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대명사의 생략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관계대명사의 생략을 보겠습니다.



비격식체에서, 제한적(한정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 것은, 관계대명사를 반드시 생략할 필요는 없다는 것입니다. 관계대명사를 생략하지 않고 놔두는 것이-특히 글에서는- 더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 관계대명사의 생략 



1. 제한적용법 + 목적격


제한적(한정적) 용법에서 관계대명사가 ‘목적격’으로 쓰였을 경우에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제한적(한정적)이란 관계대명사 앞에 쉼표(,)가 없는 경우를 말합니다. 쉼표(,)와 함께 쓰인 ‘계속적 용법’에서는 관계 대명사를 생략할 수 없습니다.


(1) 타동사의 목적어

① It is the only choice (that) you've got. (타동사 got의 목적격)

    (그것은 유일한 선택이다/ 너가 가진)

② This is the company (which / that) we built. (타동사 built)의 목적어

    (이것은 회사이다/ 우리가 세웠던)


'①,②'에서 관계대명사는 타동사의 목적어로 쓰였기 때문에 생략할 수 있습니다.


(2) 전치사의 목적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인 관계대명사도 생략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전치사가 관계대명사 바로 앞에 있으면 생략할 수 없습니다.

① This is the house (which) I was born in. (전치사 in의 목적격)

② This is the house in which I was born. (전치사를 관계대명사 앞에 썼음)

    (이것은 집이다/ 내가 태어났던)

③ This is the house in I was born. (x)


예문 ①에서는 전치사가 문장 끝에 있으므로 관계대명사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②는 전치사가 관계대명사 바로 앞에 있으므로 관계대명사를 생략하지 않았습니다. 전치사가 앞에 왔는데도 관계대명사를 생략했기 때문에 ③은 잘못된 문장입니다.




2.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


일반적으로, 주격관계대명사로 쓰인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주격관계대명사+be 동사‘는 셋트로 생략할 수 있습니다.


①-③

① She was waving to his son (who was) leaving along the road.

    (그녀는 그의 아들에게 손을 흔들었다/ 길을 따라 떠나는)

② She was waving to his son (who) was leaving along the road. (관계대명사만 생략 x)

③ She was waving to his son who (was) leaving along the road. (be 동사만 생략 x)


①-③에서 보듯이 ‘주격관계대명사+be 동사’는 한꺼번에 생략해야 합니다. 주어만 생략하거나 be동사만 생략하면 안 됩니다.


예문을 더 보겠습니다.


④ I love the books (which are) written by Mr. Song.

    (나는 책들이 너무 좋다/ 송샘이 쓴)

예문 ④에서도 ‘주격관계대명사+be동사’를 한꺼번에 생략했습니다.


구어의 경우, '주격관계대명사+be'동사 구문을 생략하는 것이 훨씬 더 간결한 표현입니다.

 


3. There 구문에서의 생략


원칙적으로 주격관계명사는 생략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회화에서는, '존재를 나타내는 there 구문‘에서 주격 관계대명사를 생략하기도 합니다.


① There are people (who) believe Elvis is alive. (주격 who 생략)

    (믿는 사람들이 있다/ 엘비스가 살아 있다고)

② There's a stream (which) runs through our town. (주격 which 생략)

    (개울이 있다/ 우리 마을을 통해 흐르는)


①,②번에서 보듯이 'there 구문‘과 함께 쓰인 주격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구어에서 볼 수 있는 문장이지만, 생략하지 않고 쓰는 것도 원칙에 맞습니다.



관계대명사의 생략에 관하여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제한적 용법 + 목적격 관계대명사) ⇒ 생략가능

2.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 ⇒ 세트로 생략 가능



그럼 이상으로 관계대명사의 생략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관사 용법 (1부)  (1) 2014.03.29
삽입절이란?  (4) 2014.03.28
the last thing I want 의미  (3) 2014.03.25
at most, at least 뜻  (1) 2014.03.24
round, around 의미정리  (0) 2014.03.22

for the most part, make the most of 활용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most’ 관용 표현을 보겠습니다.



공부할 내용입니다.

1. for the most part

2. make the most of


'for the most part', ‘make the most of'는 ’최상급 most'가 들어간 관용 표현들입니다. 회화에는 자주 쓰이지 않지만, 독해에 자주 나오기 때문에 잘 알아 두길 바랍니다.



각 표현별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for the most part 


for the most part : (부사) 대개, 주로, 보통

                         (=generally, usually, in general, mostly, etc)


'for the most part'는 ‘대개, 주로’라는 뜻으로 사용되는 부사입니다.


(1) For the most part, he is very kind.

    (대개, 그는 친절하다)

(1-1) For most part, he is very kind. (x)

(1-2) Generally he is very kind.

       = Usually he is very kind.

'for the most part'에서는 'most' 앞에 정관사 ‘the'를 써야합니다. ’most'가 최상급이기 때문입니다. (1-1)과 같은 표현은 쓰이지 않습니다.

회화에서는 보통 'for the most part' 대신에 (1-2)와 같이 'generally, usually'를 씁니다.


예문을 더 보겠습니다.

(2) He ,for the most part, talks about money.

    (그는, 주로, 돈 얘기를 한다)

(3) Mr. Song's class is boring, for the most part.

    (송샘의 수업은 지루하다, 대개는)

'for the most part'는 부사(구)이기 때문에 문장에서 자유롭게 위치할 수 있습니다. 'make the best of~'도 같은 뜻이지만, ‘make the most of'가 더 많이 사용됩니다.



2. make the most of


make the most of : (동사) ~을 최대한 이용(활용)하다.

                         (= make the best of)


(1) 동사구 'make the most of'

    'make the most of'는 동사이므로 다음과 같은 활용이 가능합니다.

① 목적어를 취한다.

    ex) Make the most of your time. (your time 목적어)

        (시간을 잘 활용해라)

② ~ing를 붙일 수 있다.

    a. Making the most of your time is your life goal. (~ing 동명사)

       (당신의 시간을 활용하는 것이 당신의 인생 목표이다)

    b. Making the most of his time, he could achieve a great success. (~ing 분사)

       (그의 시간을 잘 활용하면서, 그는 성취할 수 있었다/ 커다란 성공을)

③ ~ed 형태로 사용됩니다.

    ex) Generally his time is made the most of.

        (보통, 그의 시간은 잘 활용된다)


일반적으로 ‘make the most of' 형태가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2) 예문

    'make the most of'가 들어간 예문을 몇 개 더 보겠습니다.

① Make the most of yourself.

    (자신을 최대한 활용해라)

    (가능성을 실현해라)

② Make the most of the today because nobody knows tomorrow.

    (오늘을 최대한 활용해라/ 내일은 누구도 모른다)_

③ We're in vacation so let's make the most of it.

    (우리는 휴가중이다/ 최대한 활용해 보자)




그럼 이상으로 'for the most part, make the most of‘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the last thing I want 의미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the last thing'이라는 표현을 보겠습니다.



'the last thing‘은 최상급으로서 ’마지막 일‘을 나타냅니다. 또한 과장법으로서 ’어떤 것을 결코 ~않는다‘는 의미로도 쓰입니다.


공부할 내용입니다.

1. the last thing : 최상급

2. the last thing : 과장법

3. the last man


항목별로 살펴보겠습니다.



1. the last thing : (최상급) 마지막 일


‘the last’가 최상급이기 때문에 ‘마지막’을 나타냅니다.


(1) What was the last thing you bought?

    (무엇인 마지막 물건이니/ 너가 구입했던?)

(2) You are the last thing I''ll think about.

    (너가 마지막 존재야/ 내가 생각할)

(3) The last thing I said was 'Don't worry.'

    (내가 했던 마지막 말은 ‘걱정마’였다)


'the last'는 대부분 ‘마지막’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the last question (마지막 질문)

  the last time (마지막 시간)

  the last dance (마지막 춤)

  the last love (마지막 사랑)



2. the last thing : 과장법


'the last thing'은 과장법으로서, ‘결코 하지 않을(never)'라는 뜻을 가집니다. 


예문을 보면서 익혀 보겠습니다.


(1) the last thing : 결코 ~하지 않을

    (가장 ~하기 싫은)


'the last thing'은 ‘결코 ~하지 않을’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① The last thing I want is to hurt you.

    (내가 결코 하고 싶지 않은 일은/ 당신에게 상처를 주는 것이다)


위 문장의 논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리는 보통 하기 싫은 일은 뒤로 미룹니다. 이 경우 가장 마지막으로 미룬 일일수록 가장 하기 싫은 일입니다. 그러므로 'the last thing'은 ‘가장 하기 싫은 일’에서 ‘결코 ~하지 않을’이라는 뜻을 가지게 됩니다.


예문을 조금 더 보겠습니다.

② I'm sorry. You are the last thing on my mind.

    (직역: 미안해. 너는 마지막 존재야/ 내 마음 속에서)

    (의역: 미안해. 너 따위는 생각도 안 해)


(2) the last thing : 과장법

    'the last thing'은 과장법이기 때문에 사실 그대로를 나타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ex) A: What's the menu?

    B: The roast chicken.

    A: What? It's the last thing I want to eat!

    

    A: 메뉴가 뭐야?

