2) have SOMETHING to do with ~: ~과 약간 관계가 있다

(3) have ANYTHING to do with ~: ~과 어떤 관계가 있다

(4) have NOTHING to do with ~: ~과 아무 관계가 없다


각 구문이 들어간 예문을 봅시다.


(1) I don't have MUCH to do with her.

    나는 많은 관련은 없어/ 그녀와)


(2) I have SOMETHING to do with her.

    (나는 약간 관련이 있다/ 그녀와)

 

(3) Do I have anything to do with her?

    (내가 어떤 관계가 있냐고/ 그녀와?)


(4) I have NOTHING to do with her.

    (나는 전혀 관련이 없어/ 그녀와)

 


그리고 have to do with가 들어간 글을 한 번 읽어 봅시다. 



3. Reading



정의가 무슨 관련이 있는가/ 가난을 극복하는 것과?

법의 보호를 받는 사회에서는, 재원이 부족해서 법률 체계에 접근할 수 없는 사람들은 자주 거부당한다/ 이러한 보호장치들을. 추정컨대, 40억의 사람들이 전 세계적으로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법에 의해서 제공되는.

 


그럼 이상으로 'have to do with'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answer, reply 어떻게 다를까요?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answer, reply의 차이를 공부하겠습니다.




answer, reply


영어를 활용하는 단계에 들어서면 오히려 자신이 없어집니다. 특히 단어 부분에서 자신감 상실이 심해집니다. 무턱대고 외웠던 단어들이, 미묘한 의미차이 때문에 헷갈리기 때문입니다. 이번 시간에 살펴볼 answer, reply도 그러한 것들 중 하나입니다.


answer, reply는 둘 다 ‘대답하다’라는 뜻을 가집니다. 그러나 이 둘의 의미를 정확하게 구별하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 막연하게 사용할 뿐이죠.


사실 두 단어는 자주 혼용되기도 합니다. 

그래도, 기왕이면 정확하게 정리해서 사용합시다.


기본적으로 모든 reply는 answer입니다. 그렇지만 모든 answer가 reply는 아닙니다. 다시 말하면 reply는 answer의 부분집합이 됩니다. answer에 속하는 특별한 ‘대답’이 reply가 됩니다.


도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단어별로 설명하겠습니다.



1. answer : 대답


answer는 일상적인 ‘대답’을 나타냅니다. 상대가 묻거나 요구하는 것에 대하여 답하는 것입니다. 보통 answer의 대상은 일상적이고 단순한 정보입니다.


(1) I can't answer your question.

    (나는 답할 수가 없다/ 너의 질문에)


(2) Write your answer on the paper.

    (답을 써라/ 종이 위에)


answer는 ‘대답’이라는 단어의 대표선수입니다.



2. reply : 응답, 반박


위에서 보았듯이 reply는 answer에 속합니다. 일상적인 대답인 answer와는 달리, reply는 ‘비판이나 반대에 대한’ 응답입니다.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서, 상대의 말이나 주장에 대해 반박하는 것이 reply입니다.


재판을 생각해 봅시다.

증인은 검사나 변호사가 물어보는 것에 ‘대답만’해야 합니다. 단순하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므로 증인은 ‘answer’합니다.


이에 대하여 검사나 변호사는 상대의 주장에 그저 ‘answer’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상대의 주장을 신중하게 생각한 후 reply합니다.


예문을 봅시다.


(1) Witnesses simply answered to the question.

    (증인들은 단순히 대답만 했다/ 질문에 대해)

 

(2) The lawyer replied to the prosecutor's accusation.

    (변호사는 반박했다/ 검사의 고소에 대하여)

 


정리하면 answer는 일상적인 대답, reply는 곰곰히 생각해 보고 하는 ‘응답’이나 ‘반박’이 됩니다.

 

그럼 이상으로 answer, reply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토익 독학으로 공부하기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토익을 독학으로 공부하는 방법을 보겠습니다. 



다음 내용은 어느 토익 수험생님께 보내드린 답장입니다. 

편의상 제자 이름을 혼용(?)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상호님.


답장이 늦었습니다. 

주말에는 가족들 '시중'을 들어야 되거든요.

(여친과 결혼하시면 알게 될 겁니다. ㅎ)

 

상호씨 메일 받고 나니 'C언어' 공부하던 추억이 새록 거리네요.

시간나면 다시 공부해야 하는데 말입니다. 컴퓨터 언어가 꽤 재미있었거든요. 다시 '언어' 공부할 때는 제가 조언 부탁드려야 겠습니다.


상호씨 메일 안에 답이 있는 것 같은데요. (^ ^)

1. 기본 단어 공부.

2. 문법 개념 정리.

3. 듣기 공부.

4. 스피킹 공부

 


차례로 말씀드리겠습니다.



1. 기본 단어 공부


토익에 보면 'stapler, invoice'같은 'business 용어(?)' 등이 나옵니다. 그렇지만 절대다수는 평범한 기본단어들입니다. 'business 영어'라고 외계어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거든요. 그러니 기본 단어장을 하나 선택하신 이후, 반복해서 외우면 됩니다. 그런 다음에 토익 문제집등에 나온 '소위 토익용 단어'들을 공부하시면 됩니다.

 


2. 문법 개념정리


토익 문법은 수능만큼 어렵지 않습니다. (진짜입니다) 문장이 짧기 때문에 기본적인 내용을 물어 볼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니 먼저 개념을 이해하신 다음 간단한 예문을 통해 익히시길 바랍니다. 기초를 잊어 버리셨다면 시험에 많이 나오는 자동사와 타동사, 문장 5형식, 관계사 등을 먼저 공부하시는 것이 나을 것 같습니다.



3. 듣기 공부


우리 나라 영어 수험생들이 가장 약한 부분이 듣기입니다. 자막을 보면서 영화나 미드를 보다보니 '들린다'고 착각을 하게 됩니다.


실제로 듣기를 제대로 공부하려면 아주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참고로 저는 cnn을 '딕테이션'하는데 하루 2시간씩 1년 걸렸습니다. (저는 고려대학교 영어교육과를 졸업했습니다) 또한 듣기에는 상당한 독해 실력이 필요합니다. 간단히 말씀드려서, 스크립트를 눈으로 보고도 해석이 안되면 들리지 않습니다.


그러니 짧은 시간에 완벽하게 듣기하려는 생각은 지양하시는 것이 낫습니다. 그것보다는 점수를 올리겠다는 생각으로 접근하셔야 합니다.


제가 추천하는 듣기 공부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토익 듣기 문제 받아쓰기

점수를 올리는데 가장 효율적입니다. 토익 듣기 모의고사를 1회분 선택하신 다음 '모든 문제'를 받아쓰기 하시면 됩니다. 문제마다 더이상 안들릴 때까지 반복해서 들으면서 받아 쓰기를 해야 합니다. 무식하지만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토익에 나오는 듣기 패턴을 읽힐 수 있기 때문입니다. 1회만 받아쓰기 해도 웬만한 것들은 들리게 됩니다.


