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1. 천재 뒤팽


 
 어느 날 밤, 우리들은 팔레 로얄 근처에 있는 길고 지저분한 거리를 걷고 있었습니다. 우리 둘은 생각에 사로 잡혀서, 거의 15분 동안 한 마디도 하지 않았습니다. 

 갑자기 뒤팽이 불쑥 이러한 말을 했습니다. 
 

뒤팽
“그는 매우 작달막하지, 맞아. 아마 좀 더 작은 무대가 어울릴 걸.”

“당연하지!”


 나는 즉시 맞장구를 쳤습니다. 그리고 처음에는 (너무 생각에 빠져 있었기 때문에) 그 특이한 상화을 알아 차리지 못했습니다..


 그가 내 생각을 알고 있었던 것입니다!


  나는 그 사실을 깨닫고 어리둥절해지고 말았습다. 

 뒤팽이 천재적인 두뇌로 나의 생각을 읽어 낸 것이었습니다. 
 - 모르그가의 살인사건 -


 모르그가의 살인 사건에 나오는 한 장면입니다. 내(뒤팽의 친구)가 아무 말도 않고 있었는데 뒤팽이 나의 생각을 알아 냈던 것입니다. 뒤팽의 말대로라면 관찰과 추론에 의해서요.
 
 상대의 머리 속을 들여다 보려면 천재성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평범한 한얼이 아빠도 한얼이 엄마의 생각을 가끔은 읽어낼 수 있습니다.




to be continued...




 

다음의 발췌문에서 climax를 찾으세요. 도입 부분에서 climax를 암시한 부분이나, climax 이해에 도움을 주는 부분을 찾아 표시하세요.





2. 
 Then he flew back and told the Prince what he had seen.

 "I am covered with fine gold," said the Prince, "you must take it off, leaf by leaf, and give it to my poor; the living always think that gold can make them happy."

 Leaf after leaf of the fine gold the Swallow picked off, till the Happy Prince looked quite dull and grey. Leaf after leaf of the fine gold he brought to the poor, and the children's faces grew rosier, and they laughed and played games in the street. "We have bread now!" they cried.
 
 Then the snow came, and after the snow came the frost. The streets looked as if they were made of silver, they were so bright and glistening; long icicles like crystal daggers hung down from the eaves of the houses, everybody went about in furs, and the little boys wore scarlet caps and skated on the ice.
 
 The poor little Swallow grew colder and colder, but he would not leave the Prince, he loved him too well. He picked up crumbs outside the baker's door when the baker was not looking and tried to keep himself warm by flapping his wings.
 
 But at last he knew that he was going to die. He had just strength to fly up to the Prince's shoulder once more. "Good-bye, dear Prince!" he murmured, "will you let me kiss your hand?"
 
 "I am glad that you are going to Egypt at last, little Swallow," said the Prince, "you have stayed too long here; but you must kiss me on the lips, for I love you."
 
 "It is not to Egypt that I am going," said the Swallow. "I am going to the House of Death. Death is the brother of Sleep, is he not?"
 
And he kissed the Happy Prince on the lips, and fell down dead at his feet.
 
 At that moment a curious crack sounded inside the statue, as if something had broken. The fact is that the leaden heart had snapped right in two. It certainly was a dreadfully hard frost.
- Happy Prince -









다음의 발췌문에서 climax를 찾으세요. 도입 부분에서 climax를 암시한 부분이나, climax 이해에 도움을 주는 부분을 찾아 표시하세요.


 

1.  
  About a year ago I was diagnosed with cancer. I had a scan at 7:30 in the morning, and it clearly showed a tumor on my pancreas. I didn't even know what a pancreas was. The doctors told me this was almost certainly a type of cancer that is incurable, and that I should expect to live no longer than three to six months. My doctor advised me to go home and get my affairs in order, which is doctor's code for prepare to die. It means to try to tell your kids everything you thought you'd have the next 10 years to tell them in just a few months. It means to make sure everything is buttoned up so that it will be as easy as possible for your family. It means to say your goodbyes.

  I lived with that diagnosis all day. Later that evening I had a biopsy, where they stuck an endoscope down my throat, through my stomach and into my intestines, put a needle into my pancreas and got a few cells from the tumor. I was sedated, but my wife, who was there, told me that when they viewed the cells under a microscope the doctors started crying because it turned out to be a very rare form of pancreatic cancer that is curable with surgery. I had the surgery and I'm fine now.

 This was the closest I've been to facing death, and I hope its the closest I get for a few more decades. Having lived through it, I can now say this to you with a bit more certainty than when death was a useful but purely intellectual concept.