    B: 구운 닭인데.

    A: 뭐, 난 정말 싫단 말야.


위 대화에서, A가 평소에 ‘roast chicken'를 정말로 싫어한다고 보기는 힘듭니다. 그저 ’지금은 싫다‘는 것을 과장한 것으로 봐야 합니다.



3. the last man : 결코 하지 않을 남자(?)


예문을 먼저 보겠습니다.


ex) He is the last man to tell a lie.

 = He is above telling a lie.

    (그는 결코 거짓말하지 않을 남자다)


많은 문법책에 이와 같은 예문이 나와 있습니다. 그렇지만 검색해 보면, 영어권 문서에서는 이런 표현을 찾기 힘듭니다. 아시아(한국, 일본)권 문법책에만 자주 등장하는 표현입니다. 언어적 유통기간(?) 끝난 표현일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더 낫습니다. 'above telling a lie'도 마찬가지입니다. 영어권 네이티브들은 이 표현을 이해하지 못할 가능성이 아주 높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the last thing'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삽입절이란?  (4) 2014.03.28
관계대명사의 생략  (12) 2014.03.27
at most, at least 뜻  (1) 2014.03.24
round, around 의미정리  (0) 2014.03.22
much more, much less, still more, still less  (7) 2014.03.19

at most, at least 뜻

안녕하세요, 송샘 입니다.

오늘은 'at most, at least'를 공부하겠습니다.



이 최상급 구문들은 자주 사용됩니다. 정확한 의미를 익혀두길 바랍니다.



1. at most


at most : 기껏, 많아 봐야, 최대한으로 잡아서

            (=at the most, at the very most, no more than)

'at most'는 ‘많아 봤자’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부정적까지는 아니더라도 ‘그렇게 많지는 않다’라는 뉘앙스를 줍니다.


(1) John is very stingy. He spends at most $10 on the lunch.

   = John is very stingy. He spends no more than $10 on the lunch)

     (존은 아주 짠돌이다. 그는 기껏 10달러를 쓴다/ 점심에)


    ''at most'는 'at the most', 'at the very most' 등으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1-1) John spends at the most $10 on the lunch.

(1-2) John spends at the very most $10 on the lunch.


그렇지만 ‘at the most', 'at the very most'는 자주 쓰이는 표현들이 아닙니다. ’at most'가 주로 쓰입니다.


예문을 조금 더 보겠습니다.

(2) You have at most two minutes to solve each question.

    (너는 기껏 2분을 가지고 있다/ 각 문제를 푸는데)

(3) He is at most a child.

   = He is only a child.

     (그는 기껏해야 어린 아이다)

 


2. at least


at least : 적어도, 최소한

            (at the least, at the very least, not less than)

'at least'는 ‘at most'와 대조적인 의미를 가지며, ’아무리 적게 잡아도‘라는 뜻입니다. 보통 ’많다‘는 뉘앙스를 줍니다.


(1) The latest smart phone cost you at least $1,000.

  = The latest smart phone cost you not less than $1,000.

    (최신 스마트폰은 적어도 100만원은 한다)


‘at least'는 ’at the least', 'at the very least' 등으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1-1) The latest smart phone cost you at the least $1,000.

(1-2) The latest smart phone cost you at the very least $1,000.

 

역시 'at least'가 주로 쓰입니다. ‘at the least'는 잘 쓰이지 않는 표현입니다. 'at the very least'는 자주 사용되는 편입니다.


예문을 몇 개 더 보겠습니다.

(2) At least 20 people attended the meeting.

    (적어도 20명의 사람들이 참석했다/ 그 회의에)

(3) You should lose at least 5kg to wear the dress.

    (너는 적어도 5kg은 빼야한다/ 그 드레스를 입으려면)

 


그럼 이상으로 ‘at most, at least'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계대명사의 생략  (12) 2014.03.27
the last thing I want 의미  (3) 2014.03.25
round, around 의미정리  (0) 2014.03.22
much more, much less, still more, still less  (7) 2014.03.19
정관사 the 개념정리  (1) 2014.03.18

get the better of, get the best of

안녕하세요, 송샘 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get the better of, get the best of'를 보겠습니다.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의미

2. 활용


'get the better of'는 관용어구로서, 주로 사람과 함께 사용됩니다. 여기서 better는 명사로서 ‘더 좋은 것(superiority)'이라는 뜻을 갖습니다. ’더 좋은 것을 얻다‘에서 ’능가하다‘라는 의미가 파생되었습니다.

 

항목별로 살펴보겠습니다.



1. 의미


(1) 경쟁에서 누군가를 이기다, 능가하다

    (=defeat, overcome, beat, win over a victory)

'get the better of 사람‘은 ’사람을 이기다‘는 뜻입니다. 특별히 어려운 의미는 없으므로 예문만 보기로 하겠습니다.


① He got the better of me in tennis.

    (=He defeated me in tennis)

    (그가 나를 이겼다/ 테니스에서)


② We fought hard, but the opponent got the better of us.

    (우리는 열심히 싸웠다, 그러나 상대가 우리를 제압했다)

 

(2)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다.

감정이 ‘get the better of 사람’의 주어로 올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감정이 사람을 이기다’ 즉,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다’라는 뜻이 됩니다.


① Anger got the better of me. Finally I blew it up.

    (화가 나를 이겼다. 마침내 나는 폭발했다)

② Curiosity got the better of her ,and she opened the box.

    (호기심이 그녀를 이겼다, 그래서 그녀는 상자를 열었다)




2. get the best of


'get the better of'의 동의어로는 다음과 같은 말들이 있습니다.


[gain the better of, have the better of, get the best of]


'gain the better of, have the better of'는 잘 안 쓰이는 표현들 입니다. 그러므로 ‘get the best of'만 보겠습니다.


get the best of : (완벽하게) 이기다, 제압하다

'get the best of'는 ‘get the better of'와 비슷한 의미를 지닙니다. 하지만 최상급 ’best'가 있으므로 ‘완벽하게, 흠잡을 데 없이’라는 뜻을 가지게 됩니다.


(1) Harvard got the best of Yale in football.

    (하버드는 예일을 완벽하게 제압했다/ 풋볼에서)


(2) Curiosity got the best of me and I opened the spam mail.

    (호기심에 완전히 굴복해서 나는 열었다/ 스팸메일을)




3. 사물도 올 수 있음.


'get the better of, get the best of' 다음에는 사물도 올 수 있습니다. 의미는 ‘~에서 이기다’가 됩니다.


(1) I got the better of the exam.

    (직역: 나는 시험을 이겼다)

    (속뜻: 시험을 통과했다)


(2) She always gets the best of an argument.

    (직역: 그녀는 논쟁을 제압한다)

    (속뜻: 그녀는 항상 논쟁에서 이긴다)

 


그럼 이상으로 ‘get the better of, get the best of’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영문법 전체 목차

 

당부의 말씀

 

찾아주시는 여러분들의 편의를 위해서 영문법 항목의 목차와 링크를 올립니다

 

상업적 무단 전제나 복제는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것 아시죠?(^ ^)  혹시 블로그 등에 게시할 때는, 출처를 밝히시고 링크를 걸어 주셔야 합니다.

 

개인의 학습을 위한 용도라면 마음껏 사용하시고요

 

 

 

문법이란 단어를 사용하는 규칙이다.

 

- 송샘 -

 

 

목차 

[1강-19강]

 

1문장의 종류

[1] 문장의 종류

 

 

2자동사와 타동사

[1] 자동사, 타동사 구별

[2] 자동사의 수동적 의미

[3]  철자가 비슷한 자동사와 타동사 (핵심정리 006)

 

 

3문장의 5형식

[1] 문장의 5형식 개념정리

[2] 1형식 문장규칙

[3] 1형식 동사 정리

[4]  2형식 동사 정리

[5] 2형식 동사 예문

[6] 2형식 주격보어 (명사보어, 형용사 보어)

 

[7] 2형식 동사규칙 (2형식 문장 어법)

[8] 유사보어 (준보어) (quasi-predicative)

[9] 3형식동사 (완전타동사)

[10] 목적어 (object)

[11] 3형식동사 (자동사의 타동사화)

[12]  3형식 동사 (주의할 타동사)

 

[13] 의미가 달라지는 타동사들

[14] 타동사 역할을 하는 구동사 (phrasal verb)

[15] 4형식 동사

[16] 4형식을 쓸까? 3형식을 쓸까?