듣기가 너무 힘들면 이어폰을 끼는것이 도움이 됩니다. 스피커 보다는 이어폰이 잘 들리거든요. 반복할 때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쓰시면 됩니다. 무료로 배포되는 '골드 웨이브'나 어둠의 경로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사운드 포지'가 아주 좋습니다. 시각적으로 구간반복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스마트 폰의 구간반복은 시간 낭비가 큽니다.


이렇게 공부한 듣기 문제를 스마트 폰이나 mp3에 넣어서 '계속' 들으면서 외우시길 바랍니다. 스피킹에도 많은 도움이 됩니다. 한 번 듣고 버리면 남는 것이 없습니다.


(2) 미드 시청

좋아하시는 미드를 아무거나 '영어 자막만' 켜고 시청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 내용이 안들어 오면 먼저 우리말 자막을 보시고 내용을 파악하시면 됩니다. 꼭 영어 자막을 켜 놓고 보시길 바랍니다. (미드 폐인이 될 염려가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ㅎ)


 

4. 스피킹 공부


무리한 욕심을 내시 마시고 패턴을 외우시길 바랍니다. 듣기가 스피킹보다 먼저입니다. 들리지 않으면 말할 수 없습니다. 토익 문제집등에 보면 기본 패턴이 있습니다. '소리내서' 여러번 읽은 다음 외우세요. 말을 시작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겁니다.


공부는 영역별로 함께 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그럼 열심히 공부하셔서 목표 이루시길 바랍니다.  


sincerely, 송샘



이상으로 토익 독학으로 공부하기에 대한 글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공부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빈칸 추론 100제  (0) 2014.05.20
영어 듣기 공부법  (0) 2013.09.30
공부비법 (내신대비)  (4) 2013.09.03
영어영역 독해 (수능)  (4) 2013.07.12
영어문법공부 제대로 합시다!  (3) 2013.07.04

hard, difficult 구별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hard, difficult를 보겠습니다.


난이도

★★★☆☆


공부할 내용입니다.


1. hard, difficult : 상호교환 (O)

2. hard, difficult : 상호교환 (X)


hard, difficult는 서로 바꾸어 쓸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차례로 살펴 봅시다. 



1. hard, difficult : 상호교환 (O)


'어려운, 힘든‘을 나타낼 때는 hard와 difficult를 서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hard, difficult'는 의미차이가 없습니다. 단지 hard는 비격식체, difficult는 격식체라는 것만 다릅니다. 다시 말하면, 일상적인 상황에서는 ’hard'를, 공식적인 상황에서는 ‘difficult'를 주로 씁니다.


두 단어를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1) hard : 이해하기 힘든, 경제적으로 힘든

    hard는 ‘정신적으로 이해하기가 힘들거나, 경제적으로 힘든 상황’을 표현합니다.

 To answer the question was really hard.

    (그 질문에 답하는 것은 정말 어려웠다)

To say no to her is really hard.

    (그녀에게 '아니오'라고 하는 것은 정말 어렵다)

③ hard times (어려운 시기)  (hard = difficult)


hard가 들어간 문장은 '가주어(it)'로 시작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to 부정사’가 주어 자리에 있으면 웬지 ‘무거운’ 문장이 됩니다.


①-1. It is hard to answer the question.

      (그것은 어렵다/ 그 질문에 답을 찾기가)

②-1. It is hard to say no to her.

      (그것은 어렵다/ 그녀에게 '아니오'라고 하는 것은)


(2) difficult : 이해하기 어려운, 힘든(힘겨운)

    difficult 또한 ‘정신적으로 이해하기 힘들거나, 경제적으로 힘든 상황’을 표현합니다.

To answer the question was really difficult.

    (그 질문에 답하는 것은 정말 어려웠다)

To say no to her is really difficult.

    (그녀에게 '아니오'라고 하는 것은 정말 어렵다)

③ difficult times (어려운 시기)  (difficult = hard)


difficult가 들어간 문장에서도 ‘to 부정사 주어’보다는 ‘가주어(it)'로 시작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①-1. It is difficult to answer the question.

      (그것은 어렵다/ 그 질문에 답을 찾기가)

②-1. It is difficult to say no to her.

      (그것은 어렵다/ 그녀에게 '아니오'라고 하는 것은)


위 예문에서 보듯이, ‘hard, difficult'가 ‘어려운’일 때는 서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2. hard, difficult : 상호교환 (X)


hard difficult를 서로 바꾸어 쓸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1) 사람과 함께 쓸 때

    ‘difficult’가 사람과 함께 쓰일 때는, ‘까다로운, 까탈스러운’이라는 뜻을 갖습니다.

① The old man is difficult.

    (직역 : 그 노인은 어려운 사람이다)

    (의역 : 그 노인은 까탈스럽다)


‘hard'가 사람과 함께 쓰일 때는, ’냉혹한‘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② The old man is hard.

    (그 노인은 냉혹하다)

당연한 말이지만 ①,②번에서 'difficult, hard'는 서로 바꾸어 쓸 수 없습니다. 의미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2) 사물과 함께 쓸 때

    hard는 사물과 함께 쓰여서, ‘단단한’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① The concrete floor is very hard.

    (콘크리트 바닥은 매우 단단하다)


①번에서 hard는 ‘difficult'로 바꾸어 쓸 수 없습니다.

①-1. The concrete floor is very difficult. (x)



오늘 공부한 것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 hard, difficult 상호교환 (O) : ‘어려운, 힘든’ 일 때는 바꾸어 쓸 수 있다.

■ hard, difficult 상호교환 (X) : '까다로운, 냉혹한, 단단한‘ 일 때는 바꾸어 쓸 수 없다.

 

그럼 이상으로 hard, difficult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least, not the least,  not in the least 의미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least 관련 표현을 보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1. least

2. not the least

3. not in the least


위 표현들은 자주 보는 것들이므로 잘 정리해 두어야 합니다. 

항목별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1. least


least : (한정사, 부사) 가장 적은

least는 little의 최상급으로서 크기·양·정도 등이 ‘가장 적은’ 것을 나타냅니다. 최상급이므로 정관사 ‘the'와 함께 사용합니다.


(1) I don't have the least idea what to do.

    (나는 전혀 알지 못한다/ 무엇을 할 지)

(2) He gave the least contribution to the project.

    (직역: 그는 가장 적은 공헌을 했다/ 그 계획에)

    (의역: 그는 별 공헌을 하지 못했다/ 그 계획에)

(3) It's the least we can do to help you.

    (이것이 최소한이다/ 우리가 너를 돕기 위해 할 수 있는)


예문에서 보듯이 별로 어렵지 않습니다. 최상급 least가 의미 그대로 쓰이기 때문입니다.




2. not the least


not the least

(1) 강세에 따라 의미가 달라짐

not the least는 보통 명사나, 형용사 앞에서 의미를 강조합니다. 주의할 것은, 같은 문장이라도 강세의 위치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① not' the least : (not을 강조) 적지않은                        

  ex) He showed [not]′ the least interest in my idea.

      (그는 상당한 ‘적지 않은’ 흥미를 보여주었다/ 내 아이디어에)

      (부정어를 강조하므로 ‘적지 않은’으로 해석합니다)


 not the least : (least를 강조) 전혀 ~않다

 He showed not the [least]′ interest in my idea.