- Stanford Report -






 

5. The Climax of a Story. (절정)


 재미있는 이야기에 스릴있는 사건이 반드시 들어갈 필요는 없습니다. 흔하고 뻔한 사건이라도 말하는 방식에 따라 재미있을 수 있습니다. 스릴있는 사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야기에는 반드시 'climax‘가 있어야 하고, 독자나 청자가 이 ’climax'를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야기는 순조롭고 빠르게 climax를 향해 나가야 하며, 일단 climax에 도달하면, 머지않아 이야기를 끝내야 합니다.
 

 이야기의 도입(Introduction)부분은 climax와 연관이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만 도입부분에 climax가 밋밋하게 설명되거나, 너무 강하게 제시된다면, 질질 끌리는 이야기가 되고 맙니다. 탐정 소설에서 범인을 알고 읽는다고 생각해 보세요.
 



At what point in the following selection is the interest greatest?

 

 Lights were shining from every window, and there was a savory smell of roast goose, for it was New-year's eve- yes, she remembered that.

 In a corner, between two houses, one of which projected beyond the other, she sank down and huddled herself together. She had drawn her little feet under her, but she could not keep off the cold; and she dared not go home, for she had sold no matches, and could not take home even a penny of money.

 Her father would certainly beat her; besides, it was almost as cold at home as here, for they had only the roof to cover them, through which the wind howled, although the largest holes had been stopped up with straw and rags. Her little hands were almost frozen with the cold.

 Ah! perhaps a burning match might be some good, if she could draw it from the bundle and strike it against the wall, just to warm her fingers.

 She drew one out-"scratch!" how it sputtered as it burnt! It gave a warm, bright light, like a little candle, as she held her hand over it. It was really a wonderful light. It seemed to the little girl that she was sitting by a large iron stove, with polished brass feet and a brass ornament.

 How the fire burned! and seemed so beautifully warm that the child stretched out her feet as if to warm them, when, lo! the flame of the match went out, the stove vanished, and she had only the remains of the half-burnt match in her hand.

 



(왜, “Lights were shining from every window”라는 표현이 이야기의 시작 부분에 사용되었을까요? 아버지와 다른 집들에 대한 묘사가 이야기에 흥미를 더하고 있는가요?)
 

(이 이야기에 무엇인가를 추가해야 할까요?)







 

2. 주어 : 명사나 명사상당어구


 
 이 글의 목표는 문법 지식을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실제 문장에서 활용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문법용어를 사전 그대로 사용하기 보다는 실제로 문장에서 활용할 수 있게 변형해서 정의하겠습니다. 


 그럼 주어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로부터 시작해 봅시다.
 

주어 
문장에서 서술하는 주체를 나타내는 말로서, 그 문장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말.


  완벽한 정의입니다. 하지만 문장에서 주어를 찾는 데는 별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정의를 쓰기로 하죠.

 
 

주어
동사 앞에 있는 말 
 
 일단 동사 앞에 있는 말은 주어라고 생각합시다. 형용사와 부사의 개념, 그리고 도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겠지만, 일단은 이 정도로 정의해 둡시다. 또한, 영어에 모든 품사들이 주어로 쓰일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주어로 쓰일 수 있는 말들은 다음과 같이 정해져 있습니다.

 

주어로 쓰일 수 있는 말: 명사나 명사 상당어구

 

 사실상 명사만 주어로 쓰인다면 문장은 간단하고 주어를 찾는 것도 아주 쉽죠. 다음을 봅시다.
 
ex1) The number(S) tends to increase.


 위와 같이 단순한 명사구로 된 주어에 정보가 추가되면서 문장이 복잡해집니다. 
 
ex2) The number of syllables in the English names of finite integers(S) tends to increase.

 ※ 이 문장에서 주어를 찾기 위해서는 형용사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지만, 여기서는 생략합니다.

  
  주어역할을 하는 주어부가 아무리 길어지고 복잡해져도 변치 않는 원칙은 '명사나 명사 상당어구‘만이 주어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그 외 나머지는 전부 수식어들이죠.

  편의상 주어부를 이끄는 명사나 명사구를 이 글에서는 ’핵심주어‘라는 이름으로 부르겠습니더. ex2)에서 주어부는 밑줄 친 The number of syllables in the English names of finite integers이지만 여기서 핵심주어는 'number'가 된다. 
 

핵심주어 : 주어부를 이끌고 있는 가장 중요한 명사


어근 1 강 

<act, ag, ig> 가문


[행하다(do), 몰아가다(drive)]라는 혈통을 가지고 습니다. 

이들은 민첩한(agile) 행동(action)으로 사람들을 움직이게 해서(actuate) 일을 처리(transact)합니다.

(1) act



위 예문들의 해석은 한글 파일로 첨부합니다.





어근 설명을 시작하며...
 