[17] 4형식 문장 예문 (4형식 동사 예문)

[18] 4형식을 3형식으로 바꾸기

[19] 4형식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3형식동사

 

[20] 5형식 목적보어 (5형식 동사)

[21] 5형식 문장 예문

 

[22] 5형식, 4형식 구별

[23] 5형식 지각동사의 목적보어)

[24] 5형식 목적보어 (동사원형, 현재분사 ~ing)

[25] 지각동사 의미 차이 (see, watch, observe 차이)

 

[26] 지각동사 의미 차이 (hear, listen to 차이)

[27] 사역동사 5형식 목적보어

[28] 사역동사 의미 차이(make, have, get)

 

 

 

4시제

Chapter 1. 기본시제와 미래표현

[1-1] 영어 시제 (12 시제)

 

[1-2] 시제의 개념과 단순시제

[1-3] 현재 시제 (present tense)

 

[1-4] 과거시제 (simple past)

[1-5] 단순 부정사, 완료 부정사 (부정사의 시제)

 

[1-6] 단순 동명사, 완료 동명사 (동명사의 시제)

[1-7] 현재형 미래표현 (미래시제)

[1-8] 미래 표현 - be to, be about to (1분정리 050)

[1-9] 미래표현 - 부사절 (시간 조건의 부사절)

[1-10] 미래 표현 - 시간과 조건의 명사절, 형용사절 (1분정리 003)

 

 

Chapter 2. 진행 시제

[2-1] 진행시제

 

[2-2] 현재 진행형

[2-3] 현재진행형 미래표현 (미래시제)

[2-4] 현재 완료 진행형

 

[2-5] 과거진행형

[2-6] 과거완료진행형 (과거시제)

[2-7] 진행형 불가동사 (존재, 상태, 소유 동사)

 

[2-8] 미래완료, 미래완료진행형 (미래시제)

 

 

Chapter 3. 완료 시제

[3-1] 현재완료 용법 (1부)

 

[3-2] 현재완료의 계속 - since, for

[3-3] 현재완료와 쓸 수 없는 말들 (과거 부사들, when)

[3-4] have been to, have gone to, have been in

[3-5] 현재완료 총정리

[3-6] 과거완료 (had pp) (대과거)

 

 

 

5  동사의 태 (voice)

[1] 수동태 개념정리

 

[2] 자동사 타동사 규칙

[3] be known ~

[4] 4형식 수동태

 

[5] 5형식 수동태

[6] 여러가지 수동태

[7] 수동태 총정리

 

 

 

6강 수의 일치

[1] 수의 일치: 수식어구와 절

 

[2] 부정사구, 동명사구의 일치

[3] There is, here is

[4] 주격관계대명사절의 일치

 

[5] A of B 구문에서의 일치

[6] 부분표현

 

[7] 상관구문

[8] the number of, a number of 구별

[9] each, every, many, many a 구별

[10] 도치구문 (일치)

 

 

 

7강 부정사

[1] to 부정사와 동명사의 의미차이 미래, 과거

[2]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들

[3] to 부정사를 목적보어로 취하는 동사들

 

[4] to 부정사 명사적 용법

[5] 의문사 + to 부정사

[7] 형용사적 용법 총청리 (be to 용법) 

[8] 부정사 부사적 용법 (목적)

 

[9] to 부정사 의미상 주어

[10] 단순부정사, 완료 부정사

[11] 대부정사 (pro-infinitive)

[12] remember, forget + to부정사, 동명사 (예문 설명)

[13] 준동사의 부정

[14] [원형부정사] [bare infinitive]

[15] too ~ to부정사 (so ~ that can't)

 

[16] enough to 용법

[17]  to 부정사 구문

 

 

 

8강 동명사

[1] 동명사 부정사 의미차이 일시적, 지속적

[2] 동명사 -동사역할- (gerund)

[3] 동명사 (명사역할)

 

[4] 동명사 의미상 주어

[5] 동명사 구문 논리적 관계

[6] 단순 동명사, 완료 동명사 (동명사의 시제)

[7] stop to 부정사, stop 동명사

 

[8] suggest의 용법

[9] try to, try ~ing (try to 부정사, try 동명사)

 

[10] 전치사 to, 부정사 to

[11] 동명사 관용표현

 

 

 

9강 분사와 분사 구문

[1] 분사란?

[2] 현재분사 (present participle)

 

[3] 과거분사 (past participle)

[4] 분사 (능동, 수동)

[5] 분사구문 총정리

[6] 분사구문 해석 

[7] 분사구문 만들기 필요할까?

[8] 완료 분사구문

[9] 독립분사구문

[10] 비인칭 독립 분사구문

[11] with 목적어 분사구문

[12] 분사구문 부대상황

[13] 분사구문 주어 (논리적 관계)

[14] 분사구문 총정리

 

 

 

10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

[1] 관계대명사 개념정리

[2] 관계대명사와 의문사 차이

[3] 관계대명사의 역할

[4] 관계대명사의 격

 

[5] 관계대명사의 격

[6] 관계대명사 해석

 

[7] 관계대명사 제한적, 계속적 용법

[8] 관계대명사 that 

[9] 관계대명사 that에서 주의할 점 

[10] 관계대명사 that, 관계대명사 what 구별

 

[11] 전치사 + 관계대명사

[12] 관계부사의 역할과 의미 

[13] 관계대명사 관계부사의 구별

[14] 복합관계대명사, 복합관계부사

 

 

 

11 접속사

[1] 접속사 개념정리

 

[2] 등위접속사 개념정리 (coordinate conjunction)

[3] 등위접속사 and

[4] 등위 접속사 but

[5] 등위접속사 or

 

[6] 종속접속사 개념정리 (subordinating conjunction)

[7] 접속사 의미 총정리

[8] 종속접속사의 위치

 

[9] 종속접속사와 쉼표

[10] that (접속사, 관계대명사 구별)

[11] 시간접속사 when

 

[12] if, whether 의미 차이

[13]  if, when 의미 차이

[14]  because, because of 차이

 

[15] although, though, despite 차이

[16] 접속사 전치사의 구별 (while, during)

[17] so that, such that 구별

 

[18] because, for, since, as 구별

[19] but, however 의미차이

 

[20] 접속사 as, than

[21] because, for, since, as 구별

 

 

 

12.  조동사

[1] 조동사 의미 정리

 

[2-1] 조동사 예문정리 (1-6)

[2-2]조동사 예문정리 (7-12)

[3-1] 조합형 조동사 예문정리 (1) ought to, had better, would rather, used to

 

[3-2] 조합형 조동사 예문정리 (2)have got to, may well, may as well, would sooner

 

[4] 조동사의 뉘앙스 (can, could, will, be going to)

[5] will의 용법

[6] would의 용법

[7] would, used to

[8] can의 용법

[9] 조동사 could

[10] can not have pp, could not have pp

 

[11] can, be able to

[12] 조동사 should, should have p.p

[13] used to, be used to 구별

[14] may, may have p.p

[15] must, have to, should (~해야한다)

[16] must, must have p.p (추측)

[17] need, dare 용법

[18] had better 용법

[19] had better (함부로 쓰지 마세요!)

[20] 조동사 have pp

 

 

 

13.  가정법

[1] if (가정, 조건)

 

[2] 가정법 과거

[3] 가정법 과거완료

 

[4] wish 용법

[5] hope, wish 의미차이

[6] I wish 가정법

[7] as if, as though 의미차이

[8] as if, as though 가정법

[9] if 가정법 미래

[10] 혼합가정법

[11] if 생략 가정법

[12] if 대용어구들

[13]  but for, without, if it were not for, it it had not been for

[14] unless 용법

[15] It is time 가정법

[16] otherwise 용법 (if 대용어구)

 

 

14.  명사

[1] 셀수 있는 명사, 셀수 없는 명사 (가산명사, 불가산명사)

[2] 셀 수 있는 명사 (가산명사)

[3] 셀 수 없는 명사 (불가산 명사)

[4] 명사의 종류

[5] 보통명사 (common noun)

[6] 집합명사, 군집명사

[7] 추상명사 (abstract noun)

[8] 고유명사 (proper noun) (고유명사의 보통명사화)

[9] 물질명사 (material noun)

[10] 집합적 물질명사 (furniture, equipment, machinery)

[11] 전치사 + 추상명사

[12] 추상명사의 보통명사화

[13] all + 추상명사

[14] have the 추상명사 to do

[15] to one's 추상명사

[16] 분화복수 (1부)

[17] 분화복수 (2부)

[18] 상시복수 (절대복수)

[19] 상호복수

[20] 복수어미 생략

 

[21] 소유격의 형태

[22] 소유격 의미정리

[23] 독립소유격

 

 

15.  대명사

[1] 대명사 개념정리 (pronoun)

[2] 인칭대명사 (personal pronoun)

[3] 대명사와 격

[4] 인칭대명사 사용법

 

[5] 재귀대명사 (reflexive pronoun)

[6]  부정대명사 (indefinite pronouns)

[7] 지시대명사

[8] 상호대명사 (each other, one another)

[9] 후방조응 (cataphora)

[10] 대명사 one

[11] another 용법정리

 

[12] that of, those of

[13] 대명사 other 

 

[14] no, none 용법정리

[15] either 용법정리

 

[16] neither 용법 정리

 

 

 

16. 형용사

PART 1. 형용사 문법 정리

[1] 수식이란 무엇인가? - only 위치

[2] 형용사 개념정리 (adjective)

[3] 형용사의 한정적·서술적 용법

[4] 수식어 형용사

[5] 전치수식, 후치수식

 

[6] 형용사들의 순서

[7] 동등비교 as ~ as

[8] as A as B : A의 품사

[9] 형용사 비교급 (원급, 비교급, 최상급) (adjective)

[10] 비교급2 - 주의할 비교급

[11]  the 비교급, the 비교급

[12] 최상급 개념정리

[13] 단수, 복수 형용사 (quantifiers)

 

[14] the + 형용사 의미와 용법 정리

[15] most, the most 구별

 

[16] few, a few

[17] little, a little 차이

[18] each, every

[19] all, whole, every 정리

[20] another, other, others (의미 차이)

[21] last, latest 차이

[22] good, well 차이

[23] some, any 용법 정리

[24] enough 위치

 

PART 2.  의미가 혼동되는 형용사들

 

[1] alone, lonely 의미 차이

[2] like, alike, likely 차이

 

[3] high, tall 차이

[4] sick, ill 차이

[5] disinterested, uninterested

[6] ingenious, ingenuous

[7] respectable, respectful, respective, respecting

[8] satisfactory, satisfying

[9] imaginary, imaginative

[10] electric, electrical, electronic, electronics

[11] terrible, terrific 의미 차이

[12]  awful, awesome 구별

 

 

17   부사

[1] 부사 개념정리사

[2] 부사의 위치

 

[3] 부사들의 순서

[4] 부사와 형용사의 구별

[5] 형용사구 부사구 (역할로 구별합시다!)