    (그는 ‘조금도’ 흥미를 보여주지 않았다/ 내 아이디어에)

    (least를 강조해서 ‘전혀 흥미가 없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①번과 같이 ‘not'을 강조하는 것보다는 ②번과 같이 ’least'를 강조하는 것이 더 일반적입니다.


(2) ‘조금도 ~않다’

    'not the least'는 보통 'least'를 강조하여 ‘조금도 ~않다’라는 표현으로 쓰입니다.

① No, I'm not the least surprised.

    (아냐, 나는 조금도 놀라지 않았어)

② The rumor was not the least true.

    (그 소문은 조금도 사실이 아냐)



3. not in the least


not in the least : (부사) 전혀 ~않다, 조금도 ~않다

                      (부정적인 뉘앙스)

‘not in the least'는 부정적인 의미로서, ’전혀 ~않다‘라는 뜻입니다. 'not in the least'는 문장에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1) Really mom, I'm not in the least sleepy.

    (정말이에요 엄마, 저 조금도 안 졸려요)

(2) I'm not in the least interest in you.

    (난 너에 대해 조금도 관심이 없어)

(3) A: Do you mind opening the window?

        (창문 열면 신경 쓰이시겠어요?)

    B: No, not in the least.

        (아니요, 전혀요)



오늘 공부한 least 관련 표현을 간단히 정리해 봅시다.


1. least : 가장 적은

2. not the least : 조금도, 상당한

3. not in the least : 전혀 ~ 않다.


그럼 이상으로 least 관련 표현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last but not least, not least of which 관용표현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least 관용 어구를 보겠습니다.

 

난이도

★★★★


공부할 내용입니다.

1. last but not least

2. not least of which A


최상급 'least(가장 적은)‘를 포함하고 있는 이 표현들은 자주 사용됩니다. 그렇지만 영어권 네이티브들도 어려워 하는 것들입니다. 어려운 표현들이라, 의미를 벗어나지 않은 선에서 의역을 했습니다.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차례로 살펴 보겠습니다.



1. last but not (the) least 


last but not (the) least : 아주 중요한

                               (=last but by no means least)


(1) 의미

'last but not least'는 연극에서 온 말입니다. 무대에서 배우를 소개할 때는 주연배우가 맨 나중에 등장합니다. 주인공은 마지막에 등장하는 것이죠. 당연히, 마지막에 등장한 주인공이 ‘아주, 또는 가장 중요한’ 사람입니다. 그래서 이 표현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게 되었습니다.


last but not least : (직역) 마지막이지만 결코 가장 적게 중요한 것은 아닌

                        (의미 1) 마찬 가지로 중요한

                        (의미 2) 아주 중요한

                        (의미 2) 가장 중요한


흥미롭게도 영어권 네이티브들은 ‘의미 1, 2’로, 비영어권 화자들은 ‘의미 3’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아주 중요한’이라고 쓰는 편입니다)


정관사(the)를 사용해서 ’last but not the least'로 쓰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주로 정관사 없이 사용됩니다.


(2) 예문

‘last but not least'는 주로 연설에서 사용됩니다. 즉, 약간 ’과장‘하는 뉘앙스를 가집니다. 일상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약간 ’무거운‘ 말입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① Joe, you are last but not least.

    (죠, 너가 마지막이지만, 마찬가지로 중요해)


Last but not least, I'm love you, Sue!

    (아주 중요한 것인데, 난 너를 사랑해, 수!)


Last but not least, It's the matter of money, Jack.

    (가장 중요한 것은, 돈의 문제라네, 잭)


예문에서 보는 것처럼 'last but not least'는 독립적으로 쓰일 수 있습니다.

 


2. not the least of which A


‘not the least of which A' 역시 상당히 어려운 구문이므로 잘 보셔야 합니다.


(1) 의미

'not the least of which'는 ‘not the least'와 ’관계대명사(of which)가 결합된 표현입니다. 정관사 없이(not least of which)도 쓰이지만, 보통은 정관사와 함께 사용됩니다.


'not the least of which A‘는 ’A역시 다른 것들만큼 중요하다‘라는 뜻입니다. 의미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not the least of which A : (직역) 결코 A가 가장 적게 중요한 것은 아니다.

                                 (의미1) A도 아주 중요하다

                                 (의미2) A가 가장 중요하다


영어권에서는 ‘의미 1’로 쓰입니다. 그러나 영한사전에는 ‘의미 2’로도 나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아주 중요한’ 이라고 쓰고 있습니다)


(2) 예문

① There are many important things is life, not the least of which is health.

    (많은 중요한 것들이 인생에는 있다/ 그 중에서 건강도 다른 것 못지않게 중요하다)

     ('of which'는 'many important things를 받는 관계대명사입니다. 해석은 '그 중에서‘입니다)


② There are several reasons to learn English, not the least of which is to get a job.

    (몇 가지 영어를 공부하는 이유가 있다, 그 중에서 직업을 구하는 것도 중요한 이유다)

     ('of which'는 ‘several reasons'를 받는 관계대명사입니다. 해석은 역시 ’그 중에서‘가 됩니다)



지금까지 공부한 내용을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1. last but not least : 아주 중요한

2. not least of which A: A도 아주 중요하다


그럼 이상으로 least 관용표현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for the most part, make the most of 활용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most’ 관용 표현을 보겠습니다.



공부할 내용입니다.

1. for the most part

2. make the most of


'for the most part', ‘make the most of'는 ’최상급 most'가 들어간 관용 표현들입니다. 회화에는 자주 쓰이지 않지만, 독해에 자주 나오기 때문에 잘 알아 두길 바랍니다.



각 표현별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for the most part 


for the most part : (부사) 대개, 주로, 보통

                         (=generally, usually, in general, mostly, etc)


'for the most part'는 ‘대개, 주로’라는 뜻으로 사용되는 부사입니다.


(1) For the most part, he is very kind.

    (대개, 그는 친절하다)

(1-1) For most part, he is very kind. (x)

(1-2) Generally he is very kind.

       = Usually he is very kind.

'for the most part'에서는 'most' 앞에 정관사 ‘the'를 써야합니다. ’most'가 최상급이기 때문입니다. (1-1)과 같은 표현은 쓰이지 않습니다.

회화에서는 보통 'for the most part' 대신에 (1-2)와 같이 'generally, usually'를 씁니다.


예문을 더 보겠습니다.

(2) He ,for the most part, talks about money.

    (그는, 주로, 돈 얘기를 한다)

(3) Mr. Song's class is boring, for the most part.

    (송샘의 수업은 지루하다, 대개는)

'for the most part'는 부사(구)이기 때문에 문장에서 자유롭게 위치할 수 있습니다. 'make the best of~'도 같은 뜻이지만, ‘make the most of'가 더 많이 사용됩니다.



2. make the most of


make the most of : (동사) ~을 최대한 이용(활용)하다.

                         (= make the best of)


(1) 동사구 'make the most of'

    'make the most of'는 동사이므로 다음과 같은 활용이 가능합니다.