From the Known to the Unknown


 

 모든 학습에 적용할 수 있는 ‘원칙’입니다. 이미 알고 있는 것을 씨앗으로 삼으세요. 지식을 가진다는 것은 이미 가지고 있는 씨앗(known)에 물(정성)과 거름(시간)을 주어서 나무(unknown)를 키우는 것입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것을 소중히 여깁시다. 다음과 같은 말도 있지 않습니까? 


   'A man travelled the world to find the Queen of Diamond. 
    He returned home only to find it to be laid on his table.'  




004. 크리스 마스 선물


 

One dollar and eighty-seven cents. That was all. And sixty cents of it /was in pennies. 

Pennies saved one and two at a time /by bulldozing the grocer and the vegetable man and the butcher /until one's cheeks burned /with the silent imputation of parsimony /that such close dealing implied. 

 Three times Della counted it. One dollar and eighty-seven cents. 

 And the next day would be Christmas. There was clearly nothing to do /but flop down on the shabby little couch /and howl. So Della did it. Which instigates the moral reflection /that life is made up of sobs, sniffles, and smiles, with sniffles predominating.

 by O. Henry



 


1달러 87센트. 이것이 전부였다. 그 중에서도 60센트는 잔돈이었다. 

 한 번에 한푼 두푼 모은 것들이었다/ 식료품 가게 주인, 야채 파는 남자 그리고 푸줏간 주인에게, 얼굴을 붉히면서, 악착같이 깎았다. 그렇게 악착같이 흥정을 하면서 구두쇠 같다는 말없는 시선을 받기도 했다. 

 델라는 그것을 세 번이나 세어 봤다. 1달러 87센트였다. 

 그리고 내일이 크리스마스였다. 분명히 아무일도 할 게 없었다/ 초라한 작은 소파에 털썩 주저앉아 우는 것 말고는. 그래서 델라는 그렇게 했다. 그렇게 하고 있으니 인생이란, 흐느끼고, 훌쩍거리다가 웃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주로 훌쩍거리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한얼 아빠의 한 마디.
O. Henry가 쓴 너무나 유명한 ‘크리스 마스’ 선물의 시작 부분입니다. 오 헨리 글을 읽을 때 감탄하는 것은 ‘어떻게 문장을 이렇게 압축적으로 쓸 수 있을까?’라는 것입니다. 

아래 문장을 잠깐 봅시다.

Life is made up of sobs, sniffles, and smiles, with sniffles predominating. 
인생이란, 흐느끼고, 훌쩍거리다가 웃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주로 훌쩍거리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멋지지 않습니까?
 

제가 좋아하는 말로는 ‘甘 酸 辛 苦’라고 할 수 있겠네요.

 
어떤 순간을 보내고 계신가요? 
 저는 어떤 순간이든 ‘현재를 소중히’라는 쪽입니다.

003. 마지막 잎새 


 

 Old Behrman was a painter /who lived on the ground floor /beneath them. He was past sixty /and had a Michael Angelo's Moses beard /curling down from the head of a satyr /along the body of an imp. Behrman was a failure in art.

 Forty years he had wielded the brush /without getting near enough /to touch the hem of his Mistress's robe. He had been always about to paint a masterpiece, but had never yet begun it. For several years /he had painted nothing /except now and then a daub /in the line of commerce or advertising.

 He earned a little /by serving as a model /to those young artists in the colony /who could not pay the price of a professional. He drank gin to excess, and still talked of his coming masterpiece.

 For the rest /he was a fierce little old man, who scoffed terribly at softness /in any one, and who regarded himself /as especial mastiff-in-waiting /to protect the two young artists /in the studio above.

by O. Henry 





 

 늙은 Behrman은 그들 아래 일층에서 살고 있는 화가였다. 그는 60이 넘었는데, 미켈란젤로가 그린 모세 같은 턱수염이 사티로스(염소 신)같은 머리에서부터 작은 도깨비 같은 몸뚱이까지 곱슬거리고 있었다. Behrman은 화가로서는 실패했다.

 40년간이나 붓을 휘둘렀지만 예술의 여신의 소매 자락도 건드리지 못했다. 그는 언제나 걸작을 그리려고 하긴 했지만, 여태 시작도 못했다. 몇 년 동안을 그는 아무 것도 그리지 못했다/ 이따금씩 상업용이나 광고용으로 집적댄 것 말고는.

 그는 colony에 사는 젊은 화가들 모델이 되어 주는 것으로 약간의 돈을 벌었다/ 전문모델 비용을 감당할 수 없는. 그는 진(술)을 지나치게 마셔댔고, 여전히 그의 곧 나올 걸작을 이야기했다.

 그 밖의 점에 있어서는 그는 사나운 자그마한 노인이었고, 약한 것은 사정없이 비웃었으며, 자신을 특별한 감시견쯤으로 생각했다/ 위층에 사는 두 젊은 화가들의.