[6] 부사절이란?

[7] 부사절 접속사 의미정리

[8] 접속부사 의미정리

[9] most, most of, mostly, almost 차이

[10] about, nearly, almost

[11] near, nearby

[12] very, too 의미 차이

[13] indoor, indoors, outdoor, outdoors

 

[14] when, whenever 의미 차이

[15] after, later 의미차이

[16]  ago, before

[17] enough 위치

[18] once 의미 정리

 

[19] 부정어 no, not, never 차이

[20] already, yet, still 차이

[21] too ,either 차이

 

 

18.   한정사, 관사

[1] 한정사 (관사, 지시사, 소유격)

[2] 관사 개념정리 (부정관사, 정관사)

[3] 부정관사의 형태

[4] 부정관사의 용법

[5] 부정관사의 의미

 

[6] 정관사 the 개념정리

[7] 정관사의 활용

[8] 무관사란?

[9] 무관사 활용

[10] 관사의 위치

[11] half 용법

 

 

19.   전치사

PART 1.  전치사 개념정리

[1] 전치사 (preposition)

[2] 전치사와 논리

[3] 전치사 표현의 확장

[4] 전치사 의미 총정리

 

 

PART 2.  혼동되는 전치사들

[1] ~에 대하여 (about, on)

[2] above, over 의미 차이

[3] across, through 의미차이

[4] ahead of, before, in front of 의미 차이

[5] round, around 의미정리

[6] 시간과 장소를 나타내는 at, on, in

 

[7] beside, besides 품사 구별

[8] 위치를 나타내는 beside, by, near

[9] 위치를 나타내는 below, under, underneath, beneath (~아래에)

[10] 수단을 나타내는 전치사 by, with 구별

[11] 시간을 나타내는 beyond, past 의미차이

[12] 시간을 나타내는- by, until 차이

 

[13] 기간을 나타내는 (for, during)

[14] 양태를 나타내는 like, as (~처럼)

[15] 위치를 나타내는 전치사 close to, next to

[16] 시간을 나타내는 since, after 의미 차이

 

[17] 시간을 나타내는 since, from 의미 차이

[18] 철자와 의미 구별 though, through, thorough, throughout 차이

[19] 방향을 나타내는 to, toward, towards 의미 차이

[20] 미래를 나타내는 within, in, after 미래표현

[21] 수혜자를 나타내는 for, to (수혜자)

 

[22] 소유를 나타내는 of, to

 

 

 

2014년 5월 19일까지 정리된 영문법 목차입니다. (이 외의 더 많~은 항목들은 아래의 네이버스런 검색창에서 찾아 보시길 바랍니다)

 

열공!

round, around 의미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round, around, about를 공부하겠습니다.



1. round VS around


전치사나 부사로 사용될 때 round, around는 같은 뜻을 가집니다.


(1) 움직임을 뜻하는 round, around


   움직임을 뜻할 때 Round, around는 다음 두 가지 의미를 갖습니다.

① 축을 중심으로 도는 원운동

a. The earth moves round the sun. (round = around)

   (지구는 돈다/ 태양 주위를)

b. She wears a scarf round her head. (round = around)

   (그녀는 스카프를 하고 있다/ 머리 주위로)


‘~의 주위로’라는 원 운동의 의미가 있을 때, round와 around는 상호 교환할 수 있습니다.


② 여기저기를 불특정하게 돌아다니는 것

a. The children are playing round the town. (round = around)

   (아이들은 놀고 있었다/ 마을 여기저기서)

b. Can I just look around? (around = round)

   (그냥 둘러볼 수 있을까요?)

‘불특정하게 여기 저기’를 나타낼 때도 round, around는 상호 교환됩니다.

①,②에서 보았듯이, 움직임을 나타낼 때 round와 around는 같은 뜻을 갖습니다.


(2) 존재를 나타낼 때

    around는 존재나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① I opened the door but nobody was around. (존재의 around)

    (나는 문을 열었다/ 그러나 아무도 없었다)

② Opportunities were around those days. (존재의 around)

   (기회들이 있었다/ 그 당시에는)


around가 존재를 나타낼 때는 round을 대신 쓸 수 없습니다.



2. around VS about


around와 about는 ‘대략, 약’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1) She arrived around 4 P.M. (around = about)

    (그녀는 도착했다/ 대략 네 시에)

(2) There were around 40 people at the party. (around = about)

    (대략 40명 정도가 있었다/ 파티에는)


around가 ‘대략, 약’을 나타낼 경우에는 about와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대략’을 나타낼 때는, about보다 around를 더 많이 사용합니다.


 


그럼 이상으로 round, around, about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well off, better off, badly off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well off, better off를 보겠습니다.


난이도

★★★☆☆


공부할 내용입니다.

1. well off

2. better off


well off, better off는 형편이나 사정이 좋은 것을 나타냅니다. 자주 쓰이는 표현이기 때문에 잘 정리해 두길 바랍니다. 


차례대로 살펴보겠습니다.



1. well off


well off는 주로 ‘재정상태’를 표현하는데 사용됩니다. 'off'라는 제거·박탈 전치사 때문에 부정적인 의미라고 생각하곤 합니다. 그러나 well-off는 긍정적인 뉘앙스로, 부유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1) well off VS rich

well off는 ‘먹고 사는데 지장이 없을 정도로 부유한 것’입니다. 이에 대하여 rich는 '모든 사람이 다 알정도로 부자’입니다.


well off : 부유한, 먹고사는데 지장 없는

① I may not be rich, but I'm well off

    (나는 부자는 아닐지 모르지만, 먹고사는데 지장은 없다)

② He is well off. He owns his house and drives nice cars.

    (그는 잘 살아. 집도 있고 차도 괜찮아)


badly-off는 well-off와 반대 의미를 가집니다.


badly off : (경제적으로) 넉넉지 못한, 상황이 나쁜

③ They lost their job. So they are badly off.

    (그들은 일자리를 잃었다. 그래서 그들은 상황이 안 좋다)


rich : 부자인

① She is rich. She earns over a million dollars.

    (그녀는 부자다. 연봉이 백만 달러가 넘어)

② He is from a rich family. His dad is a chaebol.

    (그는 돈 많은 집안 출신이야. 아빠가 재벌이거든)


(2) well off for : (영국식) 충분한, 많은

    (=enough)

'well off for'는 영국식 표현으로서 ‘~이 충분한’이라는 뜻입니다. 그렇게 많이 쓰이는 표현은 아니니 참고로 알아 두길 바랍니다.

① Man U is well off for good players.

    (맨체스터에는 많다/ 좋은 선수들이)

② Economy is bad. So jobs are not well off for.

    (경제가 안 좋다. 그래서 일자리들이 많지 않다)



2. better off : 형편이 더 나은, 더 부유한

(best off)


better off는 well-off의 비교급입니다. 많이 쓰이는 표현으로, 두 가지 상태를 비교하는데 사용합니다.

 

(1) They are well off.

    (그들은 잘 산다)

(2) They are better off than us.

   (그들은 더 잘 산다/ 우리보다)

(1)번은 단순하게 상태를 묘사하고 있기 때문에 well-off를 썼습니다. 그렇지만 (2)번은 그들과 우리의 상황을 비교하기 때문에 better-off를 썼습니다.

 

위에서 보듯이 better off는 상황을 비교할 때 사용합니다.


(3) We are better off because our kids finished their college.

    (우리는 나아졌다/ 애들이 대학을 마쳤기 때문에)

(4) I'm better off in my new job. (better salary, better working condition, etc)

    (나는 더 나아졌다/ 내 새 직장에서)

 

best-off는 well-off의 최상급입니다.

(5) You are best off to marry her.

    (너한테는 최고로 좋아/ 그녀와 결혼하는 것이)


 


그럼 이상으로 ‘well off, better off'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know better than to do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know better' 구문을 보겠습니다.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1. know better than to do

2. know better than that

3. know better


'know better‘ 구문은 위와 같이 3가지로 형태로 사용됩니다. 의미는 ’잘 알고 있다, ~할 정도로 어리석지는 않다‘입니다. 차례로 살펴 보겠습니다.