① 목적어를 취한다.

    ex) Make the most of your time. (your time 목적어)

        (시간을 잘 활용해라)

② ~ing를 붙일 수 있다.

    a. Making the most of your time is your life goal. (~ing 동명사)

       (당신의 시간을 활용하는 것이 당신의 인생 목표이다)

    b. Making the most of his time, he could achieve a great success. (~ing 분사)

       (그의 시간을 잘 활용하면서, 그는 성취할 수 있었다/ 커다란 성공을)

③ ~ed 형태로 사용됩니다.

    ex) Generally his time is made the most of.

        (보통, 그의 시간은 잘 활용된다)


일반적으로 ‘make the most of' 형태가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2) 예문

    'make the most of'가 들어간 예문을 몇 개 더 보겠습니다.

① Make the most of yourself.

    (자신을 최대한 활용해라)

    (가능성을 실현해라)

② Make the most of the today because nobody knows tomorrow.

    (오늘을 최대한 활용해라/ 내일은 누구도 모른다)_

③ We're in vacation so let's make the most of it.

    (우리는 휴가중이다/ 최대한 활용해 보자)




그럼 이상으로 'for the most part, make the most of‘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get the better of, get the best of

안녕하세요, 송샘 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get the better of, get the best of'를 보겠습니다.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의미

2. 활용


'get the better of'는 관용어구로서, 주로 사람과 함께 사용됩니다. 여기서 better는 명사로서 ‘더 좋은 것(superiority)'이라는 뜻을 갖습니다. ’더 좋은 것을 얻다‘에서 ’능가하다‘라는 의미가 파생되었습니다.

 

항목별로 살펴보겠습니다.



1. 의미


(1) 경쟁에서 누군가를 이기다, 능가하다

    (=defeat, overcome, beat, win over a victory)

'get the better of 사람‘은 ’사람을 이기다‘는 뜻입니다. 특별히 어려운 의미는 없으므로 예문만 보기로 하겠습니다.


① He got the better of me in tennis.

    (=He defeated me in tennis)

    (그가 나를 이겼다/ 테니스에서)


② We fought hard, but the opponent got the better of us.

    (우리는 열심히 싸웠다, 그러나 상대가 우리를 제압했다)

 

(2)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다.

감정이 ‘get the better of 사람’의 주어로 올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감정이 사람을 이기다’ 즉,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다’라는 뜻이 됩니다.


① Anger got the better of me. Finally I blew it up.

    (화가 나를 이겼다. 마침내 나는 폭발했다)

② Curiosity got the better of her ,and she opened the box.

    (호기심이 그녀를 이겼다, 그래서 그녀는 상자를 열었다)




2. get the best of


'get the better of'의 동의어로는 다음과 같은 말들이 있습니다.


[gain the better of, have the better of, get the best of]


'gain the better of, have the better of'는 잘 안 쓰이는 표현들 입니다. 그러므로 ‘get the best of'만 보겠습니다.


get the best of : (완벽하게) 이기다, 제압하다

'get the best of'는 ‘get the better of'와 비슷한 의미를 지닙니다. 하지만 최상급 ’best'가 있으므로 ‘완벽하게, 흠잡을 데 없이’라는 뜻을 가지게 됩니다.


(1) Harvard got the best of Yale in football.

    (하버드는 예일을 완벽하게 제압했다/ 풋볼에서)


(2) Curiosity got the best of me and I opened the spam mail.

    (호기심에 완전히 굴복해서 나는 열었다/ 스팸메일을)




3. 사물도 올 수 있음.


'get the better of, get the best of' 다음에는 사물도 올 수 있습니다. 의미는 ‘~에서 이기다’가 됩니다.


(1) I got the better of the exam.

    (직역: 나는 시험을 이겼다)

    (속뜻: 시험을 통과했다)


(2) She always gets the best of an argument.

    (직역: 그녀는 논쟁을 제압한다)

    (속뜻: 그녀는 항상 논쟁에서 이긴다)

 


그럼 이상으로 ‘get the better of, get the best of’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well off, better off, badly off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well off, better off를 보겠습니다.


난이도

★★★☆☆


공부할 내용입니다.

1. well off

2. better off


well off, better off는 형편이나 사정이 좋은 것을 나타냅니다. 자주 쓰이는 표현이기 때문에 잘 정리해 두길 바랍니다. 


차례대로 살펴보겠습니다.



1. well off


well off는 주로 ‘재정상태’를 표현하는데 사용됩니다. 'off'라는 제거·박탈 전치사 때문에 부정적인 의미라고 생각하곤 합니다. 그러나 well-off는 긍정적인 뉘앙스로, 부유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1) well off VS rich

well off는 ‘먹고 사는데 지장이 없을 정도로 부유한 것’입니다. 이에 대하여 rich는 '모든 사람이 다 알정도로 부자’입니다.


well off : 부유한, 먹고사는데 지장 없는

① I may not be rich, but I'm well off

    (나는 부자는 아닐지 모르지만, 먹고사는데 지장은 없다)

② He is well off. He owns his house and drives nice cars.

    (그는 잘 살아. 집도 있고 차도 괜찮아)


badly-off는 well-off와 반대 의미를 가집니다.


badly off : (경제적으로) 넉넉지 못한, 상황이 나쁜

③ They lost their job. So they are badly off.

    (그들은 일자리를 잃었다. 그래서 그들은 상황이 안 좋다)


rich : 부자인

① She is rich. She earns over a million dollars.

    (그녀는 부자다. 연봉이 백만 달러가 넘어)

② He is from a rich family. His dad is a chaebol.

    (그는 돈 많은 집안 출신이야. 아빠가 재벌이거든)


(2) well off for : (영국식) 충분한, 많은

    (=enough)

'well off for'는 영국식 표현으로서 ‘~이 충분한’이라는 뜻입니다. 그렇게 많이 쓰이는 표현은 아니니 참고로 알아 두길 바랍니다.

① Man U is well off for good players.

    (맨체스터에는 많다/ 좋은 선수들이)

② Economy is bad. So jobs are not well off for.

    (경제가 안 좋다. 그래서 일자리들이 많지 않다)



2. better off : 형편이 더 나은, 더 부유한

(best off)


better off는 well-off의 비교급입니다. 많이 쓰이는 표현으로, 두 가지 상태를 비교하는데 사용합니다.

 

(1) They are well off.

    (그들은 잘 산다)

(2) They are better off than us.

   (그들은 더 잘 산다/ 우리보다)

(1)번은 단순하게 상태를 묘사하고 있기 때문에 well-off를 썼습니다. 그렇지만 (2)번은 그들과 우리의 상황을 비교하기 때문에 better-off를 썼습니다.

 

위에서 보듯이 better off는 상황을 비교할 때 사용합니다.


(3) We are better off because our kids finished their college.

    (우리는 나아졌다/ 애들이 대학을 마쳤기 때문에)

(4) I'm better off in my new job. (better salary, better working condition, etc)

    (나는 더 나아졌다/ 내 새 직장에서)

 

best-off는 well-off의 최상급입니다.

(5) You are best off to marry her.