한얼 아빠의 한 마디
 어떤 사람은 걸작을 창조합니다. 어떤 사람은 걸작이 됩니다. 

 여러분은 어떤 사람입니까? 저는 보통 사람입니다. 그래서인지 보통사람 ‘늙은 Behrman’이 짠합니다. 진을 좋아하는 취향도 저하고 같네요. 주니퍼 베리 냄새가 나는 것을 보니 아마도 ‘Dutch Jin’일 것 같습니다. Jin이란 술은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황제가 부럽지 않은 술’입니다. Jin을 마시는 동안 만큼은 황제도 부럽지 않다고 느낄 수 있으니까요. 

소심한 자식... 


 그 외국인이 왜 그랬는지는 지금도 확실하지 않습니다. 단지 나중에 영어를 더 공부하면서 ‘had better’ 때문이었을 것이라고 추측만 할 뿐입니다.

 
몇몇 외국인 친구들이 그러더군요. 한국인들이 고압적이라고. 그 이유를 물어봤더니, 한국인들은 너무 자주 must와 had better를 쓴다고 하더군요.


 ‘must’는 이해가 갔습니다. 개인주의적이고 자유주의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는 걔네들에게 “반드시 ~해야 한다.”라는 것은 강요처럼 들렸나 봅니다.


 그런데 ‘had better’는요?' '~하는 것이 더 낫다’라는 완곡한 표현이잖아요? 그렇지 않습니다. ‘had better’는 힘의 차이가 전제된 상황에서 쓰는 말입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죠?


BOSS

한얼 아빠, 요즘 자주 늦는군요. 출근 제 때 하는 것이 좋겠어요.
(You had better be on time.)


한얼 아빠

...


정중한 형식이지만 내용은 분명합니다.


 
내가 Boss야, 너 제대로 안하면 짤린다.


 ‘had better’는 주로 이런 상황에 쓰더군요. 기분이 나쁠 것도 같습니다. 모르는 사람이 아무리 정중하게 씩 웃으면서 ‘x 새끼’하면 열 받는 거랑 비슷한 이치죠. 요컨데 말이 그 말 자체의 뉘앙스가 문제입니다.
 

그렇다면, ‘~해야 한다’라고 일반적으로 말할 경우라면 어떻게 할까요?


should를 씁시다.



‘should’를 쓰면 됩니다. 외국인들은 ‘should’는 아주 편하게 받아들이더군요. 우리가 생각하기에는 똑 같은 ‘~해야 한다’인데 걔네들에게는 뉘앙스가 다른가 봅니다. 아마 이쯤 되겠죠.


엄마가 아들에게.

You should eat your breakfast.


이렇게 몸으로 배운 것들은 잊혀지지 않습니다. 조금 아프지만요. ‘should’를 씁시다. ‘must’, ‘had better’는 가능하면 쓰지 맙시다.


 



 


’had better, must’ 그리고 ‘should’


 
 대학시절 5월의 어느 날이었습니다. 맑은 하늘과는 달리 시국은 엄중할 때 였습니다. 대중음악보다는 민중가요가 울려 퍼지고 있을 때였으니까요. 
 
 ‘님을 위한 행진곡’이 울려 퍼지는 학교 정문에서 친구를 기다리고 있을 때였습니다. 니콘 fm-2를 목에 건 외국인이 정문으로 오고 있었습니다. 순간 기대가 되었습니다. 저 번의 ‘Can you speak Korean? 사건 이후로 영어 speaking 공부를 좀 했거든요. 

 ‘제발 말을 걸어라...’


 외국인은 제게 말을 걸었습니다. 한국말로요.


‘학생회관이 어디인가요?’


도대체 외국인들이 왜 그리 한국말을 잘 하는 건지 원.

 외국인에게 일부러 영어로 설명해 주었습니다. 길 안내는 영어로 할 정도가 되었거든요. 영어를 할 줄 아는(?) 친절하고 잘 생긴 한국인을 발견하고서 그 외국인 남자는 안도하는 표정이었습니다. 
 
 기회를 놓치지 않고 ‘Come with me.’라고 말하며 그를 안내하기 시작했습니다.


 ‘미안해 친구야!.’
 

 조금 되는 영어를 학대하면서 꽤 오랜 시간 얘기를 나누었습니다. 괜찮은 분위기였습니다. 

 시위현장은 그날 따라 살벌했습니다. 바람에 날린 먼지에 노란 최루탄 가루가 남아있을 정도였으니까요. 외국인은 필름을 갈면서 열심히 기계식 카메라 셔터를 누르고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문제의 사건이 터졌습니다. 