1. know better than to do

(~할 만큼 어리석지는 않다, 철이 들다)


이 구문에서 주의할 것은 다음 두 가지입니다.


(1) 'know better than to‘ + 동사원형

'know better than to‘ 구문에서 'to'는 'to 부정사입니다’ 그러므로 to 다음에는 ‘동사원형’이 와야 합니다.


ex) I know better than to smoke.

 → I know better than to smoking. (x)

    (나는 어리석지 않다/ 담배 피울 정도로)


예문에서 보듯이, to 다음에 (동)명사는 올 수 없습니다. to는 전치사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2) 활용

'know better than to do' 구문은 직역하면 ‘잘 알고 있다’가 됩니다. 그렇지만 실제 뉘앙스는 ‘~할 정도로 어리석지는 않다’입니다. ‘어리석지 않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① She knows better than to believe a playboy.

    (그녀는 어리석지 않다/ 바람둥이를 믿을 정도로)


①번은 같은 뉘앙스를 지닌 다양한 표현으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①-1. She definitely doesn't believe a playboy.

       (그녀는 결코 믿지 않는다/ 바람둥이를)

①-2. She is not so foolish to believe a playboy.

       (그녀는 그렇게 어리석지 않다/ 바람둥이를 믿을 정도로)

①-3. She is not such a fool to believe a playboy.

       (그녀는 그렇게 바보가 아니다/ 바람둥이를 믿을 정도로)

①-4. She is wise enough not to believe a playboy.

       (그녀는 충분히 현명하다/ 바람둥이를 믿지 않을만큼)


같은 의미의 표현을 모두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그저 이런 뉘앙스라는 정도로 알고 있으면 됩니다.



2. know better than that(this).

=know better

(그렇게 어리석지는 않다)


'know better than that(this)'은 대화에서 많이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여기서 ‘that(this)'은 대명사입니다.


다음 상황을 봅시다.


(1) 엄마와 아들

    (아들 Jack이 방을 카오스로 만들어 버렸습니다. 엄마가 버럭 합니다)

Angry mom : Jack. You know better than THAT. Clean up the mess, now!

                 (잭. 너 그 정도로 멍청하지 않잖아. 당장 치워!)

여기서 that은 ‘방을 어지른 것’을 가리키는 대명사입니다.


(2) 남편과 아내

    (남편의 화려한 카드 청구서에 아내가 열 받았습니다)

Angry wife : Dear. You know better than this. Cut the plastic, now!

this는 화려한 카드 사용을 가리킵니다.

                (자기야, 당신 이 정도로 멍청하지 않잖아. 당장 카드 잘라!)


많이 쓰이는 표현이므로 잘 익혀 두길 바랍니다.




3. know better

(철들다)


‘know better than that(this)’은 'know better'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ex) 바람둥이와 나

    (바람둥이에게 실연당해 좌절하고 있습니다)

Frustrated Me: I deserve this. I must know better.

                   (난 당해도 싸. 더 철들어야 해)



그럼 이상으로 'know better'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숙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get the better of, get the best of  (0) 2014.03.23
well off, better off, badly off  (0) 2014.03.21
영어 구문 정리 (31-80)  (4) 2013.11.29
영어 구문  (4) 2013.08.11
[all but] [~을 제외하고]  (1) 2013.08.06

much more, much less, still more, still less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의미의 강화’를 보겠습니다.


난이도 ★★★★☆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1. much more, still more : 긍정의미 강화

2. much less, still less : 부정의미 강화


위에 언급한 ‘의미 강화’ 표현들은 보통 비교급에서 언급됩니다. 그렇지만 이 표현들은 ‘접속사’입니다. 철자에서 보듯이 'much(still) more, much(still) less' 구문들은 의미상 댓구를 이룹니다. 

항목별로 살펴보겠습니다.



1. much more, still more (접속사)

(긍정의미 강화)


much more, still more

   (긍정문에서 의미 강화)

   (옛투) 하물며, ~은 말할 것도 없이


‘much more, still more'는 긍정의 뜻을 가진 문장 뒤에 쓰입니다.

(1) He is fluent in Latin, much more English.

 = He is fluent in Latin, still more English.

    (그는 라틴어에 유창하다, 하물며 영어 쯤이야)

    (어려운 라틴어도 잘하는데 영어 쯤이야)


예문에서 보듯이 much(still) more는 긍정의 뜻을 가진 문장 뒤에서 의미를 강화합니다.


[주의]

'much(still) more' 표현은 현대 영어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 ‘옛스런’ 말입니다. ‘not to mention, as well (as), in addition (to)’ 등으로 쓰는 것이 더 낫습니다.


(1-1) He is fluent in Latin, not to mention English.

    = He is fluent in Latin and English as well.

    = He is fluent in Latin. In addition, English.




2. much less, still less 

(부정의미 강화)


much less, still less (접속사)

   (부정문에서 의미 강화)

   하물며, 더군다나 ~은 아니다.


'much less, still less'는 부정의 뜻을 가진 문장 뒤에서 의미를 강화합니다.

(1) He can't speak English, much less Latin.

 = He can't speak English, still less Latin.

    (그는 영어를 못한다, 하물며 라틴어야)

    (그는 영어도 못하는데 어려운 라틴어를 잘 할리 없다)


(2) He doesn't have a car, much less a sport car.

 = He doesn't have a car, still less a sport car.

    (그는 차도 없다, 하물며 스포츠 카야...)

    (차도 없는데 스포츠카가 있을 리 없다)


(1),(2)에서 보듯이 'much less', 'still less'는 부정적 뉘앙스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much less, still less'는 유통기한이 끝난 ’much more, still less'와 달리,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much less, still less'는 ’not to mention, let alone' 등으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2-1) He doesn't have a car, not to mention a sport car.

    = He doesn't have a car, let alone a sport car.


[주의]

'not to mention'은 긍정, 부정문 둘 다에 쓰입니다. 그러나 'let alone‘은 주로 부정문에만 사용됩니다.



그럼 이상으로 ‘긍정의미 강화, 부정의미 강화’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5] 정관사 개념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정관사 the를 공부하겠습니다. 



정관사는 원칙적으로 모든 명사 앞에 쓰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대상의 수()를 나타내는 부정관사와 달리, 정관사는 대상을 특정합니다. 정관사는 수()를 나타내지 않습니다.


이번 시간에 살펴볼 내용들입니다.

1. 정관사와 발음

2. 정관사와 부정관사 의미 차이


항목별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1. 정관사와 발음


(1) 정관사 + 자음

정관사는 자음 앞에서는 ðə()’라고 발음합니다.

    the book              the UFO               the United Nations.

부정관사에서 설명했듯이 로 발음되는 ‘u’는 자음 취급합니다. 그러므로 위의 예들에서 the는 전부 ðə()’로 발음합니다.


(2) 정관사 + 모음

정관사 다음에 모음이 오면 ði()’라고 읽습니다.

    the ant                     the only friend        the uncle           


(3)  정관사 + 묵음 + 모음

자음이 발음 안 될 경우에도  ði()’라고 읽습니다.

    the hour         the honour


(4) 강조의 정관사

정관사를 강조해서 발음할 경우에는 ði()’라고 세게 그리고 길게 읽어줍니다.

    ex) She was ˇˇthe most powerful person in Korea.

                           (~) 

           (그녀가 가장 권력 있는 사람이다/ 한국에서)



2. 정관사와 부정관사 의미 차이


부정관사는 막연하지만 하나(one)’라는 수의 개념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정관사는 수의 개념은 없고 대상을 특정합니다. 이렇게 볼 때 정관사는 대명사(this, that)’와 비슷한 역할을 합니다. 실제로 정관사는 , , 라는 지시적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I have a book.

     (나는 책이 권 있다)

(2) I have THE book.

     (나는 책을 가지고 있다)

(1)번에서 부정관사는 실제로 ‘one’이라는 수() 개념이 있습니다. (2)번에는 책의 수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단지 화자나 청자 모두 알고 있는 특정한 책을 가리킵니다.


정관사+복수명사도 수()의 의미는 없고 대상을 특정합니다.

(3) I have THE books.

     (나는 그 책들을 가지고 있어)

(3)번에서 ‘the books’는 책이 여러 권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그저 화자나 청자가 모두 알고 있는 책을 말하고 있을 뿐입니다.

 

이렇게 정관사는 대상을 특정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정관사 the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A is not B any more than C is D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not any more than' 구문을 공부하겠습니다.



난이도

★★★★★



1. 의미


오늘 공부할 'A is not B any more than C is D' 구문은 아주 어려운 표현입니다.


이 구문은 보통 다음과 같이 해석됩니다.

A is not B, any more than C is D.

(A는 B가 아니다, C가 D가 아닌 것과 마찬가지로)


구문만 보고 이해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간단한 예문을 보면서 이해해 봅시다.


(1) Whale is not a fish.

    (고래는 물고기가 아니다)

(1)번은 단순한 부정문으로서 사실만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2) Whale is not a fish just as a horse is NOT a fish.

               a                            b

   (고래는 물고기가 아니다/ 마치 말이 물고기가 아닌 것처럼)

(2)번은 직설법으로서 두 개의 사실을 ‘직접 비교’하고 있습니다. 일종의 직유법입니다. 고래가 물고기가 아니라는 사실을 말과 비교해서 분명하게 표현합니다. 직설법이므로 두 번째 문장(b)에서 부정어 not을 썼음에 주의하길 바랍니다.


