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오스와 코스모스
오늘 살펴볼 단어는 chaos와 cosmos입니다. 카오스는 태초의 혼돈을 의미합니다. 빛과 어둠도 존재하지 않고, 어떠한 형체도 갖추어지지 않는 상태입니다. 그렇다고 카오스가 텅빈 상태는 아닙니다. 사물의 씨앗들이 그저 존재하는 상태입니다.
시간도 없이 존재하던 카오스에 균열이 생겨 ‘틈새’가 생기게 됩니다. 여기서 신들과 괴물들이 생겨납니다. 혼돈 속에서 나온 존재들이라 거칠고 난폭했습니다. 사실 초기에는 신과 괴물의 구별이 없었습니다. 다들 괴물에 가까웠습니다. 승리한 쪽은 신, 패배한 쪽은 괴물이라고 불리게 됩니다.
chaos (혼돈)
카오스는 우리 주위에서 흔하게 볼 수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우리 딸의 방입니다. 아빠가 치워주기전까지 딸의 방은 말 그대로 ‘카오스’, 즉 ‘혼돈’입니다. 아빠의 잔소리와 손길이 지나가야만 질서와 조화가 자리합니다. 그전까지는 방이 아니라 소굴입니다.
여러분도 카오스를 피해갈 수 없습니다. 컴퓨터나 스마트폰 앱의 바탕화면을 봅시다. 여기저기 널려 있는 앱들은 디지털 ‘카오스’입니다. 이러한 혼돈 상태는 결국 사용자가 의지를 가지고 정리하고 삭제를 해야만 질서 있는 상태가 됩니다.
이처럼 혼돈이 사라진 자리에 들어선 질서와 조화의 세계를 코스모스(cosmos)라고 합니다.
cosmos (질서, 조화)
혼돈의 시대에 종지부를 찍고 본격적인 질서의 시대를 가져온 존재가 바로 그리스 신화 속의 제우스입니다. 제우스는 번개를 무기로 사용하는데, 이는 ‘빛’을 상징하며 어둠과 혼돈을 몰아내는 힘을 의미합니다. 제우스 이후 세계는 ‘로고스(logos)’, 즉 이성과 질서의 시대가 됩니다. 이렇게 카오스가 물러나고 등장한 세계가 바로 코스모스입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꽃인 코스모스의 꽃말 역시 ‘조화’입니다. 코스모스 꽃의 단순하면서도 균형 잡힌 형태는 ‘질서와 조화’라는 의미를 그대로 담고 있습니다.
cosmos flower (조화를 상징하는 꽃)
여기서 피타고라스가 등장합니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자 수학자였던 그는 cosmos를 우주라는 의미로 최초로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오랫동안 cosmos는 universe라는 단어에 밀려 별로 쓰이지 않았습니다. cosmos가 널리 쓰이게 된 것은 19세기 중반 이후입니다. 특히 현대에 들어와서 cosmos는 universe를 밀어낼 정도로 세력을 키웠습니다. 불세출의 천문학자 칼 세이건의 유명한 저서 『코스모스(Cosmos)』 덕분이었습니다.
최근 과학계에서도 카오스와 코스모스는 새로운 맥락에서 주목받습니다. 바로 ‘카오스 이론(Chaos Theory)’ 때문입니다. 카오스 이론은 언뜻 무질서하게 보이는 현상 속에도 숨겨진 규칙과 질서가 있다고 봅니다. 예측 불가능하게 보이는 날씨, 복잡한 주식 시장, 인간 관계 등도 결국 질서와 혼돈이 긴밀히 연결된 모습이라고 해석합니다. 그래서 카오스는 더 이상 단순한 무질서가 아니라 새로운 질서의 씨앗이 되는 긍정적인 개념으로 평가됩니다.
마지막으로, Cosmos가 들어간 영어 단어 중에서 cosmetic이 있습니다. ‘cosmetic’은 ‘화장품’이라는 말입니다. ‘cometic’의 어원은 풀어보면 ‘조화로운, 질서있는’이라는 뜻입니다. 화장품의 기능을 생각해 보면 금방 느낌이 오질 않습니까?
‘혼돈상태의 얼굴에 조화를 만들어 준다...’
어지럽고 카오스적(?)인 얼굴에 화장품을 바르면 ‘질서와 조화’가 생겨납니다. 누가 만들었는지 참으로 기막힌 말이 아닐 수 없습니다.
cosmetic (조화를 만들어 주는 화장품)
화장품을 통해 카오스 상태의 얼굴이 코스모스로 바뀌듯이, 우리는 일상에서도 무질서를 질서로 바꾸며 살아갑니다. 혼돈 속에서 새로운 질서가 싹트듯이, 우리의 삶도 매일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이렇듯 혼돈(chaos)과 질서(cosmos)는 결국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여러분의 삶이 혼돈스럽게 느껴질 때, 작은 질서 만들기를 시도해 보면 어떨까요?
다음은 제가 쓴 "신들의 선물" 책입니다. 신화에서 나온 영단어와 그 유래를 밝혀 쓴 책입니다. 신화를 몰라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습니다. 한 번 보세요.
필요하신 분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숙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ll 숙어 (10) | 2025.04.02 |
---|---|
would you mind ~, Do you mind ~ (정중한 부탁) (4) | 2014.05.06 |
be sure to, be sure of 확실하게 구별해 봅시다. (7) | 2014.04.29 |
have to do with 무슨 의미일까요? (7) | 2014.04.26 |
least, not the least, not in the least 의미정리 (5) | 2014.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