 시위대 한 명이 우리를 가리키더군요. 아마 촬영하는 것이 거슬렸나 봅니다. 그 외국인은 분위기 파악을 못 한 채 계속 촬영 중이었고요. 제게 연신 ‘Thanks’를 날리면서요.

 제가 한 마디 했습니다.
  
 

“You had better not take the picture.”

 

 순간 카메라에서 눈을 뗀 녀석의 표정이 싸하게 굳더군요. 너무나 돌변한 반응에 당황한 저를 노려보던 그 친구가 했던 한 마디가 기억납니다.


 “I’d better go alone.”



GRAMMAR


1. 문법: 단어를 사용 규칙들.



설명  
우리는 말할 때, 단어를 사용합니다. 문법은 우리에게, 어떤 단어들을 사용해야하고, 그것들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를 알려줍니다.


품사
2. 단어들은 종류가 다릅니다. 이렇게 다른 종류의 단어들은 ‘품사’라고 불립니다.


품사9
3. 영어에는 9개의 품사가 있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관사, 명사, 형용사, 대명사, 동사, 부사, 전치사, 접속사, 감탄사.




2.  명사(NOUN)



예)
Man, boy, servant, Santa Clause
설명  
- 이 단어들은 사람들의 이름이나 명칭입니다. 사람들의 이름이나 명칭은 모두 명사입니다.



예) Dog, horse, oat, cow, antelope. 
설명 
- 이 단어들은 동물들의 이름입니다. 모든 동물들의 이름은 명사입니다.



예) Town, street, city, church. 
설명 
- 이 단어들은 장소들의 이름입니다. 모든 장소들의 이름은 명사입니다.



예) Chair, form, desk, carpet, fire.
설명 
- 이 단어들은 물건들의 이름입니다. 모든 물건들의 이름은 명사입니다.




명사는, 사람, 동물, 장소나 물건들의 이름입니다.
   - man, cow, town box. -



간단한 연습 문제를 파일로 첨부합니다.

 

002. 셜록 홈즈




 "From a drop of water," said the writer, "a logician could infer the possibility of an Atlantic or a Niagara without having seen or heard of one or the other. So all life is a great chain, the nature of which is known whenever we are shown a single link of it.
 
 Like all other arts, the Science of Deduction and Analysis is one which can only be acquired by long and patient study nor is life long enough to allow any mortal to attain the highest possible perfection in it. Before turning to those moral and mental aspects of the matter which present the greatest difficulties, let the enquirer begin by mastering more elementary problems. 


Sherlock Holmes from 'A Study in Scarlet'



 
 

"한 방울의 물로부터", 작가는 말한다, “논리적인 사람은 대서양이나 나이아가라의 가능성을 추론할 수 있다 /전자나 후자를 보거나 듣지도 않고." 그렇게 모든 인생은 거대한 연결고리이고, 그것의 본질은 우리에게 알려진다 /하나의 연결고리가 보여진다면.

 다른 모든 기술들처럼, 연역과 분석의 과학은 길고 지속적인 공부를 통해서만 얻어진다. 그리고 인생이란 한 유한한 존재가 가장 높은 가능한 완벽함을 얻기에는 길지않다. 커다란 어려움을 주는 문제들가 있으면, 도덕적, 정신적 측면을 보기에 앞서,  탐구자는 가장 기본적인 문제를 파악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한얼 아빠의 한 마디 
셜록 홈즈 중에서 제가 두 번째로 좋아하는 작품입니다. 셜록 홈즈가 베이커 거리 221번지에 처음 모습을 나타낸 작품이죠. 원문은 상당히 어렵습니다. 이성과 과학의 시대답게 사실과 논리를 강조합니다. 





 

1. 주어와 동사



ex1) I will always love you.
위 문장에서 주어 동사를 찾지 못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렇다면 아래 문장은 어떨까요?
ex2) The number of syllables in the English names of finite integers tends to increase as the integers grow larger, and must gradually increase indefinitely, since only a finite number of names can be made with a given finite number of syllables.
- Russell -
 
 41개의 단어로 구성된 위 문장에서 주어와 동사를 찾기란 그리 만만치 않습니다. 운 좋게 'integer(정수)‘라는 단어까지 알았다고 해도 이해가 안 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이번에는 주어와 동사만 찾아서 해석해 봅시다.
 
ex3) The number of syllables in the English names of finite integers tends to increase as the integers grow larger, and must gradually increase indefinitely, since only a finite number of names can be made with a given finite number of syllables.
- Russell-
 
 대충 다음과 같은 의미가 될 것입니다. 
  ⇒ 음절수는 증가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빠졌지만 음절의 수에 관한 말이라는 것과, ‘그것이 증가한다’라는 것 정도는 알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을 알려면 어휘력도 필요하겠지만, 주어와 동사만 파악해도 대충의 내용은 알 수 있습니다. 
 