(2)번을 이해하는 것은 별로 어렵지 않습니다.


(3) Whale is not a fish any more than a horse IS (a fish).

                a                            b

   (직역: 고래는 그 이상으로 물고기가 아니다/ 말이 물고기인 것보다)

   (속뜻: 고래는 물고기가 아니다/ 말이 물고기가 아닌 것처럼)

(3)번은 두 개의 사실을 ‘논리적으로 비교’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 문장-말이 물고기-라는 것은 논리적으로 말이 되지 않습니다. b가 말이 안 되니 첫 번째 문장-고래가 물고기-는 더더욱 말이 안 되는 구조입니다.


‘수사(말장난)’을 통해 의미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글을 쓰면 분명히 ‘있어’ 보입니다. 그러나 의미가 불명확해 지는 것은 피할 수 없습니다. 그러니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2)번과 같이 직유법으로 분명하게 표현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그래도 글에는 자주 나오기 때문에 정확한 의미를 익혀 두셔야 합니다)

 


2. 활용


(1) A is no more B than C is D

‘A is not B any more than C is D'와 같은 표현이라고들 합니다. 그렇지만 'no more'가 현대 영어에서는, ‘더 이상 ~않다’로 쓰이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A is no more B than C is D'는 참고 정도로만 알고 있으면 됩니다.


대부분 ’A is not B any more than C is D'를 사용합니다.


(2) 의미

    A is not B any more than C is D

    (A는 B가 아니다/ C가 D가 아닌 것과 마찬가지로)


논리적으로 이해해 봤자 활용이 어렵습니다. 의미를 외워야 합니다. 이 구문은 ‘A는 B가 아니다/ C가 D가 아닌 것과 마찬가지로'라고 해석합니다.


① He can't drive any more than fly.

    (그는 운전하지 못 한다/ 날지 못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② Going to library can't make a person wiser any more than buying books can.

    (도서관 가는 것은 사람을 더 현명하게 만들지 못 한다/ 책을 사는 것이 그렇게 못하는 것처럼)


(3) 주의할 사항

A is not B any more than C is D

(C 다음에 부정어를 쓰지 않는다)


논리적으로 부정을 포함하기 때문에, C 다음의 동사에 부정어를 붙이지 않습니다.

① He is not foolish anymore than I am.

    (그는 바보가 아니다/ 내가 바보가 아닌 것과 마찬가지로)


than 다음에 부정어를 쓰게 되면 잘못된 문장이 됩니다.

① He is not foolish anymore than I am not. (x)


우리말로는 부정어가 들어가야 할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논리적으로 잘못된 문장이 되어버립니다.

 


그럼 이상으로 'A is not B any more than C is D' 구문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not any more, no more, no longer, not any longer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더 이상 ~않다‘ 표현을 살펴보겠습니다.


공부할 내용입니다.

1. not any more, no more

2. no longer, not any longer


'no more, not any more, no longer, not any longer'는 모두 ‘더 이상 ~않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어떤 일이 ‘과거에는 그랬지만 지금은 아니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1. not any more, no more

(더 이상 ~않다)


'no more', 'not any more'는 의미가 같습니다. 'no'는 ‘not any’로 풀어 쓸 수 있기 때문입니다.


(1) He isn't handsome any more.

    (=He isn't handsome anymore)

    (그는 더 이상 잘 생기지 않았다)

(2) He is no more handsome.   (구식, 문학적 표현)


‘not ~ any more'는 ’더 이상 ~않다‘를 나타낼 때 가장 많이 쓰이는 표현입니다. 의미는 ’과거에는 그랬지만 지금은 아니다‘를 뜻합니다. 미국에서는 (1)번에서 보듯이, any와 more를 붙여서 ’anymore'라고 쓰기도 합니다.


현대 표준영어에서 ‘no more'는 ’더 이상 ~않다‘로 쓰이지 않습니다. 그러한 경우에는 ’no more' 대신에 ‘not ~ any more'를 써 줍니다.


'not ~ any more'는 의미상 ‘used to’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1-1) He used to be handsome.

      (직역: 그는 과거에는 잘 생겼었다)

      (속뜻: 그는 지금은 잘 생기지 않았다)

 


2. no longer, not any longer


행위나 상황의 중단을 말할 때 ‘no longer, not any longer'를 쓰기도 합니다.


(1) You no longer love me. (딱딱한 표현, 문어체)

  = You don't love me any longer. (어색한 느낌, 잘 사용하지 않음)

     (당신은 더 이상 나를 사랑하지 않는다)


위 예문에서 보듯이 'no longer, not any longer' 역시 ‘~도 아니다’를 의미합니다. 그렇지만 no longer는 ‘딱딱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문어체에서 사용됩니다. 그리고 ‘not ~ any longer'는 생경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말이나 글에서 잘 쓰이지 않습니다.


‘no longer, not ~ any longer' 대신 ’not ~ any more'로 바꾸어 쓰는 것이 훨씬 더 좋습니다.


간혹 기간에는 not ~ any longer', 정도에는 ’not ~ any more'를 써야 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그러나 거의 대부분의 사전에서는 ‘not ~ any more'를 공통으로 쓰고 있습니다.

 


정리해 보겠습니다.


‘더 이상 ~ 않다’에는 'not ~ any more'를 주로 쓴다. 


no better than, not better than, little better than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부정어 better than'을 공부하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표현들입니다.

■ no better than

■ not better than

■ little better than

    (~와 다를 것이 없다)



1. 의미


이 세 표현들은 의미가 같습니다. 

셋 다 ‘~와 다를 것이 없다’가 됩니다.


    예문을 봅시다.

(1) He is no better than a beggar.

(2) He is not better than a beggar.

(3) He is little better than a beggar

    (그는 나을 것이 없다/ 거지보다)

    (그는 다를 것이 없다/ 거지와)


(1)번에서 no는 better를 수식하는 부사로 쓰였습니다. 여기서 no는 not과 의미가 같습니다. (2)번은 일반적인 부정문입니다.


(1)~(3)은 다음과 같은 표현을 이용해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4) the same as 이용

    ex) He is the same as a beggar.

         (그는 똑 같다/ 거지와)


(5) as good as 이용

    ex) He is as good as a beggar.

        (그는 마찬가지다/ 거지와)




2. 활용


'no better than', 'not better than'은 자주 쓰이는 말들입니다. 보통 'not better than‘이 ’no better than'보다 더 자주 사용됩니다. 


그리고 'little better than'은 잘 쓰이지 않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no better than, not better than, little better than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none the less, nonetheless, nevertheless, however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nonetheless, nevertheless를 살펴보겠습니다.




난이도 ★★★★☆


다음 표현들의 의미차이는 무엇일까요?

none the less, nonetheless, however ]


결론부터 말하면 큰 의미차이는 없습니다.


각 표현별로 살펴보겠습니다.


1. none the less VS nonetheless


'none the less'는 ‘nonetheless'에 밀려난 표현입니다. 현대(1930년대 이후)로는 잘 쓰이지 않으니 ’nonetheless'만 알아 두시면 됩니다. 


언어학자가 아니라면 별로 쓸 일이 없는 표현입니다.



2. nonetheless, nevertheless, however


nonetheless, nevertheless, however는 ‘앞에 서술한 내용과 반대되는 내용이 다음에 올 때’ 사용합니다. 이들은 ‘역접’을 나타내는 접속 부사들입니다.


(1) 의미차이

nonetheless, nevertheless, however는 별 의미차이 없이 쓰입니다. 사전에 따른 세 단어의 의미입니다.


nonetheless: 그래도, 그렇기는 하지만

nevertheless: 그렇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however: 하지만, 그러나


별 의미차이 없습니다.


예문을 봅시다.

① I'm very tired. Nonetheless, I will finish my work on time.

    (나는 매우 피곤하다. 그래도, 나는 내 일을 끝낼 것이다/ 정시에)


② I'm very tired. Nevertheless, I will finish my work on time.

    (나는 매우 피곤하다. 그렇기는 하지만, 나는 내 일을 끝낼 것이다/ 정시에)


③ I'm very tired. However, I will finish my work on time.

    (나는 매우 피곤하다. 하지만, 나는 내 일을 끝낼 것이다/ 정시에)


예문에서 봐도 역시 의미차이 없습니다.


권위있는 사전들에서는 대부분 이 세 단어를 동의어 취급합니다. 그러니 의미차이는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2) 활용

■ nonetheless : 지나치게 격식을 갖춘 말입니다. 웬만하면 안 쓰는 것이 좋습니다.

■ nevertheless : 격식을 갖춘 말입니다. 특별히 강조할 경우에 사용합니다.

■ however : 일상적인 말입니다. 자주 씁니다.


일상적인 상황에서라면 'nonetheless, nevertheless' 대신에 'however'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ex) It was small, however, giant step for humankind.

    (=It was small, nevertheless(nonetheless), giant step for humankind.)