    (너한테는 최고로 좋아/ 그녀와 결혼하는 것이)


 


그럼 이상으로 ‘well off, better off'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know better than to do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know better' 구문을 보겠습니다.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1. know better than to do

2. know better than that

3. know better


'know better‘ 구문은 위와 같이 3가지로 형태로 사용됩니다. 의미는 ’잘 알고 있다, ~할 정도로 어리석지는 않다‘입니다. 차례로 살펴 보겠습니다.



1. know better than to do

(~할 만큼 어리석지는 않다, 철이 들다)


이 구문에서 주의할 것은 다음 두 가지입니다.


(1) 'know better than to‘ + 동사원형

'know better than to‘ 구문에서 'to'는 'to 부정사입니다’ 그러므로 to 다음에는 ‘동사원형’이 와야 합니다.


ex) I know better than to smoke.

 → I know better than to smoking. (x)

    (나는 어리석지 않다/ 담배 피울 정도로)


예문에서 보듯이, to 다음에 (동)명사는 올 수 없습니다. to는 전치사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2) 활용

'know better than to do' 구문은 직역하면 ‘잘 알고 있다’가 됩니다. 그렇지만 실제 뉘앙스는 ‘~할 정도로 어리석지는 않다’입니다. ‘어리석지 않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① She knows better than to believe a playboy.

    (그녀는 어리석지 않다/ 바람둥이를 믿을 정도로)


①번은 같은 뉘앙스를 지닌 다양한 표현으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①-1. She definitely doesn't believe a playboy.

       (그녀는 결코 믿지 않는다/ 바람둥이를)

①-2. She is not so foolish to believe a playboy.

       (그녀는 그렇게 어리석지 않다/ 바람둥이를 믿을 정도로)

①-3. She is not such a fool to believe a playboy.

       (그녀는 그렇게 바보가 아니다/ 바람둥이를 믿을 정도로)

①-4. She is wise enough not to believe a playboy.

       (그녀는 충분히 현명하다/ 바람둥이를 믿지 않을만큼)


같은 의미의 표현을 모두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그저 이런 뉘앙스라는 정도로 알고 있으면 됩니다.



2. know better than that(this).

=know better

(그렇게 어리석지는 않다)


'know better than that(this)'은 대화에서 많이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여기서 ‘that(this)'은 대명사입니다.


다음 상황을 봅시다.


(1) 엄마와 아들

    (아들 Jack이 방을 카오스로 만들어 버렸습니다. 엄마가 버럭 합니다)

Angry mom : Jack. You know better than THAT. Clean up the mess, now!

                 (잭. 너 그 정도로 멍청하지 않잖아. 당장 치워!)

여기서 that은 ‘방을 어지른 것’을 가리키는 대명사입니다.


(2) 남편과 아내

    (남편의 화려한 카드 청구서에 아내가 열 받았습니다)

Angry wife : Dear. You know better than this. Cut the plastic, now!

this는 화려한 카드 사용을 가리킵니다.

                (자기야, 당신 이 정도로 멍청하지 않잖아. 당장 카드 잘라!)


많이 쓰이는 표현이므로 잘 익혀 두길 바랍니다.




3. know better

(철들다)


‘know better than that(this)’은 'know better'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ex) 바람둥이와 나

    (바람둥이에게 실연당해 좌절하고 있습니다)

Frustrated Me: I deserve this. I must know better.

                   (난 당해도 싸. 더 철들어야 해)



그럼 이상으로 'know better'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숙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get the better of, get the best of  (0) 2014.03.23
well off, better off, badly off  (0) 2014.03.21
영어 구문 정리 (31-80)  (4) 2013.11.29
영어 구문  (4) 2013.08.11
[all but] [~을 제외하고]  (1) 2013.08.06

remind, remember, recall, recollect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기억’에 관한 단어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



remind, remember, recall, recollect


기억을 나타내는 영어 단어들로는 remember, remind, recall, recollect 등이 있습니다. 각 단어의 의미를 간단히 정리해 봅시다.


▪ remember : 기억하다

▪ remind : 기억나게 하다

▪ recall : 기억해 내다, 상기하다

▪ recollect : 회상하다.


이들 단어들은 ‘기억하다’와 ‘기억나게 하다’를 기준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기억하다 : remember, recall, recollect

기억나게 하다 : remind



1. remember : 기억하다


(1) remember : 타동사, 자동사

remember는 ‘이전의 사실을 생각해 내는’ 가장 일반적인 단어입니다. remember 다음에는 명사, 구, 절이 모두 올 수 있습니다.

① remember + 명사

    ex) I remember the meeting place.

        (나는 기억한다/ 만날 장소를)

② remember + 구

    ex) I remember to meet where.

        (나는 기억한다/ 만날 곳을)

③ remember + 절

    ex) I remember where we should meet.

        (나는 기억한다/ 어디서 만날지)


(2) remember + 부정사, remember + ~ing

remember 다음에 부정사가 올 때와 동명사가 올 때는 의미가 달라집니다. 아주 중요한 용법이니 따로 설명했습니다.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송성태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remember, forget + to부정사, 동명사 (예문 설명)



2. remind : 기억나게 하다


(1) remember VS remind

    remember는 ‘주어가 무엇인가를 기억하다’는 의미입니다. 그런데 remind는 ‘주어가 목적어에게 무엇인가를 기억나게 하다’라는 의미입니다.

① I remember your name.

    (나는 당신의 이름을 기억합니다)

② I don't remember your name. Can you remind me please?

    (나는 당신의 이름을 기억하지 못합니다. 한 번 더 말씀해 주시겠습니까?)


(2) remind A of B, remind A to do ~

    remind는 자주 ‘전치사 of’나 ‘to 부정사’와 함께 사용됩니다.

③ remind A of B : A에게 기억나게 하다/ B를

    ex) She remind me of her mother.

        (그녀는 나에게 그녀의 엄마를 생각나게 한다)

④ remind A to do : ~할 것을 기억나게 하다

    ex) Remind me to send an e-mail to him please.

         (나에게 상기시켜주세요/ 그에게 e-mail 보내는 것을)


(3) remind + 전치사, 절

   물론 remind는 다음에는 of 이외의 다른 전치사가 올 수 있고, 절을 쓸 수도 있습니다.

⑤ remind A about B : A에게 기억나게 하다/ B에 대하여

  ex) X : Don't forget to phone your parents.

           (잊지 마라/ 부모님께 전화하는 것을)

      Y : Remind me about it tomorrow, O.K?

           (내일 한 번 더 얘기해 줄래?)


⑥ remind A that s v : A에게 기억나게 하다/ that 이하를

   ex) I have to remind you (that) you are already late.

       (이건 말해야겠는데/ 넌 이미 늦었어)

 


3. recall : 기억해 내다


recall에는 ‘사실을 기억해 내려고 노력하다’라는 의미가 들어 있습니다. recall은 remember와 의미가 같지만, 격식을 갖춘 상황에서 사용합니다.


(1) 기억하려고 노력하다.

    ex) I recall exactly where the accident took place.

        (나는 정확히 기억한다/ 어디서 그 사고가 발생했는지)


(2) 격식을 갖춘 상황에서 사용.

    ex) We distinctly recall warning you of all the side effects of this medicine.