 
 영어 해석의 기본은 ‘주어와 동사를 찾는 것’입니다. 짧은 문장만 접할 생각이라면 굳이 ‘주어와 동사’를 찾아가며 읽을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길고 수준 높은 내용이 담긴 글은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문장 구조가 복잡합니다. 이럴 때 독해의 나침반은 결국 ‘주어와 동사’를 정확하게 찾는 것’입니다. 



그러면 주어와 동사를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요? 다음 질문을 봅시다.


Q. 영어에서 가장 중요한 문법 요소가 무엇인가? 
A. 동사이다. 
 

 영어를 조금이라도 아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렇게 답하고, 이것은 실제로 정답입니다. 그래서 일반적인 영어 학습서는 동사에 대한 설명이 주를 이루며 ‘해석할 때는 동사를 먼저 찾아라’라는 말까지 등장합니다. 
 
 하지만 EX2)의 문장에서 동사를 먼저 찾아봅시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는 방식에 익숙한 우리의 눈은 자연스럽게 첫 단어부터 읽기 시작합니다. 어떤 사람도 문장중간부터 읽지는 않습니다. 
 
 이렇게 당연한 사실을 무시하고 동사부터 찾는 것은 ‘수레를 말 앞에 놓는 것입니다.' 아무리 급해도 그렇지 수레가 말을 끌 수는 없습니다. 

'Back Up > 여기는 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sic Grammar OO2 -문법과 명사-  (0) 2012.03.09
Reading Classics 002 - 셜록 홈즈 in 'A Study in Scarlet'  (0) 2012.03.09
English Writing file-004  (0) 2012.03.08
English Writing file-003  (0) 2012.03.08
Reading Classics 000  (0) 2012.03.08

3. 흥미


 
 어떤 이야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그것에 흥미를 가져야 합니다. 그리고 그 이야기를 말할 때도 흥미를 불러 일으킬 수 있어야 합니다. 발표를 들었을 때, 다른 사람들보다 재미있게 말했던 사람이 있습니다. 모두가 분명하게 말하고 싶은 것을 전달했을지라도, 더 재미있었던 사람이 분명 있습니다. 
 
 우리는 말하려는 것을 분명하게 말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야기를 할 때는 듣는 사람이 흥미를 갖도록 주의해서 말해야 합니다. (장난이 아니죠?)




4. 도입 (Introduction)


 
어떤 사건을 이야기 할 때는, 사건이 일어난 상황을 분명하게 알려 주어야 합니다. 분명한 도입은 이야기를 명확하게 만들고 전체 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합니다. 어떤 사건을 분명하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그 사건이 '언제(when), 어디서(where), 누가(who)‘ 있었을 때 발생했는지를 밝혀야 합니다. ’왜(why)'에 대한 답이 도입부에 주어지면 조금 더 분명하게 상황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다음 예를 봅시다.
ex) “Last November My wife and I were on a climbing expedition in Himalayas." 


 예문에는 '언제(when), 어디서(where), 누가(who)”에 대한 정보가 있습니다. 그리고 'on a tour'는 왜 우리가 히말라야 산맥에 갔는지 말해줄 뿐만 아니라, 다음에 다가올 사건들에 대해 간접적으로 알려줍니다. 



 다음 예문과 비교해 봅시다.
 
“Last summer My wife and I were on a trip in New York." 사람사는 일들이 대개 거기서 거기지만 히말라야 산맥과 뉴욕에서 벌어질 사건이 다를 것이라는 것쯤은 누구나 알 수 있습니다. 

반드시 '언제(when), 어디서(where), 누가(who)”, 왜(why)'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말로 이야기할 때만큼은 이러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명확한 전달에 도움이 됩니다. 





다음은 Exercise입니다. 



Identify what elements are included in each of the following introductions.

1. Mr. Jones, of the Manor Farm, had locked the hen-houses for the night, but was too drunk to remember to shut the pop-holes. 
 

2. He was an old man who dished alone in a skiff in the Gulf Stream and he had gone eighty-four days now without taking a fish. 
 

3. In the year 1878 I took my degree of Doctor of Medicine of the University of London, and proceeded to Netley to go through the course prescribed for surgeons in the army.
 

4. High above the city, on a tall column, stood the statue of the Happy Prince.  He was gilded all over with thin leaves of fine gold, for eyes he had two bright sapphires, and a large red ruby glowed on his sword-hilt.
 

5. Rudolf Steiner was a true adventurer. Few were the evenings on which he did not go forth from his hall bedchamber in search of the unexpected and the egregious. The most interesting thing in life seemed to him to be what might lie just around the next corner. Sometimes his willingness to tempt fate led him into strange paths.