    (그것은 작았지만 거대한 발걸음이었다 / 인류에게)


(참고)

'none the less'에 대응되는 ‘none the more'라는 구문도 있습니다. 그러나 ’none the more'는 은퇴 정도가 아니라 거의 ‘죽은' 표현입니다. 신경 쓰지 않아도 됩니다.



그럼 이상으로 'none the less'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22] some, any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some, any를 공부하겠습니다. 


난이도 ★★☆☆☆


some, any는 명사 앞에서 일부를 나타냅니다.



1. some


some일부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주로 긍정문에서 쓰이며 명사를 수식하여, ‘어떤이라는 뜻을 갖습니다.


(1) 긍정문

ex) I like some classical music.

   (나는 좋아한다/ 일부 클래식 음악을)


긍정의 답을 예상할 때는 의문문이나 부정문에서도 some을 쓸 수 있습니다.

(2) 의문문

ex) Do you like some more coffee?

   (커피 좀 더 마실 거지?)

   (더 마실 것이라고 예상함)


(3) 부정문

ex) Haven’t you missed some opportunities?

   (기회를 몇 번 놓치지 않았었니?)

   (기회 놓친 것을 알고 있다)


 

2. any


any 또한 일부를 나타냅니다. 주로 의문, 조건, 부정문에 쓰여서 어떤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1) 의문문

ex) Do you want any more coffee?

   (커피 더 마실래?)

   (마실지 안 마실지 모름)


(2) 조건문

ex) If you have any questions, feel free to ask.

   (어떤 질문이 있으면, 마음껏 하세요)


(3) 부정문

ex) I don’t like any classical music.                 

   (나는 좋아하지 않는다/ 어떤 클래식 음악도)


any가 긍정문에 쓰일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any어떤 ~라도의 의미를 갖습니다.


(4) 긍정문

Any advice is welcome.

    (어떤 충고라도 환영이다)

② You can call me any time.

    (전화해도 돼/ 언제라도)

 


그럼 이상으로 some, any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nothing more than, nothing less than

no other than, none other than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비교급 관용표현(2부)을 공부하겠습니다.

[비교급 관용표현 1부] more than / not more than, no less than / not less than



난이도 ★★★★☆


오늘 공부할 표현들입니다.

1. nothing more than VS nothing less than

2. no other than VS none other than


이 표현들은 구별이 어렵지만 많이 쓰입니다. 잘 익혀 두길 바랍니다.



1. nothing more than VS nothing less than


이 두 구문은 거의 같은 의미로 쓰이지만 뉘앙스가 다릅니다. 관용구이기 때문에 의미를 외워 두는 것이 편합니다.


(1) nothing more than : 단지, ~에 불과한

                              (= only, merely, no more than)


'nothing more than' 구문은 '별것 아닌“이라는 뉘앙스를 가집니다.


① He is nothing more than a child.

    (그는 단지 어린 아이야)

    (뭘 기대해, 아이에게서...)


② This is nothing more than a rock.

    (이것은 단지 돌맹이 하나에 불과해)

    (돌맹이 하나 가지고 뭔 난리야...)


위 예문에서 보는 것처럼 약간 ‘무시하는’ 뉘앙스로 사용됩니다.


(2) nothing less than : 바로 그것

    (= exactly, surely, completely)

    (= nothing short of : ~와 다름없는)

 

'nothing less than'은 ‘정확하게 바로 그것’을 의미합니다.


① It was nothing less than a miracle.

    (그것은 바로 기적이었어)


② You are nothing less than crazy.

    (너 완전히 미쳤구나)


'nothing less than' 구문은 ‘nothing short of’로 바꾸어 쓸 수도 있습니다. 이 때 'short'는 ‘~이 부족한’이라는 뜻입니다.


③ She is nothing short of a genius.

 = She is nothing less than a genius.

    (그녀는 부족함이 없다/ 천재이기에)


주의

‘nothing more than', 'nothing less than'을 구별하지 않고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니 너무 엄격하게 구별하지 않아도 됩니다. 혼동된다면 다른 표현을 쓰는 것이 더 낫습니다.



2. no other than VS none other than


'no other than'은 ‘none other than'과 의미가 갖습니다.


no(none) other than ~ : 다름 아닌 바로 그 ~

                               (= nothing less than, exactly)

                               (= nothing short of)


(1) It was no(none) other than the president herself.

  = It was nothing less than the president herself.

     (그것은 다름 아닌 대통령 자신이었다)


(2) Alexander's teacher was none(no) other than Aristotle.

  = Alexander's teacher was nothing short of Aristotle.

    (알렉산더의 스승은 다름 아닌 아리스토 텔레스였다)


(1), (2)에서 보듯이 'no other than', ‘none other than'은 같은 의미를 갖습니다. 단지 'no other than'이 훨씬 더 많이(대략 100배) 사용됩니다.




그럼 이상으로 비교급 관용표현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no more than, not more than

no less than, not less than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비교급 관용표현(1부)을 공부 하겠습니다.


난이도 ★★★★☆


이번 시간에 볼 표현들입니다.

1. no more than VS not more than

2. no less than VS not less than


이들 비교급 관련 표현들은 아주 혼동되는 것들입니다. 영어권 네이티브도 정확히 구별하지 못합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일상적인 상황에서는 각 표현 쌍의 의미 차이를 구별할 필요가 없습니다. 'not more than, not less than'은 일상적인 상황에서는 잘 쓰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각 단어 쌍 별로 살펴보겠습니다.



1. no more than VS not more than


‘어떤 수나 양이 작거나 적은 것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1) no more than : 겨우

                        (= only, merely, nothing but)

ex) No more than twenty people came to the party.

     (겨우 20명의 사람들이 왔다/ 파티에)


(2) not more than : 기껏해야, 많아야 고작

                         (= at most)

ex) Not more than twenty people came to the party.

     (기껏해야 20명의 사람들이 왔다/ 파티에)


(1),(2)에서 보듯이 두 표현들은 의미차이가 있지만 구별하기 힘듭니다. 중요한 것은 두 표현 모두 ‘적은 것’을 강조할 때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not more than'은 자주 쓰이지 않으니 ’no more than'을 쓰면 됩니다.

 


2. no less than VS not less than


'어떤 양이나 수가 많은 것을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no more than, not less than'과 대조되는 표현들입니다.

 

(1) no less than : ~만큼이나, ~에 못지않게

                      (as many as, as much as)

ex) No less than twenty people came to my birthday party.

    (20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왔다/ 내 생일 파티에)


(2) not less than : 적어도

                       (= at least)

ex) Not less than twenty people came to my birthday party.

    (적어도 20명의 사람들이 왔다/ 내 생일 파티에)


(1),(2)번 역시 의미차이를 구별하는 것은 쉽지도 않고, 필요하지도 않습니다. 의미차이가 크지도 않을뿐더러, ‘not less than'은 일상적인 표현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많은 것을 강조‘할 때는 ’no less than'을 쓰면 됩니다.

 


그럼 이상으로 비교급 관용 표현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not so much A as B 용법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not so much A as B’ 표현을 보겠습니다.

 

 

난이도 ★★★★☆

 

공부할 내용

1. not so much A as B 구문의 뜻

2. not so much A as B에서 주의할 점

3. not so much as 구문과 구별

 

 

1. not so much A as B 구문의 뜻 

not so much A as B 표현은 까다롭습니다. 이렇게 어려운 구문이 실제로 쓰일까 하는 의구심이 들 정도입니다. 그렇지만 영어권에서 실제로 많이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not so much A as B구문과 같은 의미를 지닌 표현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not so much A as B

    (그렇게 많이 A하지는 않는다/ B처럼)

    (≒ A가 아니라 B)

= not so much A but B

= not so much A, more B

= not A so much as B

= less A than B

= B rather than A

= more B than A

 

위 구문들을 모두 외우려고 하는 것은 무의미한 일입니다. 이해만 하면 충분히 활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본이 되는 ‘not so much A as B' 구문부터 살펴 보겠습니다.

 

(1) not so much A as B

    (그렇게 많이 A한 것은 아니다/ B만큼은)

    (= A가 아니라 B다)

이 구문을 정확하게 해석하면, ‘그렇게 많이 A하지는 않고 B이다라는 뜻입니다. 그러나 내용상 'A가 아니라 B‘라고 해도 의미는 통합니다.

 

기본예문

① They are not so much lovers as friends.

    (그들은 연인이라기 보다는 친구다)

    (웬지 친구같다는 뉘앙스)

 

변형예문들

(2) much 생략

기본 예문 ①번에서 much를 생략하여 다음과 같이 쓸 수도 있습니다.

①-1. They are not so lovers as friends.

 

(3) but, more 등과 함께 사용

‘A가 아니라 B'라는 뉘앙스를 살려서 'but, more’ 등과 함께 쓸 수도 있습니다.

  ①-2. They are not so much lovers but friends. (but 사용)

  ①-3. They are not so much lovers, more friends. (more 사용)

but을 쓸 경우 기본예문의 미묘한 뉘앙스는 사라지고 단정적인 느낌을 줍니다.

 

위에 든 기본 예문과 그 변형 예문들은 같은 의미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지 ‘not so much A as B' 구문이 조금 더 ’교과서적‘일 뿐입니다.