         (우리는 분명히 당신에게 경고했습니다/ 이 약의 모든 부작용에 대하여)



4. recollect : (애를 써서) 기억해 내다, 회상하다


recollect 역시 격식을 갖춘 상황에서 쓰이며, 기억하려고 애를 쓰는 것입니다.

(1) 기억하려고 노력하다

    ex) I can't recollect for the life where I put my key.

        (나는 절대 기억해 낼 수 없어/ 키를 어디 두었는지)


이 경우에 recollect는 recall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2) (과거를) 회상하다

    ex) Adults recall memories of childhood when they watch their old photos.

         (어른들은 어린 시절을 회상한다/ 그들이 자신들의 오래된 사진을 볼 때)

 


그럼 이상으로 remember, remind, recall, recollect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단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swer, reply 어떻게 다를까요?  (2) 2014.04.25
hard, difficult 구별  (9) 2014.04.05
영어 필수어휘  (2) 2014.02.01
영어 접미사 정리  (4) 2014.01.31
ingenious, ingenuous  (2) 2014.01.30

"우정에 관하여"

"On  Friendship"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영어로 된 수준 높은 글 한편을 읽어 보겠습니다.

A. Clutton-Brock (1868-1924)이 쓴 'On Friendship'이라는 글입니다. 



내용이 어려우니 우리말 해석을 먼저 읽고 영문을 보시길 바랍니다.


enjoy!


필요하신 분들을 위해 원문  파일을 첨부합니다.


on friendshiiip.hwp


“우정에 관하여”.hwp


“우정에 관하여” (해석)


01

우정은 이성위에 존재한다, 왜냐하면, 비록 당신이 미덕을 친구에게서 찾는다고 해도, 당신이 미덕을 발견하기 전부터 당신의 친구였기 때문이다. 우정이란 우리가 줘야만 하기 때문에 주는 것이다; 우정을 미덕에 대한 보상으로 주는 것은 우정에 가격을 매기는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하는 사람은 전혀 우정을 주지 못한다. 만약 당신이 친구를 선택하는 이유가 당신이 덕이 있기 때문에 덕이 있는 친구를 원한다면, 당신이 상업적인 이유 때문에 친구를 선택하는 것만큼이나 당신은 진정한 우정에 가까이 갈수도 없다. 게다가, 당신이 누구이기에 우정에 가격을 매기는가? 그가 어떤 사람이던지 충분히 친구를 가질 신성한 힘을 가지고 있으며, 그는 그러한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스스로의 친구를 선택할 수 있어야만 한다. 왜냐하면, 만약 당신이 미덕을 가진 사람들을 당신의 친구로 선택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들이 당신을 선택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진정, 우정은 계산적인 선택이 없어야 자랄 수 있다. 그것은, 마치 잠처럼, 당신이 그것에 대하여 생각하지 않을 때 온다; 그리고 당신은 두려움 없이, 우정이 왔을 때에는 감사해야 한다.

 

 

02

그래서 우정이 무엇인지 아는 사람은 절대 친구를 포기하지 않는다. 비록 그 친구가 존경받을 자격이 없음이 드러났더라도. 그가 친구를 포기하는 유일한 이유는 친구가 더 이상 좋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러한 일이 일어나면, 그는 인간이기에 어쩔 수 없는 애정의 부족을 탓하며 자신을 비난해야 한다. 결코 가치 없다고 드러난 친구를 비난해서는 안 된다. 어떤 사람이 당신에게는 친구가 될 자격이 없다고 말하는 것은 잔인한 짓이다. 이것은 마치 어떤 여자에게, 당신이 그녀를 더 이상 사랑하지 않게 되었을 때, 그녀는 당신의 사랑을 받을 자격이 없다고 말하는 것과 같다. 우정과 사랑에서 우리는 항상 겸손해야 한다, 왜냐하면 우리는 아낌없는 선물이 우리에게 주어졌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러한 겸손함을 잃는 것은-우정이나 사랑을 잃음으로써-부끄러워해야 마땅한 상황에서 자부심을 느끼는 것이다.

 

 

03

우리는 판단하고 벌하는 것을 정치적으로 제도화 시켜 놓았다. 이러한 제도는 우리가 살아가기 위하여 우리에게 강제된 것이다; 그러나 우정이 진정한 우정이 되려면 이러한 판단이나 형벌이 우리의 삶의 일부라는 것을 가르쳐 주어야만 한다. 그들은 우리 삶의 일부이어야만 한다: 우리는 사람들에게 돈을 주고, 심홍색 옷과 가발을 입혀서, 판사석에 앉아 다른 사람들을 판단하게 한다. 그래서 우리 역시 이러한 판단을 우리 스스로 내리고 싶어 한다, 비록 아무도 우리에게 그렇게 하라고 하지 않아도. 오직 우정 속에서만, 우리는 판단이라는 것이 얼마나 냉혹한 것이며 판단을 즐거워하는 것이 얼마나 멍청한 것인가를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우리는 이러한 따뜻함을 긍정적이고 풍요한 우리의 본성이라고 인식하는 반면에, 판단을 내리는 것은 형편없는 것이라고 인식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예술작품을 비판하는 것이 그것을 더 이상 경험하지 못할 때 시작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가 친구를 비판하는 것은 더 이상 우정을 경험하지 못하고, 우리의 마음이 더 이상 최고의 친밀함을 느끼지 못할 때 시작된다. 그러나 이러한 비판은 해롭지 않다, 만약 우리가 그것이 자연스러운 반응이라는 것과, 따뜻함 뒤에 따르는 냉혹한 발작이라는 것을 알고, 만약 우리가 냉혹함이 따뜻함보다 더 현명한 것이 아니라는 것만 알고 있다면.


04

어떤 사람들은 그들의 친구들이 완벽하다는 환상이 없다면 친구가 될 수 없다, 그리고 그들의 환상이 지나가면 우정도 끝난다. 하지만 진정한 우정에는 환상이 없다, 왜냐하면 그것은 인간의 본성 중에서 불완전한 부분을 넘어서며, 그렇게 하는 도중에 모든 것들을 당연시 여기게끔 한다. 진정한 우정에서는 자신이 다른 사람보다 낫다는 생각도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렇게 생각하는 것은 이기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어떤 사람이 당신의 친구인 것은, 그가 뛰어나서가 아니라, 뭔가가 당신의 본성에서 그의 본성으로 열려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것은 당신과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 사이에서는 닫혀 있는 것이다. 당신과 그는 서로를 이해한다, 다음 구절처럼; 당신과 그의 관계는 무수한 실패들 중에서 드문 성공이다, 그리고 만약 당신이 그 성공을 자랑스러워한다면, 당신은 그것이 실패하는 것을 부끄러워해야 한다.