 

1. 경험을 통해서 얻은 생각을 표현하는 장점

 

글을 쓰라는 말을 들었을 때 주로 나오는 반응은 다음과 같습니다. 

“쓸게 없어요.” 

 자신의 경험에 관한 생각을 표현할 때는 이러한 변명이 통하지 않습니다. 모든 사람들은 날마다 자신만의 경험을 하고 살아갑니다. 그리고 그러한 경험들을 누군가에게 말하고 싶어합니다. (이 블로그도 마찬가지입니다.)

 자신이나 친구들에게 일어났던 일, 특히 일상적이지 않은 일들이 좋은 이야기 거리가 됩니다. 이러한 경험은 글쓰기에 무궁무진한 재료를 제공하며, 직접 경험을 바탕으로 쓴 글은 ‘자신만의 고유한’ 글이 된다는 최고의 장점이 있습니다. 자신의 것이 아닌 경험을 읽은대로, 들은대로 표현하는 것은 단지 베끼는 것에 불과하며 전혀 가치가 없습니다. 

 직접경험을 바탕으로 한 생각들은 재미있고 고유할 뿐만 아니라, ‘분명하고 명확’합니다. 직접 경험은 자신이 행하고 본 것이므로 잘 아는 것들입니다. 그러므로 '분명하고 명확한‘ 표현이 가능합니다.
 
 직접 경험을 바탕으로 한 생각이 가진 또 하나의 장점은 ‘다른 사람의 언어를 통해서 얻은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자신의 경험이므로 어떤 말이나 선택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경험이므로 자기가 자주 쓰고, 잘 알고 있는 말을 쓸 수 있습니다. 

 경험은 흥미롭고, 분명하고, 명확한 자신만의 생각을 제공합니다. 그리고 자신에게 익숙한 말로 이러한 생각을 쉽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생각을 표현하는 훈련을 할 때는, 직접 경험에 의한 생각이, 상상이나 독서에 의한 것보다 훨씬 더 훌륭한 재료가 됩니다. 


 

2. 적절한 표현을 위해 지켜야 할 것

 
 생각을 적절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다음 두 가지를 기억해야 합니다. 첫째, 자신이 의도하는 것을 말해야 합니다. 둘째, 분명하게 말해야 합니다. 이것을 지키지 않으면, 말의 가치가 없어지는 것은 물론, 듣는 사람을 혼란케 만들 수 있습니다. 듣는 사람에게 어떤 일이 어떠한 장소에서 어떠한 시간에 일어났는지 알려주려면,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자신이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나서 상대방을 이해시키기기 위해서 적절하고 명확한 말들을 선택해야 합니다. 자신의 말이 상대방에게 잘 전달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다음과 같은 질문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정확하게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나는 알고 있는가?”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을 말했는가?”
 “듣는 사람이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말했는가?

 국어 작문 시간 같죠? 국어나 영어나 같은 언어입니다. 사고를 담는 언어가 작동하는 방식은 같습니다. 


영어 고전 읽기 



 영어를 잘 읽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는 누구나 알고 있습니다
. 좋은 글을 많이 읽는 것입니다. 고전들은 분명히 좋은 글 목록 첫 머리에 올라갈 것입니다. 그러나 너무 긴 고전을, 그것도 영어로 읽기에는 부담스럽습니다. (이름은 많이 들어 봤지만 안 읽을 책을 고전이라고 부르기도 하니까요.)
 

 그러므로 짧은 글부터 시작합시다.
 

 여기에 있는 글들은 인류의 문화유산이라고 해도 과장이 아닐 정도로 훌륭한 글들입니다. 잘 읽어 가면서 영어 독해력은 물론 교양도 쌓아 가시길 바랍니다.

  
해석은 직역 위주로 했습니다. 







 

 

001. 변신 (프란츠 카프카)


 

001.
 One morning, when Gregor Samsa woke from troubled dreams, he found himself transformed in his bed into a horrible vermin.  He lay on his armour-like back, and if he lifted his head a little he could see his brown belly, slightly domed and divided by arches into stiff sections.  The bedding was hardly able to cover it and seemed ready to slide off any moment. His many legs, pitifully thin compared with the size of the rest of him, waved about helplessly as he looked. 




001 해석. 
 어느 날 아침, 그레고리 삼사가 심란한 꿈에서 깨어났을 때, 그는 자신이, 그의 침대에서, 흉측한 해충으로 변해 있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갑옷같은 등을 대고 누워있었고 만약 그가 머리를 조금만 든다면 그는 자신의 갈색 배를 볼 수도 있었다. 그것은 약간 둥글게 불록 솟아 있었고 아치형태를 이루는 딱딱한 부분으로 나누어 있었다. 이불로는 그것을 덮을 수도 없었으며 그것은 금방이라도 미끄러져 내릴 것 같았다. 그의 많은 다리들은, 몸의 나머지 부분들에 비하면 처량할 정도로 가늘었는데, (그것들이) 허망하게 움직이고 있었다/ 그가 바라 보았을 때.