 

(4) A 위치 이동

비교 대상 A를 not 다음에 놓을 수도 있습니다.

  ①-4. They are not lovers so much as friends.

기본 예문과 의미 차이는 없습니다. 전적으로 개인의 취향에 따라 선택하면 됩니다.

 

(5) less A than B

‘A가 아니라 B'이므로 '열등비교’ 구문을 사용해서 표현할 수 있습니다.

  ①-5. They are less lovers than friends.

문법적으로는 맞지만, 웬지 지나치게 교과서적 표현입니다.

 

(6) B rather than A, more B than A

‘than' 구문을 이용해 다시 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A, B의 순서가 바뀌게 됩니다.

  ①-6. They are friends rather than lovers.

         (그들은 오히려 친구들이다/ 연인들이라기 보다는)

  ①-7. They are more friends than lovers.

         (그들은 친구들이다/ 연인들이기보다)

 

철자가 다르면 의미가 다른 것이 원칙입니다. 외우려고 하지 말고, 본인이 의미하는 뉘앙스에 맞춰 쓰면 됩니다.

 

2. not so much A as B에서 주의할 점 

'not so much A as B‘ 구문에서 'A, B'는 비교대상입니다. 비교대상은 반드시 ’대등‘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A, B'는 문법적으로 ’같은 형태‘가 와야 합니다.

 

(1) 명사 vs 명사

   ex) They are not so much lovers as friends.

등위 구문이므로, 같은 품사인 ‘명사(lovers)와 명사(friends)’ 형태가 왔습니다.

 

다음 예문과 같이 문법적으로 다른 형태가 와선 안 됩니다.

  cf) They are not so much lovers as likes. (x)

위 예문은, 명사(lovers)를 동사(likes)와 연결했기 때문에 잘못 되었습니다.

 

예문을 조금 더 보겠습니다.

 

(2) 형용사 vs 형용사

  ex) He is not so much strange as curious.

       (그는 이상하기 보다는 호기심이 많다)

 

(3) 부정사 vs 부정사

  ex) I don't want so much to be loved as to love.

       (나는 사랑받기보다는 사랑하고 싶다)

 

(4) 절 vs 절

  ex) It is not so much that I don't love you as I just don't care.

       (내가 너를 사랑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그저 신경 쓰지 않을 뿐이야)

 

3. not so much as (~조차 안 한다) 구문과 구별

as를 붙여'not so much as'는 ‘~조차 안 한다’라는 뜻입니다.

 

Not so much as a whisper was heard.

  = Not even a whisper was heard.

     (속삭임 한 마디조차 들리지 않았다)

     (아주 조용했다)

 

Not so much as a drop of alcohol has touched my lips.

  = Not even a drop of alcohol has touched my lips.

    (술 한방울조차 내 입술에 닿지 않았다)

    (술은 입에 대지도 않았다)

 

 

‘not so much as'은 자주 쓰이지 않기 때문에 의미만 알면 됩니다.

 


4. 연습문제 다운로드

위에서 학습한 "not so much A as B" 구문을 복습할 수 있는 연습문제입니다.  pdf 파일을 다운로드한 다음 풀어 보세요.

not so much A as B 문제.pdf
0.26MB
not so much A as B 문제 - 정답.pdf
0.18MB

 

 

그럼 이상으로 ‘not so much A as B'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구문책 미리보기입니다. 한국인 영어 학습자에게 필요한 필수 구문들을 모아서 간결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시기 바랍니다.

  

 

 

혹시 책이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서 교보 문고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필수 구문 140

 

as 원급 as 용법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as 원급 as’ 표현을 공부 하겠습니다.


난이도 ★★★★☆


'as 원급 as' 구문은 아주 중요합니다. 시험에 자주 출제될뿐더러 글에서도 자주 쓰이기 때문입니다.


이 구문은 보통 'as A as B‘의 형태로 쓰입니다. 여기서 A는 형용사나 부사가 와서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비교 대상이 옵니다. ’as A as B‘구문의 해석은 '아주 A한다, B처럼(만큼)’이라고 합니다.


편의상, A가 고정된 경우와 B가 고정된 경우로 나누어 설명하겠습니다.



1. A 고정


A가 고정된 경우는 거의 관용표현으로 쓰입니다.


(1) B 명사가 셀 수 있는가 없는가에 따라서.

① as many as B

ex) I can see as many as 80 stars.

    (나는 아주 많이 볼 수 있다/ 80만큼의 별을)

    (별은 셀 수 있는 명사이므로 many)


② as much as B

ex) I can drink as much as two bottles of milk.

    (나는 아주 많이 마신다/ 두 병의 우유 만큼을)

    (우유는 셀 수 없으므로 much)



(2) A에 항상 같은 형용사가 온다.

이들은 숙어로서 각각 고유한 의미를 갖습니다.

① as good as (=no better than)

    ~와 같은, ~와 마찬가지

ex) He is as good as dead.

    = He is no better than dead.

    (그는 죽은 것이나 마찬가지다)


② as long as (= so long as)

    ~하는 한

ex) I'll love you as long as I live.

   = I'll love you as long as I live.

   (나는 당신을 사랑할 것이다/ 내가 살아 있는 한)


③ as far as (=so far as)

    ~하는 한

ex) He is honest, as far as I know.

   = He is honest, so far as I know.

   (그는 정직하다, 내가 아는 한)


④ as early as

   기대보다 일찍, 아주 일찍

ex) We can announce the winner as early as today.

    (우리는 승자를 발표할 수 있다/ 기대보다 일찍 오늘)


⑤ as late as

    기대보다 늦게, 아주 늦게까지

ex) Yesterday night she studied as late as midnight.

     (어제 저녁 그녀는 아주 늦게까지 공부했다/ 한 밤중까지)

 


2. B 앞에 고정


B 앞에 특정한 표현과 함께 쓰입니다.


(1) as A as any B

    (아주 A하다/ 어떤 B만큼(처럼))

ex) Your explanation is as clear as any other explanations.

    (당신의 설명은 아주 명확하다/ 어떤 다른 설명들만큼)


(2) as A as ever B 과거 동사

    (아주 A하다 B가 했던 것만큼)

ex) Your explanation is as clear as I ever heard.

    (당신의 설명은 아주 명확하다/ 내가 지금까지 들었던 것들만큼)


(3) as A as ever

    (여전히)

ex) Your explanation is as clear as ever.

    (당신의 설명은 아주 명확하다/ 여전히)


(4) as A as B can (= as A as possible)

ex) You should be here as quickly as you can.

    (= You should be here as quickly as possible)

    (당신은 여기 아주 빨리 와야 한다/ 가능한 만큼)




3. 관용어구


   다음 as A as B 구문은 'B의 속성‘을 이용한 관용구들입니다.


(1) as blind as a bat : 장님이나 다름없는

     (박쥐는 눈은 퇴화되어 볼 수 없으므로)

ex) She forgot her glasses and she is as blind as a bat.

     (그녀는 안경을 깜빡했다/ 그녀는 아주 눈이 안 보인다/ 박쥐만큼이나)


(2) as busy as a bee : 벌처럼 부지런한

     (일벌은 부지런함의 상징이므로)

ex) He is always as busy as a bee to support his family.

     (그는 항상 아주 부지런하다/ 벌처럼/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서)


(3) as cool as a cucumber : 오이처럼 냉정한

     (오이 속살이 시원하고 차가운 느낌을 주기 때문에)

ex) I felt nervous, but acted as cool as a cucumber.

     (나는 긴장됨을 느꼈다, 그렇지만 아주 냉정하게 행동했다/ 오이처럼)


(4) as like as two peas : 두 개의 콩처럼 꼭 닮은

     (같은 콩깍지 속에서 나온 콩들은 똑같이 생겼기 때문에)

ex) The twins are as like as two peas.

    (그 쌍둥이들은 아주 똑같다/ 콩 두 개처럼)


(5) as mean as a snake : 뱀처럼 비열한

    (뱀이 주는 교활하고 간사한 이미지 때문에)

ex) The criminal is as mean as a snake.

    (그 범죄자는 아주 교활하다/ 뱀처럼)


(6) as pale as death : 죽음처럼 창백한

    (죽은 시체는 창백한 얼굴을 하기 때문에)

ex) Her skin is as pale as death.

    (그녀의 피부는 아주 창백하다/ 죽은 것처럼)


(7) as poor as a church mouse : 매우 가난한

    (교회에서는 음식을 차리지 않기 때문에 먹을 것이 없음)

ex) He has no money. He is as poor as a church mouse.

    (그는 돈이 없다. 그는 아주 가난하다/ 교회 쥐만큼이나)


(8) as silent as an oyster : 굴처럼 과묵한

    (굴은 언제나 입을 꽉 다물고 있으므로)

ex) She is as silent as an oyster when angry.

    (그녀는 아주 조용하다/ 굴처럼/ 화났을 때는)



그럼 이상으로 as 원급 관용표현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 more than / not more than, no less than / not less than  (8) 2014.03.13
not so much A as B 용법 정리  (13) 2014.03.12
the 비교급, the 비교급  (0) 2014.03.10
neither do I, nor do I.  (0) 2014.03.09
so I do, so I am.  (3) 2014.03.08

+ Recent posts