 

 

05

우정에서 가장 치명적인 것은 이러한 이기심인데, 우정을 친구의 우월성 때문이라고 설명하는 것이다. 만약 당신이 그렇게 한다면 당신은 어떤 집단의 구성원이 된다. 그들은 모두 서로 서로의 장점을 주장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자신들의 장점을 암시한다. 그리고 그들은 자신들이 받는 것보다 더 주지 않으면 불안해한다. 왜냐하면 만약 당신이 당신 친구의 미덕을 강하게 주장한다면, 당신은 그가 당신의 미덕을 강하게 주장하길 기대하기 때문에, 당신은 경쟁하게 된다. 그렇게 된다면 우정은 휴식이 아니라 짐이 되고 만다. 비판은 그래서 배신이 되고 만다, 왜냐하면 그것은 당신이, 우정이 기초한다고 생각해온 우월성을 의심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월성이 전제되지 않을 때는, 비판은 단지 자연스러운 호기심을 발휘하는 것이 된다. 왜냐하면 어떤 사람이 당신의 친구라면, 그리고 당신이 그를 아주 좋아하고 잘 안다면, 당신은 그에 대해 호기심을 갖기 때문이다. 당신은 실제로 그에 대한 전문가이다, 그리고 당신은 그러한 전문지식을 보여주고 싶어 한다. 그리고 당신이 그에 대한 전문가인 것은 우정의 따뜻함 속에서 그의 변장이 녹아내리고, 그는 자신을 그대로 당신에게 보여주기 때문이다. 진정으로 그것이 우정의 시험이요 기쁨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실제보다 더 나쁘게 생각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더 좋게 보이려고 하지 않는다. 우리는 미덕이 우정을 가져오지 않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그것을 우리의 악덕 때문에 잃어버릴까 두려워하지도 않는다. 우리가 도달한 이 축복받은 상태는 인생에서 무엇보다 천국에 가깝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애정이 판단에 좌우되지 않는다; 그리고 우리는 신과 같이 된다, 그리고 우리는 용서할 필요조차 없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저 알기 때문이다. 그것은 드믄 상태이고, 절대 완벽해 질 수 없다. 우리가 그것에 도달할 있는 유일한 방법은 우정이 무엇인지 알고, 진정으로 그것을 갈망하며, 친구를 존중하고 그가 친구를 선택하는 기준을 궁금해 하지도 말고, 그가 진정이라면 어떠한 악덕이라도 비난하지 않는 것이다.

 



On Friendship (원문)

 


Friendship is above reason, for, though you find virtues in a friend, he was your friend before you found them. It is a gift that we offer because we must; to give it as the reward of virtue would be to set a price upon it, and those who do that have no friendship to give. If you choose your friends on the ground that you are virtuous and want virtuous company, you are no nearer to true friendship than if you choose them for commercial reasons. Besides, who are you that you should be setting a price upon your friendship? It is enough for any man that he has the divine power of making friends, and he must leave it to that power to determine who his friends shall be. For, though you may choose the virtuous to be your friends, they may not choose you; indeed, friendship cannot grow where there is any calculated choice. It comes, like sleep, when you are not thinking about it; and you should be grateful, without any misgiving, when it comes.

 

02

So no man who knows what friendship is ever gave up a friend because he turns out to be disreputable. His only reason for giving up a friend is that he has ceased to care for him; and, when that happens, he should reproach himself for this mortal poverty of affection, not the friend for having proved unworthy. For it is inhuman presumption to say of any man that he is unworthy of your friendship, just as it is to say of any woman, when you have fallen out of love with her, that she is unworthy of your love. In friendship and in love we are always humble, because we see that a free gift has been given to us; and to lose that humility because we have lost friendship or love is to take a pride in what should shame us.

 

03

We have our judgments and our penalties as part of the political mechanism that is forced upon us so that we may continue to live; but friendship is not friendship at all unless it teaches us that these are not part of our real life. They have to be; and we pay men, and clothe them in wigs and scarlet, to sit in judgment on other men. So we are tempted to play this game of judgment ourselves, even though no one has paid us to do it. It is only in the warmth of friendship that we see how cold a thing it is to judge and how stupid to take a pleasure in judging; for we recognise this warmth as a positive good, a richness in our natures, while the coldness that sets us judging is a poverty. Just as our criticism of a work of art begins only when we have ceased to experience it, so our criticism of our friends begins only when we have ceased to experience them, when our minds can no longer remain at the height of intimacy. But this criticism is harmless if we know it for what it is, merely the natural reaction, the cold fit that comes after the warm, and if we do not suppose that our coldness is wiser than our warmth.

 

04

There are men who cannot be friends except when they are under an illusion that their friends are perfect, and when the illusion passes there is an end of their friendship. But true friendship has no illusions, for it reaches to that part of a man's nature that is beyond his imperfections, and in doing so it takes all of them for granted. It does not even assume that he is better than other men, for there is egotism in assuming that. A man is your friend, not because of his superiorities, but because there is something open fr om your nature to his, a way that is closed between you and most men. You and he understand each other, as the phrase is; your relation with him is a rare success among a multitude of failures, and if you are proud of the success you should be ashamed of the failure.

 

05

There is nothing so fatal to friendship as this egotism of accounting for it by some superiority in the friend. If you do that you will become a member of a set, all, in their assertion of each others' merits, implying their own, and all uneasy lest they are giving more than they get. For if you insist upon the virtues of your friend, you expect him to insist upon your virtues, and there is a competition between you which makes friendship a burden rather than a rest. Criticism then becomes a treachery, for it implies that you are beginning to doubt these superiorities upon which your friendship is supposed to be based. But when no superiorities are assumed, criticism is only the exercise of a natural curiosity. It is because a man is your friend, and you like him so much and know him so well, that you are curious about him. You are in fact an expert upon him, and like to show your expert knowledge. And you are an expert because in the warmth of friendship his disguises melt away from him, and he shows himself to you just as he is. Indeed, that is the test of friendship and the delight of it, that because we are no longer afraid of being thought worse than we are we do not try to seem better. We know that it is not our virtues that have won us friendship, and we do not fear to lose it through our vices. We have reached that blessed state of being nearer to heaven than anything else in this life, in which affection does not depend upon judgment; and we are like gods, who have no need even to forgive, because they know. It is a rare state, and never attained to in its perfection. We can approach it only if we know what friendship is and really desire it, and especially if we admire the man who is a friend without ever wondering at his choice of friends or blaming him for his faithfulness to them whatever evil they may do.

 

-- A. Clutton-Brock.



안녕~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독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역역 빈칸 추론  (0) 2014.08.14
빈칸 변형문제 (인터넷 수능)  (0) 2014.05.20
pun (언어 유희)  (1) 2013.11.24
영어 독해 공부법  (0) 2013.09.29
주장, 주제 문제  (2) 2013.09.23

영어 필수어휘 1172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독해에 필수적인 단어를 정리하겠습니다.



영어 공부에 필수적인 어휘를 정리했습니다. 독해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어휘들이고, 영어 지문에서 자주 보는 단어들입니다. 이 단어들을 몰라서는 독해실력 향상을 기대할 수 없습니다.


다음은 전체 1172개 단어 중 일부입니다.