 참고.
 변신은 특이하게 시작합니다. 변신에 대한 인과적 설명이 전혀 제시되지 않습니다. Greg 주위 사람들도 원인에 대해서는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저 그것이 가져온 사건들만을 주변 사람들의 심리만을 묘사해 나갑니다. 
 아리스토 텔레스의 말처럼 ‘곧 바로 사건으로 뛰어듭니다.’ 그다지 어렵지 않은 글이니 별도의 문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혹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기 바랍니다. 





 
 

 

활용을 통해서 문법을 익힙시다.


 문법이 죽어있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문장에서 활용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영어 독해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에 하나가 ‘주어와 동사를 찾는 것’입니다. 그리고 영어의 주어들은 다음과 같은 단순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 명사(구)
          (2) 대명사
          (3) To 부정사
          (4) 동명사
          (5) 명사절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장에서 주어와 동사를 찾는데 빈번하게 어려움을 호소합니다. 명사나 대명사는 다 알지만 문장에서 활용하지 못하기 때문이죠.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 문법 지식의 암기만으로 그친다.
 둘째, 단순한 문장을 통해서 익힌다.

예를 들어 봅시다.

  I love you.
 
 이런 문장을 이용하여 주어 동사를 찾는 것은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끝나야 합니다. 이렇게 간단한 문장에서 주어 동사를 찾았다고 자랑해야 할까요?

 영어를 잘하려면 다음과 같은 문장을 다루어야 합니다.
 
 The number of syllables in the English names of finite integers tends to increase as the integers grow larger, and must gradually increase indefinitely, since only a finite number of names can be made with a given finite number of syllables.
- Russell -


Basic Grammar


 Basic Grammar는 영문법을 시작하는 사람들을 위한 위한 글입니다.

 문법을 처음 시작할 때는 개념정리가 중요합니다. 생소한 용어와 한국어와는 다른 어법 규칙이 등장하기 때문이죠. 어렵고 귀찮다고 개념정리를 소홀히 하면 고급 과정을 공부할 때 더욱 힘들어집니다.



한국어로 생각합시다.
 
 

 일부에서는 영어를 공부 할 때 우리말로 생각하는 것을 금기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에서 태어나고 자란 사람은 한국어로 생각할 수밖에 없습니다. ‘언어는 사고를 담은 그릇’이라는 소쉬르의 표현을 빌릴 필요도 없이, 한국 사람인 우리는 한국어로 생각해야 합니다.


 실제로 명사를 뜻하는 'NOUN'이라는 영어 단어를 머릿속으로 생각해 봅시다. ‘NOUN'이라는 말을 들었을 때 관련 용법이 생각나는 한국인은 거의 없습니다. ’명사‘라고 했을 때 우리가 가진 명사관련 배경지식이 활성화되기 시작한다.



한국어로 생각합시다.
 
 
 

기본 개념 학습

 

  지금부터 학습할 개념들은 간단하지만 영어 문법의 ‘핵’입니다. ‘핵’이 단단히 뭉쳐 있지 않으면 영문법이라는 눈덩이를 키울 수 없죠. 개념을 단단히 쌓기 위해서는 용어에 대한 확실한 이해와 정의가 필요합니다. 각 용어들이 가진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한 다음, 그것을 간결하고 확실하게 기억해야 합니다.


 이러한 개념정리를 위해서 이 글에서는 간결한 정의와 예문들만 다룰 것입니다. 틀린 문장을 분석하는 등의 응용된 지식은 과감히 생략하겠습니다. 대신, 각 용어가 무엇이고 문장에서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 확인하는데 중점을 둘 것입니다.

 

반복적 개념학습


 여기에 있는 기본적인 개념들을 이해하는 것으로 끝내서는 안됩니다. 개본 개념들이므로 반드시 암기해야 합니다. 암기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이 있겠지만, 암기를 할 수 밖에 없는 것들이 있습니다. 기본 개념을, 반복적인 암기를 통하여 잠재의식 수준까지 각인시켜 놓아야 합니다. 명사가 무엇인지 한번 보고 이해하는 것으로 개념학습은 끝나지 않습니다. 명사가 무엇인지 간결하게 정리해서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 반복학습이 필요하죠. 

 

 문법 개념에 대한 단단한 핵을 쌓는데 이 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Basic Grammar OO1 -시작하는 글-
Basic Grammar OO2 -문법과 명사-
Basic Grammar OO3 - 관사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