 단어

 품사

  의미

 1. misjudged

 

 잘못 판단하다

 2. avowed

 

 맹세하다

 3. vanity 

 

 허영, 허영심

 4. absurdity

 

 어리석은 언행, 부조리

 5. dissolved

 

 녹이다, 용해시키다

 6. currency

 

 통화

 7. bruise

 

 타박상을 입히다 

 

 

 

 8. tormented

 

 괴로워하는

 9. decline

 

 거절하다, 줄어들다

 10. Get rid of A

 

 A를 없애다

 11. cultivate

 

 계발(연마) 하다, 경작하다

 12. accessed

 

 접근, 출입

 13. discomfort

 

 불쾌, 불편

 14. identify

 

 확인하다, 발견하다

 15. disturbed

 

 방해하다, 불안하게 하다, 혼란시키다

 16. apparently

 

 명백히, 보아하니

 17. distribution

 

 분배

 18. accommodate

 

 편의를 제공하다, 수용하다, [환경에] 맞추다

 19. fascinate

 

 매혹시키다

 20. convey 

 

 ~을 전달하다

 21. diversity

 

 다양함

 22. stunning

 

 근사한, 멋진

 23. overpowered

 

 압도당한

 24. coward

 

 겁쟁이

 25. illegalize 

 

 [법으로] 금하다

 26. determinedly

 

 단호히, 필사적으로

 27. appropriate

 

 적절한

 28. aid

 

 원조, 보조 도구

 

 

 원조하다

 29. pour

 

 쏟아 붓다
 30. airtight

 

 밀봉된, 밀폐된


 

전체 1172 단어는 한글 파일로 첨부합니다. 

다운 받아서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영어 필수 어휘 1172.hwp

그럼 안녕 ~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단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rd, difficult 구별  (9) 2014.04.05
remind, remember, recall, recollect 의미 차이  (2) 2014.02.08
영어 접미사 정리  (4) 2014.01.31
ingenious, ingenuous  (2) 2014.01.30
envy, jealousy, envious, jealous  (0) 2014.01.26

영어 접미사 (ENGLISH SUFFIXES)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영어 접미사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영어 단어를 공부할 때 꼭 필요한 접미사를 알파벳 순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구성 원리를 알면 훨씬 수월하게 단어를 외울 수 있습니다. 잘 보시고 익혀 두시길 바랍니다. 필요하신 분을 위해 한글 파일로도 첨부합니다. 다운 받아서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접미사

 품사

 의미

 

 1. -able or ible

 

 ~할 수 있는

 acceptable, tangible

 2. -age

 

 상태

 marriage

 3. -al

 

 ~적인

 legal

 4. -an, ian

 

 사람

 librarian

 5. -ance, -ence

 

 상태

 disturbance, presence

 6. -ate

 

 ~하게 하다

 liberate

 

 

 ~하는

 literate

 7. -dom

 

 상태

 freedom

 8. -en

 

 ~하게 만들다

 strengthen

 9. -ent, -ant

 

 ~하는

 present

 10. -er, -or

 

 행위자

 employer

 

 

 

 liberator

 11. -ery

 

 장소

 bakery

 12. -ful

 

 가득 찬

 careful

 13. -fy, -ify

 

 ~하게 만들다

 classify

 14. -hood

 

 상태

 motherhood

 15. -ion

 

 상태

 consideration

 16. -ity

 

 상태

 vanity

 17. -ive

 

 ~적인

 relative

 18. -ize

 

 ~하게 만들다

 industrialize

 19. -less

 

 ~이 없는

 faultless

 20. -ly

 

 ~와 같은

 friendly

 

 

 ~하게

 carefully

 21. -ment

 

 상태

 misjudgement

 22. -ness

 

 상태

 sadness

 23. -ous

 

 ~이 많은

 humorous

 24. -ship

 

 정신, 상태

 friendship

 25. -y

 

 ~이 많은

 rainy

 기타

 

 

 

 26. ~ing

 능동

 (자신이) ~하다

 disturbing

 27. ~ed

 수동

 (타인에 의해) ~당하다

 disturbed



영어 접미어 정리.hwp


See You...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ingenious, ingenuous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ingenious, ingenuous를 공부하겠습니다.



ingenious, ingenuous


‘아’ 다르고, ‘어’ 다르다는 우리말이 있습니다. 철자 하나 때문에 의미가 달라지는 것이죠. 영어에도 철자 하나 때문에 의미가 완전히 달라지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오늘 살펴볼 ingenious, ingenuous도 그 중의 하나입니다.


두 단어는 철자뿐만 아니라 발음까지 비슷합니다. 그렇지만 의미는 전혀 다릅니다. 두 단어는 의미가 상호교환 되지 않습니다.


ingenious, ingenuous에 대한 간단한 정리입니다.


1. ingenious [인지-니어스]

                영리한, 독창적인

2. ingenuous [인제뉴어스]

                 순진한, 사람을 잘 믿는

 

이 단어들은 어원을 분석해 봐도 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라틴어 어원이 더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헷갈리는 단어를 공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역시 예문을 통해서 익히는 것입니다.



각 단어별로 예문을 살펴 보겠습니다.



1. ingenious


■ ingenious : 영리한, 독창적인

                  (=clever, creative)


약간 요령을 부리는 것이 ingenious를 기억하는데 크게 도움이 됩니다. ingenious는 발음이 ‘인지니어스’입니다. 이 발음을 들었을 때 생각나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genius(천재)’입니다. ingenious(인지니어스)는 ‘지니어스(천재)’가 들어있으므로 ‘영리하고 독창적’입니다.


(1) He made up an ingenious plan.

    (그는 세웠다/ 아주 훌륭한 계획을)


(2) An ingenious person has very clever ideas.

    (영리한 사람은 가지고 있다/ 아주 기발한 생각들을)


(3) The programmer wrote a very ingenious software.

    (그 프로그래머는 만들었다/ 아주 독창적인 소프트웨어를)

 


2. ingenuous


ingenuous : 순진한, 사람을 잘 믿는

                (=naive)

 

‘순진하다’는 우리말은 요즘에 부정적인 뉘앙스를 줍니다. 세상 돌아가는 이치를 모른다는 의미죠. 복잡한 세상에서 단순하게(?) 살아가는 것은 욕 얻어먹을 일인가 봅니다. 영어도 사정은 우리말과 같습니다. ‘ingenuous(순진한)’ 역시 부정적인 뉘앙스를 가지고, ‘잘 몰라서 잘 속는’이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예문을 봅시다.

 

(1) He is an ingenuous child.

    (그는 순진한 아이다)


(2) You are too ingenuous to believe anything.

    (넌 너무 순진해/ 모든 것을 다 믿다니)


(3) She is ingenuous and even stupid.

    (그녀는 순진하다/ 멍청할 정도로)

 

순진하고 순수한 것이 미덕이 되는 세상은 과연 다시 올까요?

 


아무튼, ingenious와 ingenuous를 기억하는 요령은 ‘지니어스(genius)'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ingenious(인지니니어스)에 ‘지니어스’를 연상시켜 기억한 다음, ingenuous는 순진한 이라고 외우시면 됩니다.

 

그럼 이상으로 ingenious, ingenuous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단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필수어휘  (2) 2014.02.01
영어 접미사 정리  (4) 2014.01.31
envy, jealousy, envious, jealous  (0) 2014.01.26
marry, be married to, get married to, divorce  (2) 2014.01.25
award, reward, prize  (0) 2014.01.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